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가뇌졸중장애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뇌졸중장애인과 가족보호자의 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the Needs of the Stroke Disabled and Their Family Caregivers for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the Home-Based People with Stro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1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construct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the home-based people with stroke, the needs survey has high level of value as an effort to not only collect information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but also to understand their lives intrinsically. Therefore, the needs survey should be approached in a planned and structured way, and for this reason, it is a necessary procedure in progra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ior needs of 32 home-based persons with stroke and 32 family caregivers when construct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improving the daily living ability of the disabled. The investigation procedure of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interviews, an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derived. First, home-based persons with strok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hoped for major improvements in 'hand', 'finger', 'small upper extremity muscle', 'arm', 'shoulder', 'fall', 'gait', etc. part responded. As a result of the categorization process for the needs survey, those were categorized into 'mobility', 'balancing ability', and 'accommodative ability'.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considered by home-based persons with strok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includes not only the biological ability of physical ability, but also the sociality of daily life to a certain extent. This study approached very cautiously on the importance of the needs to be col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and was is expected to be an exemplary on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in develop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번역하기

      When construct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the home-based people with stroke, the needs survey has high level of value as an effort to not only collect information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but also to understand their lives intrinsica...

      When construct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the home-based people with stroke, the needs survey has high level of value as an effort to not only collect information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but also to understand their lives intrinsically. Therefore, the needs survey should be approached in a planned and structured way, and for this reason, it is a necessary procedure in progra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ior needs of 32 home-based persons with stroke and 32 family caregivers when construct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improving the daily living ability of the disabled. The investigation procedure of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interviews, an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derived. First, home-based persons with strok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hoped for major improvements in 'hand', 'finger', 'small upper extremity muscle', 'arm', 'shoulder', 'fall', 'gait', etc. part responded. As a result of the categorization process for the needs survey, those were categorized into 'mobility', 'balancing ability', and 'accommodative ability'.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considered by home-based persons with strok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includes not only the biological ability of physical ability, but also the sociality of daily life to a certain extent. This study approached very cautiously on the importance of the needs to be col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and was is expected to be an exemplary on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in developing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재가뇌졸중장애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시 요구도 조사는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수집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의 노력이라는 높은 수준의 가치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요구도 조사는 계획적이고, 짜임새 있게 접근해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연구대상자를 이해함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재가뇌졸중장애인 32인과 가족보호자 32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개선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시 선행하는 요구도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조사절차는 2회의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재가뇌졸중장애인과 가족보호자들은 요구도 조사에서 장애 부위인 ‘손’, ‘손가락’, ‘상지 소근육’, ‘팔’, ‘어깨’, ‘넘어짐’, ‘걸음걸이’ 등을 주요 개선 희망 부위로 응답하였다. 또한, 요구도 조사에 대한 범주화 과정을 거친 결과, ‘이동능력’, ‘균형능력’, ‘조절능력’으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재가뇌졸중장애인과 가족보호자가 생각하는 신체활동은 단순히 신체능력의 생물학적 능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대한 사회성도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연구대상자가 갖는 요구 사항에 대한 중요성에 대하여 매우 진지한 시각에서 접근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요구도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절차에 있어서 모범적인 하나의 사례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번역하기

      재가뇌졸중장애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시 요구도 조사는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수집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의 노력이라는 높은 수준의 가치를 ...

      재가뇌졸중장애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시 요구도 조사는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수집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의 노력이라는 높은 수준의 가치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요구도 조사는 계획적이고, 짜임새 있게 접근해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연구대상자를 이해함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재가뇌졸중장애인 32인과 가족보호자 32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개선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시 선행하는 요구도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조사절차는 2회의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재가뇌졸중장애인과 가족보호자들은 요구도 조사에서 장애 부위인 ‘손’, ‘손가락’, ‘상지 소근육’, ‘팔’, ‘어깨’, ‘넘어짐’, ‘걸음걸이’ 등을 주요 개선 희망 부위로 응답하였다. 또한, 요구도 조사에 대한 범주화 과정을 거친 결과, ‘이동능력’, ‘균형능력’, ‘조절능력’으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재가뇌졸중장애인과 가족보호자가 생각하는 신체활동은 단순히 신체능력의 생물학적 능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대한 사회성도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연구대상자가 갖는 요구 사항에 대한 중요성에 대하여 매우 진지한 시각에서 접근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요구도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절차에 있어서 모범적인 하나의 사례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2 김경숙,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동기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6 (26): 285-295, 2017

      3 권관배, "청소년 태권도 품새 선수의 선수 경력 선택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 (74) : 483-496, 2018

      4 홍혜수, "질적 연구 방법론에 따른 근육장애인의 스마트 모니터링 및 코칭 요구도 조사" 2 : 33-35, 2018

      5 김현옥,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의 보건 복지 서비스 요구도 조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8 (18): 480-491, 2007

      6 최해경, "중증장애인 자녀를 위한 평생계획과 주보호자의 연령과 사적․공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7 (27): 389-414, 2016

      7 구근호, "재가·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경험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 방법에 의한 접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6) : 75-100, 2014

      8 이상원, "재가 장애노인의 복지서비스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연구" 2 (2): 175-192, 2005

      9 김경숙, "장애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21) : 695-704, 2004

      10 윤상용, "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3 : 59-72, 2018

      1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2 김경숙,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동기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6 (26): 285-295, 2017

      3 권관배, "청소년 태권도 품새 선수의 선수 경력 선택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 (74) : 483-496, 2018

      4 홍혜수, "질적 연구 방법론에 따른 근육장애인의 스마트 모니터링 및 코칭 요구도 조사" 2 : 33-35, 2018

      5 김현옥,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의 보건 복지 서비스 요구도 조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8 (18): 480-491, 2007

      6 최해경, "중증장애인 자녀를 위한 평생계획과 주보호자의 연령과 사적․공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7 (27): 389-414, 2016

      7 구근호, "재가·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경험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 방법에 의한 접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6) : 75-100, 2014

      8 이상원, "재가 장애노인의 복지서비스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연구" 2 (2): 175-192, 2005

      9 김경숙, "장애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21) : 695-704, 2004

      10 윤상용, "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3 : 59-72, 2018

      11 이준우, "장애인복지공급체계 개편 방향 탐색: 장애인지원센터, 지방자치단체, 서비스제공기관의 역할정립 및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9) : 131-150, 2012

      12 박정연, "장애인과 보호자와의 관계 유형에 따른 장애인의 구강건강상태 관련성" 한국융합학회 9 (9): 303-311, 2018

      13 전봉윤, "장애인 재가복지봉사센터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1 (1): 131-146, 1997

      14 이기희, "일부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재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15 구교만,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뇌병변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요인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60) : 633-643, 2015

      16 김보영, "우리나라 복지행정 개혁과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 분석을 통한 공공 복지행정의 방향 모색"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35-63, 2015

      17 석재은, "돌봄서비스의 사회화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 123 : 28-32, 2009

      18 구도훈, "뇌졸중 환자의 신체 기능 회복에 따른 체간 기능 및 근육 모드 변화"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9 박창식, "뇌졸중 환자의 낮병원 프로그램이 도구적․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67-277, 2012

      20 전은영,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 상태(FIM) 및 가정간호 요구도 분석" 한국재활간호학회 8 (8): 149-156, 2005

      21 최혜숙, "뇌졸중 환자의 가정작업치료 요구도" 대한작업치료학회 13 (13): 9-21, 2005

      22 곽혜원, "뇌졸중 환자 대상의 연하재활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 논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394-7402, 2015

      23 염주노, "뇌병변 소아·청소년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보호자와 재활치료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24 최선경, "가치 비평적(value-critical) 접근의 재가 성인 지적장애인 장애인복지 정책방안" 한국시민윤리학회 23 (23): 287-304, 2010

      25 황수경, "WHO 의 새로운 국제장애분류 (ICF) 에 대한 이해와 기능적 장애 개념의 필요성" 4 (4): 128-149, 2004

      26 김수민, "PNF와 순환운동의 집단훈련이 재가 뇌졸중 장애인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27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