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중재가 초등학생의 대사성 위험인자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신체 건강한 초등학교 5학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857444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스포츠과학과 , 2012. 8
2012
한국어
796 판사항(22)
서울
(The)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vi, 43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손태열
참고문헌 : p. 35-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중재가 초등학생의 대사성 위험인자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신체 건강한 초등학교 5학년...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중재가 초등학생의 대사성 위험인자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신체 건강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총 4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운동중재 사전과 사후 동일한 조건에서 신체구성, 심폐체력, 대사성위험인자, 학업성취도를 반복하여 측정하고 자료 분석을 하였다.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심폐체력과 혈압 그리고 혈당은 운동중재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운동중재참여도는 체중과 호마지수와는 부적상관관계를 그리고 심폐체력과는 양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중재참여는 체력증진은 물론이고 대사성 위험인자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운동중재 참여에 따른 심폐체력개선정도가 혈중 BDNF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심폐체력개선정도에 따라 혈중 BDNF 수준과는 양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6).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운동중재 참여에 따른 심폐체력개선정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피검자를 운동중재에 의한 심폐체력개선정도에 따라 낮은, 중간, 높은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집단 간 학업성취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심폐체력개선이 가장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수학성적이 유의하게(p=0.01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기술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운동중재참여는 초등학생의 체력증진과 대사증후군개선 그리고 학업성취도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