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문화생산자 육성을 위한 시민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Citizen Education Contents for Fostering Local Cultural Produc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70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인문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시행 된 인문대중화 사업 중 인문도시와 지역인문학육성사업들이 시민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교육내용들로 구성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현재 사회전반에 불고 있는 인문학 대중화 현상에 대한 문제를 살펴서 인문학의 실천적 방향성을 인문도시, 지역인문학육성사업과 연계하여 시민교육으로 나아갈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 거주자의 다양한 경험이 그 지역의 문화적 자양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 반을 조성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필요하다. 둘째, 인문학 대중화 사업이 성과를 낼 수 있기 위해서는 대학이나 연구소는 인큐베이터의 역할을 하고 시민이 주체가 되도록 교육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여러 부서에서 진행되는 유사 인문학육성 사업도 시민 교육이 기저에 있어야만 인문학을 통한 시민교육이 성공할 수 있다. 넷째, 사업 성과분석과 아울러 오류를 수정하고 환류 가능한 인문도시 네트워크를 결성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을 통한 취약계층의 사회적 탄력성을 강화하여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힘을 얻는 기반을 조성하는 기틀이 될 만한 교육과정을 생애주기별 교육 순환구조를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인문도시 네트워크는 강사인력의 제공하는 인재뱅크가 될 수도 있고, 교육내용을 상호 교환하여 서로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풍성해지는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인문학이 서구의 지식을 무비판적으로 이식하면서 인문학 본연의 사명을 다하지 못 한 통렬한 반성과 더불어 사회로부터 유리된 현실에 대한 이유를 고찰하려는 노력이 ‘대중 인문학’으로 실현되었다. 현재까지 인문학이 그동안 대중강연 중심의 한 방향으로만 소비하는 인문학이었다면 앞으로는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실천하는 인문학, 나아가 사유하는 인문학으로 성장하여 지역 발전의 근간이 되기를 바란다. 그렇게 된다면 선진시민 사회의 품격을 갖추게 되어 인류 보편의 지성과 조화롭게 연결되어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면서 협력하여 지역사회를 구동하는 새로운 얼개가 되어 줄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인문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시행 된 인문대중화 사업 중 인문도시와 지역인문학육성사업들이 시민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교육내용들로 구성될 필요가 있는...

      이 글은 인문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시행 된 인문대중화 사업 중 인문도시와 지역인문학육성사업들이 시민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교육내용들로 구성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현재 사회전반에 불고 있는 인문학 대중화 현상에 대한 문제를 살펴서 인문학의 실천적 방향성을 인문도시, 지역인문학육성사업과 연계하여 시민교육으로 나아갈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 거주자의 다양한 경험이 그 지역의 문화적 자양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 반을 조성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필요하다. 둘째, 인문학 대중화 사업이 성과를 낼 수 있기 위해서는 대학이나 연구소는 인큐베이터의 역할을 하고 시민이 주체가 되도록 교육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여러 부서에서 진행되는 유사 인문학육성 사업도 시민 교육이 기저에 있어야만 인문학을 통한 시민교육이 성공할 수 있다. 넷째, 사업 성과분석과 아울러 오류를 수정하고 환류 가능한 인문도시 네트워크를 결성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을 통한 취약계층의 사회적 탄력성을 강화하여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힘을 얻는 기반을 조성하는 기틀이 될 만한 교육과정을 생애주기별 교육 순환구조를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인문도시 네트워크는 강사인력의 제공하는 인재뱅크가 될 수도 있고, 교육내용을 상호 교환하여 서로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풍성해지는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인문학이 서구의 지식을 무비판적으로 이식하면서 인문학 본연의 사명을 다하지 못 한 통렬한 반성과 더불어 사회로부터 유리된 현실에 대한 이유를 고찰하려는 노력이 ‘대중 인문학’으로 실현되었다. 현재까지 인문학이 그동안 대중강연 중심의 한 방향으로만 소비하는 인문학이었다면 앞으로는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실천하는 인문학, 나아가 사유하는 인문학으로 성장하여 지역 발전의 근간이 되기를 바란다. 그렇게 된다면 선진시민 사회의 품격을 갖추게 되어 인류 보편의 지성과 조화롭게 연결되어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면서 협력하여 지역사회를 구동하는 새로운 얼개가 되어 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uman Cities Support project ran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s been sharing achievements, in humanities studies based on regionality researches, with regular citizens through humanities events/lectures since 2012.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expand the base of humanities as well as to strive for branding of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The emphasis lies in discovering regional humanistic resources and making a strong connection with local government and civic groups.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may better serve as intellectual tasks rather than the main focus of humanities. As a result, the motivation or background behind the idea of “creative cities” and “cultural cities” is the reflection of capitalistic urban development and ignorance of “human beings” and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created by themselves. Korea has recently been benchmarking the success of cultural cities in Europe and developing tourist-centered theme parks. Despite of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such strategies have caused the attraction of new capitals and thus invaded residents in the cities. Eventually, this became a failure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ity. Humanities have been adopting knowledge of the west unquestioningly and, regretfully, failed to accomplish its duty. Furthermore, the effort in discovering the reason behind disengagement to society established with “popular humanities.” Despite of fierce criticisms, Humanities Popularization project will allow a coherent connection to intelligence. If the community may discover its spiritual value and transform itself into active group through this project, the humanities have accomplished its mission.
      번역하기

      The Human Cities Support project ran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s been sharing achievements, in humanities studies based on regionality researches, with regular citizens through humanities events/lectures since 2012. The purpose of thi...

      The Human Cities Support project ran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s been sharing achievements, in humanities studies based on regionality researches, with regular citizens through humanities events/lectures since 2012.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expand the base of humanities as well as to strive for branding of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The emphasis lies in discovering regional humanistic resources and making a strong connection with local government and civic groups.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may better serve as intellectual tasks rather than the main focus of humanities. As a result, the motivation or background behind the idea of “creative cities” and “cultural cities” is the reflection of capitalistic urban development and ignorance of “human beings” and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created by themselves. Korea has recently been benchmarking the success of cultural cities in Europe and developing tourist-centered theme parks. Despite of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such strategies have caused the attraction of new capitals and thus invaded residents in the cities. Eventually, this became a failure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ity. Humanities have been adopting knowledge of the west unquestioningly and, regretfully, failed to accomplish its duty. Furthermore, the effort in discovering the reason behind disengagement to society established with “popular humanities.” Despite of fierce criticisms, Humanities Popularization project will allow a coherent connection to intelligence. If the community may discover its spiritual value and transform itself into active group through this project, the humanities have accomplished its mi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인문학 대중화의 득과 실 Ⅲ.인문학의 실천적 내용의 필요성 Ⅳ. 지역문화 생산자 육성을 위한 시민교육내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 Ⅰ. 머리말 Ⅱ.인문학 대중화의 득과 실 Ⅲ.인문학의 실천적 내용의 필요성 Ⅳ. 지역문화 생산자 육성을 위한 시민교육내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철우, "희망의 인문학: 세상과 소통하는 희망의 인문학 수업" 이매진 2008

      2 사사키, "창조하는 도시: 사람, 문화, 산업의 미래" 소화 2004

      3 윤나래, "주부들의 여성주의 '실천인문학' 공부와 풀뿌리 여성운동의 가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 Kaufmann, W, "인문학의 미래: 왜 인문학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 동녘 2011

      5 교육부, "인문학대중화사업 설명회 자료집"

      6 박찬욱, "인문학 융합의 현상진단 및 정책 방향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7 천정환, "인문학 열풍에 관한 성찰과 제언: 시민인문학 강좌를 중심으로" 영미문학연구회 (38) : 100-127, 2015

      8 김지원, "인문도시지원사업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연구재단 선정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9-26, 2017

      9 국토연구원, "유럽문화수도추진전략의 성과와 시사점" 2008

      10 조운찬, "왜 사회가 인문학을 원하는가? 한국인문학의 미래" 2014

      1 임철우, "희망의 인문학: 세상과 소통하는 희망의 인문학 수업" 이매진 2008

      2 사사키, "창조하는 도시: 사람, 문화, 산업의 미래" 소화 2004

      3 윤나래, "주부들의 여성주의 '실천인문학' 공부와 풀뿌리 여성운동의 가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 Kaufmann, W, "인문학의 미래: 왜 인문학을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 동녘 2011

      5 교육부, "인문학대중화사업 설명회 자료집"

      6 박찬욱, "인문학 융합의 현상진단 및 정책 방향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7 천정환, "인문학 열풍에 관한 성찰과 제언: 시민인문학 강좌를 중심으로" 영미문학연구회 (38) : 100-127, 2015

      8 김지원, "인문도시지원사업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연구재단 선정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9-26, 2017

      9 국토연구원, "유럽문화수도추진전략의 성과와 시사점" 2008

      10 조운찬, "왜 사회가 인문학을 원하는가? 한국인문학의 미래" 2014

      11 박진우, "어떤 인문학적 상상력이 필요한가:‘언론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인문학’의현실과 과제(특별호)" 한국언론학회 9 : 9-39, 2013

      12 고병헌, "실천인문학의 다양한 가능성과 효과성 고찰: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37 (37): 59-84, 2007

      13 박연규, "시민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자율과 자유, 지역성의 경험" 인문학연구소 (16) : 213-223, 2009

      14 윤용택, "소외계층을 위한 대중철학교육의 의미: ‘제주희망대학 인문학 과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40 : 101-117, 2008

      15 윤형주, "빈곤지역 중년여성의 인문학 학습에 관한 비판적 문화기술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6 민순덕,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인문학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9

      17 요시미 슌야, "대학이란 무엇인가" 글항아리 2014

      18 윤희윤, "공공도서관 인문학 향연의 담론"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7 (47): 1-20, 2016

      19 장덕현, "공공도서관 기반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현상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8 (48): 99-116, 2017

      20 박성훈, "EU 문화정책의 유럽통합에 대한 파급효과와 동아시아 통합에 대한 시사점: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EU연구센터 200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