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수어의 공간 활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5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수어의 공간 활용 방법에 대한 간략한 연구이다. 사실 농인의 언어 사용은 수어사전에 등재돼 있는 수어의 능숙한 사용보다 그 수어를 사용하여 수어공간 내에서 어떻게 활용...

      본 논문은 한국수어의 공간 활용 방법에 대한 간략한 연구이다. 사실 농인의 언어 사용은 수어사전에 등재돼 있는 수어의 능숙한 사용보다 그 수어를 사용하여 수어공간 내에서 어떻게 활용을 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수어의 동사를 일반동사, 일치동사, 공간동사 등으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일치동사를 더욱 세분하여 수직적, 수평적, 역행적 일치동사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고, 그 중 수직적 일치동사가 한국수어에 있어서 특징인 점을 논의하였다.
      공간동사는 의미분류사와 함께 사용을 하는데 한국수어 연구에서 의미분류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논의에 어려움이 있으나 미국수어의 의미분류사에서 참고할 점을 활용하여 한국수어의 공간동사를 간략하게나마 논의하였다.
      수어공간을 지형적 공간과 통사적 공간으로 나누어 논의하는 것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으나 수어공간이 지형적 공간과 통사적 공간으로 따로 존재하는 논의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임을 밝혔다. 이에 앞으로 수어공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 시선(eye gaze) 처리에 따른 문법의 다양한 면도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brief study of how to utilize Korean Sign Language space. In fac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use of language by the deaf depends on how to use it in the sign language space rather than on the proficient use of the sign lang...

      This paper is a brief study of how to utilize Korean Sign Language space. In fac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use of language by the deaf depends on how to use it in the sign language space rather than on the proficient use of the sign language listed in the sign language dictionary.
      Verbs in Korean Sign Language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verbs, agreement verbs, and spatial verbs. In particular, the agreement verbs were further divided into vertical, horizontal, and backward agreement verbs, and among th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agreement verbs in Korean Sign Language were discussed.
      Spatial verbs are used with semantic classifiers, but it is difficult to discuss because there is no research on semantic classifiers in Korean Sign Language studies, but the spatial verbs of Korean Sign Language were briefly discussed using references from American Sign Language classifiers.
      There is no problem with dividing the sign language space into topographical and syntactic spaces, but it is negative opinion about the discussion that sign language space exists separately as topographical and syntactic spaces. This emphasized the need for more research on sign language spaces in the future. We also consider various aspects of grammar according to eye gaze proces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수어 공간의 정의와 연구 검토
      • 3. 수어 동사의 분류
      • 4. 한국수어의 수어 공간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수어 공간의 정의와 연구 검토
      • 3. 수어 동사의 분류
      • 4. 한국수어의 수어 공간
      • 5. 시선(eye gaze)을 이용한 3차원적 공간 문법
      • 6.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기현, "한국수화의 통사적 수화 공간과 지형적 수화 공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2 장세은, "한국수화언어에서의 동사유형과 수분류사" 한국언어과학회 15 (15): 101-135, 2008

      3 이영재, "한국수어의 반복(Reduplication) 연구" 국어문학회 72 (72): 29-59, 2019

      4 이영재, "한국 수화언어의 인칭대명사 체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주해, "미래시제법과 부정법에 나타난 한국수어의 통사적 특성" 한국수어학회 3 (3): 22-38, 2020

      6 우형식, "국어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 국립국어원 16 (16): 155-173, 2006

      7 石東一, "韓國 手話의 言語學的 분석"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0

      8 金承國, "韓國 手話의 心理言語學的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3

      9 Fisher, S, "Verbs in American Sign Language" 18 : 17-48, 1978

      10 Sarah F. Taub, "Use of sign space: Metaphors in American Sign Language"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0

      1 남기현, "한국수화의 통사적 수화 공간과 지형적 수화 공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2 장세은, "한국수화언어에서의 동사유형과 수분류사" 한국언어과학회 15 (15): 101-135, 2008

      3 이영재, "한국수어의 반복(Reduplication) 연구" 국어문학회 72 (72): 29-59, 2019

      4 이영재, "한국 수화언어의 인칭대명사 체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주해, "미래시제법과 부정법에 나타난 한국수어의 통사적 특성" 한국수어학회 3 (3): 22-38, 2020

      6 우형식, "국어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 국립국어원 16 (16): 155-173, 2006

      7 石東一, "韓國 手話의 言語學的 분석"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0

      8 金承國, "韓國 手話의 心理言語學的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3

      9 Fisher, S, "Verbs in American Sign Language" 18 : 17-48, 1978

      10 Sarah F. Taub, "Use of sign space: Metaphors in American Sign Language"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0

      11 Klima, E., "The signs of langua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12 Sutton-Spence, "The Linguistics of British Sign Language: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3 Engberg-Pedersen, Elisabeth, "Space in Danish Sign Language: The Semantics and Morphosyntax of the Use of Space in a Visual Language" Signum 1993

      14 Sandler, "Sign Language and Linguistic Univers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5 Padden, Carol, "Sign Language Research:Theoretical Issues" Gallaudet University Press 118132-, 1990

      16 Liddell, Scott K., "Sign Language Research: Theoretical Issues" Gallaudet University Press 176198-, 1990

      17 Friedman, L., "Phonolgy of a soundless language:Phonological structure of American Sign Language" University of California 1976

      18 Meier, Richard P., "Modality and Structure in Signed and Spoke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 2002

      19 Padden, C., "Interaction of morphology and syntax in American Sign Language" University of California 1983

      20 Jung-hsing Chang, "Classifier Predicates Reanalyz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aiwan Sign Language" 6 (6): 247-278, 2005

      21 Johnson, R. E., "A morphological analysis of subject-object agreement in American Sign Language"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