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강악안면 낭종에 대한 임상적 연구 = Clinical Study of cyst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55415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치의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7.6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Clinical Study of cyst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 형태사항

        20 p: 삽도; 30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국민석
        참고문헌 : p. 16-18

      • 소장기관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구강악안면에 발생하는 낭종의 임상적 양상을 조사하고 이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전남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조직병리학적으로 낭종으로 진단 받은 94명의 환자의 임상기록지와 방사선 사진을 평가하였다.
      결과:
      1. 전체 94례 중 남자 59례 (62.7 %), 여자 35례 (37.3 %)로 남자에서 더 많이 호발하였다.
      2. 환자의 연령은 5세에서 79세로 평균 37.3세였으며, 20대에서 19례 (20.2 %), 10대에서 17례 (18.1 %), 40대에서 15례 (16.0 %)로 호발하였다.
      3. 치근단 낭종과 함치성 낭종이 각각 44례 (46.8 %), 23례 (24.5 %)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4. 낭종의 호발 부위는 하악 구치부 32례 (34.0 %), 상악 전치부 28례 (29.8 %), 상악 구치부 10례 (10.6 %) 순으로 나타났다.
      5. 임상적 증상으로는 부종 (45례), 무증상 (29례), 경결감 (20례), 동통 (17례), 농양 (13례)이였다.
      6. 주 치료법으로는 원인치아를 발거 또는 근관치료를 시행하면서 그와 동시에 낭종 적출술을 시행하는 Combinational operation 이 83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낭종 적출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11 %, 조대술을 시행한 경우가 5%, 조대술 시행 후 적출술을 시행한 경우가 1%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구강악안면 부위에 발생하는 낭종 중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것은 치근단 낭종과 함치성 낭종이였으며 이들은 골이식술과 같이 시행된 낭종 적출술로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었음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구강악안면에 발생하는 낭종의 임상적 양상을 조사하고 이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전남대학병원 구강...

      목적: 본 연구는 구강악안면에 발생하는 낭종의 임상적 양상을 조사하고 이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전남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조직병리학적으로 낭종으로 진단 받은 94명의 환자의 임상기록지와 방사선 사진을 평가하였다.
      결과:
      1. 전체 94례 중 남자 59례 (62.7 %), 여자 35례 (37.3 %)로 남자에서 더 많이 호발하였다.
      2. 환자의 연령은 5세에서 79세로 평균 37.3세였으며, 20대에서 19례 (20.2 %), 10대에서 17례 (18.1 %), 40대에서 15례 (16.0 %)로 호발하였다.
      3. 치근단 낭종과 함치성 낭종이 각각 44례 (46.8 %), 23례 (24.5 %)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4. 낭종의 호발 부위는 하악 구치부 32례 (34.0 %), 상악 전치부 28례 (29.8 %), 상악 구치부 10례 (10.6 %) 순으로 나타났다.
      5. 임상적 증상으로는 부종 (45례), 무증상 (29례), 경결감 (20례), 동통 (17례), 농양 (13례)이였다.
      6. 주 치료법으로는 원인치아를 발거 또는 근관치료를 시행하면서 그와 동시에 낭종 적출술을 시행하는 Combinational operation 이 83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낭종 적출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11 %, 조대술을 시행한 경우가 5%, 조대술 시행 후 적출술을 시행한 경우가 1%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구강악안면 부위에 발생하는 낭종 중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것은 치근단 낭종과 함치성 낭종이였으며 이들은 골이식술과 같이 시행된 낭종 적출술로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었음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yst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is frequently encountered clinical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pattern of cysts and to help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yst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Patient's medicalrecords, conventional radiograph, and CT scans were evaluated in 94 patients who had been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cysts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2 to 2006.
      Among total patient of 94 cases, male were 59 cases (62.7 %) and female were 35 cases (37.3 %). In histologic classification, radicular cyst was 46.8%, Dentigerous cyst 24.5%, nasopalaine cyst 7.4%, residual cyst 7.4%, and odontogenic keratocyst 5.3% repectively. Themajor primary site of cysts were mandibular posterior area (32 cases, 34.0%), maxillary anterior area (28 cases, 29.8%), maxillary posterior area (10 cases, 10.6 %). Clinical signs and symptoms were swelling in 45 cases (29.0 %), no symptoms in 29 cases (18.7 %), tenderness in 20 cases (12.9 %), pain in 17 cases (11.0 %), and pus in 13 cases (8.4 %). The main treatment method was enucleation in 85 cases (43.1 %), bone graft in 63 cases (32.0 %), teeth extraction in 18 cases (9.1 %), and endodontic treatment in 12 cases (6.1 %).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20 cases (17.0 %) with hypoesthesia (6 cases), Fistula (5 cases), pus (4 cases), swelling (2 cases), recurrences (2 cases), and teeth discoloration (1 cas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st common involved site is maxillary anteriors, most common type of cyst is radicular cyst, and most common type of treatment is cyst enucleation and bone graft.
      번역하기

      Cyst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is frequently encountered clinical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pattern of cysts and to help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ysts in the oral and maxillofaci...

      Cyst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is frequently encountered clinical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pattern of cysts and to help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yst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Patient's medicalrecords, conventional radiograph, and CT scans were evaluated in 94 patients who had been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cysts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2 to 2006.
      Among total patient of 94 cases, male were 59 cases (62.7 %) and female were 35 cases (37.3 %). In histologic classification, radicular cyst was 46.8%, Dentigerous cyst 24.5%, nasopalaine cyst 7.4%, residual cyst 7.4%, and odontogenic keratocyst 5.3% repectively. Themajor primary site of cysts were mandibular posterior area (32 cases, 34.0%), maxillary anterior area (28 cases, 29.8%), maxillary posterior area (10 cases, 10.6 %). Clinical signs and symptoms were swelling in 45 cases (29.0 %), no symptoms in 29 cases (18.7 %), tenderness in 20 cases (12.9 %), pain in 17 cases (11.0 %), and pus in 13 cases (8.4 %). The main treatment method was enucleation in 85 cases (43.1 %), bone graft in 63 cases (32.0 %), teeth extraction in 18 cases (9.1 %), and endodontic treatment in 12 cases (6.1 %).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20 cases (17.0 %) with hypoesthesia (6 cases), Fistula (5 cases), pus (4 cases), swelling (2 cases), recurrences (2 cases), and teeth discoloration (1 cas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st common involved site is maxillary anteriors, most common type of cyst is radicular cyst, and most common type of treatment is cyst enucleation and bone graf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 Ⅰ. 서론 = 3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4
      • Ⅲ. 결과 = 5
      • Ⅳ. 고찰 = 11
      • (초록) = 1
      • Ⅰ. 서론 = 3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4
      • Ⅲ. 결과 = 5
      • Ⅳ. 고찰 = 11
      • Ⅴ. 결론 = 15
      • Ⅴ. 참고문헌 = 16
      • (Abstract) = 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