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 다문화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의 다문화 역량 및 서비스 질의 관계를 탐색하고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방안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 다문화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의 다문화 역량 및 서비스 질의 관계를 탐색하고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방안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 다문화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의 다문화 역량 및 서비스 질의 관계를 탐색하고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방안 등에 관한 함의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현재 정부의 다문화정책은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통합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경기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인력 157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질과 다문화 역량 변인들의 관계를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인력은 전문자격증 소지자들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교육 및 종합적인 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서비스 질과 다문화 역량이 높은 편이다. 특히 다문화 역량의 특성은 일반적 변인, 전문인력 변인, 교육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서비스 질은 학력, 자격증, 다문화 교육 시간 등에 따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력의 교육과 근무기간 등의 특성과 다문화 역량 요인인 지식과 기술이 서비스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다문화 역량 증진과 서비스 질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인력양성체계 등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manpower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order to enhance the general competence of immigrant support centers. This paper targets 157 workers in 37 multicul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manpower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order to enhance the general competence of immigrant support centers. This paper targets 157 workers in 37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ervice qua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paper, About the service qual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service quality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level that is above average. Also, in the factors regarding multicultural competence, knowledge was the highest. And about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the tangible factor in physical aspects was the greatest. Moreover, about multicultural competenc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monthly income, social position, working period, major tasks,specialized licenses,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training, and about service quality, by the academic career, licenses, and hours of multicultural training.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subjects’ characteristics,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ervice quality,specialize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orking period and training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factors such as knowledge and skills had positive effects on service quality. Thereupon, to enhanc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ervice quality of manpower in immigrant support institute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reinforcing expertise accompanied by constant training and working experience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침해조사과 2010
2 윤인진, "효과적인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민관협력방안" 79-99, 2008
3 빈부격차, "혼혈인 등 소수의 사회통합 지원 방향" 빈부격차․ 차별시정위원회 2006
4 정재기, "한국의 다문화상황과 사회통합"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1
5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57-59, 2007
6 노석태, "한국에서의 외국인의 인권-국제인권법의 관점에서의 검토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48 (48): 255-288, 2007
7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8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117-144, 2007
9 조석주,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지원 활성화방안 - 외국인 근로자 및 결혼이민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3-46, 2007
10 정무성,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이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5 (5): 163-207, 2006
1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침해조사과 2010
2 윤인진, "효과적인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민관협력방안" 79-99, 2008
3 빈부격차, "혼혈인 등 소수의 사회통합 지원 방향" 빈부격차․ 차별시정위원회 2006
4 정재기, "한국의 다문화상황과 사회통합"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1
5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57-59, 2007
6 노석태, "한국에서의 외국인의 인권-국제인권법의 관점에서의 검토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48 (48): 255-288, 2007
7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8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117-144, 2007
9 조석주,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지원 활성화방안 - 외국인 근로자 및 결혼이민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3-46, 2007
10 정무성,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이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5 (5): 163-207, 2006
11 신동기, "지역사회 복지관의 서비스 질이 수요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2 이원욱, "지방정부 공공서비스 질이 성과에 미친 영향" 한국행정연구소 42 (42): 53-74, 2004
13 조석주, "지방자치단체의 결혼이민자 지원정책 개선방안" 1975-2733, 2008
14 장석준, "지방자치단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제도화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행정학회 22 (22): 175-200, 2011
15 정상기, "종사자 유형별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를 중심으로" 2011
16 외국인정책위원회, "제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2008-2012)" 외국인정책위원회 2008
17 법무부, "제10회 외국인정책위원회 : 2012년 외국인정책시행 계획" 법무부 2012
18 이혜경,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정부의 다문화정책 평가, In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한국사회학회․동북아시대위원회 2007
19 차용호,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향" 2008
20 법무부출입국, "이민자 사회통합교육 이수제 : 시범실시를 위한 문답식 세부 안내서"
21 행정안전부,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안전부 2010
22 행정안전부,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안전부 2011
23 김이선,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6
24 서해정,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의 질과 결혼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59-389, 2009
25 김인철,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26 유시정, "서비스기업의 조직내 리더십과 팔로워십이 임파워먼트, 직무태도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9 (9): 103-129, 2008
27 김용석, "서비스 질 척도(서브퍼프)의 타당화 연구: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07-135, 2009
28 윤기찬, "서브퍼프(SERVPERF)를 이용한 사회복지서비스의 질 측정 및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연구소 42 (42): 133-162, 2004
29 신복기, "사회복지행정론" 양서원 2008
30 송기범,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9 (29): 39-69, 2010
31 최상미, "사회복지시설의 보상체계 특성과 정립방향에 대한 탐색적 고찰" 15 : 97-118, 2007
32 민선영,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에 관한 탐색적 연구" 1 : 1-28, 2008
33 송건섭, "사회복지관의 성과평가 모형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SERVQUAL을 이용한 질적평가"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79-100, 2006
34 황미경, "북한이탈주민의 복지권 보장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2 (2): 71-94, 2012
35 이주희, "변혁적 리더십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경로분석 - 장애인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8 (28): 69-94, 2009
36 장인실,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7-53, 2006
37 최명민,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학지사 2009
38 법무부, "등록외국인 현황" 법무부 2010
39 법무부, "등록외국인 현황" 법무부 2011
40 김영은, "돌봄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 수행정도가 서비스 질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217-237, 2011
41 김민정, "도시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역량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711-737, 2010
42 민성혜,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83-206, 2009
43 김민경,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 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을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 19 (19): 945-965, 2010
44 이선주,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Ⅲ):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과 다각적 협력체계 증진방안(총괄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45 민무숙,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Ⅲ) :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 연구원 2009
46 원숙연, "다문화주의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 외국인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한국행정학회 42 (42): 29-49, 2008
47 장임숙, "다문화적 인식이 정책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2 (22): 247-270, 2010
48 윤갑정,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개발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55-85, 2008
49 홍기원, "다문화사회의 정책과제와 방향 : 문화정책의 역할과 과제" 2007
50 이종복,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양서원 2012
51 이종복,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양서원 2012
52 김이선,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문화정책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53 "다문화가족지원정책 2012년도 시행계획"
54 김성숙,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종사자 관점에서 본사업 운영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35-58, 2010
55 정상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에 관한 실태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 17 (17): 229-255, 2010
56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계획(2010~2012)2011년도 시행계획" 여성가족부 2011
57 장명선, "다문화가족지원 서비스전달체계의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시여성 가족재단 2010
58 이혜경, "다문화가족복지론" 양서원 2008
59 양옥경, "다문화가족 지역정착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60 장미혜,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사회적 실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61 최혜지, "다문화 실천인력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7 (37): 405-439, 2011
62 노충래,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07-231, 2011
63 유용식, "다문화 사회 대응정책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47-470, 2009
64 박천응, "다문화 교육의 탄생(The Gene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국경없는 마을 2009
65 김금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3 : 79-108, 2009
66 박주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395-432, 2007
67 황미경, "국내 외국인 이주민 지원제도와 복지권 고찰"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33-255, 2010
68 설동훈,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6
69 변화순,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정폭력 피해현황과 지원체계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70 고경환,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평가 : 상담서비스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71 Cross, T., "Towards a culturally compenent system of care"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1989
72 문신용, "SERVQUAL기법을 활용한 가족복지서비스의 질적 수준 평가 :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153-172, 2010
73 이강, "SERVQUAL 모형의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서울행정학회 15 (15): 449-470, 2004
74 김은정, "SERVQUAL 모형에 근거한 사회서비스 품질의구성차원과 서비스 만족도: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91-217, 2009
75 D`Andrea, M., "New developments in the assessment of multicultural competence: The multicultural awareness-knowledge-skills survey-teacher form, In Handbook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 Psychology" Sage 154-167, 2003
76 Gronroos, C., "Innovating marketing strategies and organization structures for service firms, In Service marketing (2nd ed.)" Practice Hall 433-488, 1983
77 Weaver, H. N., "Explorations in cultural competence: Journeys to the four directions" Thomson 2005
78 Taylor. C., "Examination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ston University Press 1994
79 Glenn, G., "Cultural competency revised : The california brief multicultural competency scale" 27 : 163-170, 2004
80 McPhatter, A. R.,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2 : 255-278, 1997
81 Sue, D. W., "Counseling the culturally diverse" Wiley 2003
82 Parasuraman, A., "Communication and control processes in the delivery of service quality" 52 : 35-48, 1988
83 Ponterotto, J. G., "Assessing teacher multicultural competence, In Handbook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 psychology" Sage 191-210, 2003
84 Salo-Lee, L., "Aspecs of intercultural dialogue" Saxa-Verlag 79-92, 2006
85 Parasuraman, A.,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9 : 41-50, 1985
86 Sue, D. W., "A Conceptual model for cultural diversity training" 70 : 99-105, 1991
87 "87 Assessment tool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Electronic version]" School for International Training
88 여성가족부, "2012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89 여성가족부, "2011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90 여성가족부, "2011년 국제결혼 이주여성 현황" 여성가족부 2011
다문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 멘토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초등 통합교과를 활용한 반편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4 | 1.74 | 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1 | 1.84 | 1.857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