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 검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접을 시행하여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의 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31288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7-80(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 검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접을 시행하여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의 요...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 검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접을 시행하여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의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문항을 개발한 다음, 초등교원 및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또한 G광역시 소재 1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857명을 대상으로 변수중심 검사타당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 검사에서 각각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학습자원관리전략의 3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사용하여 타당화한 결과, 3요인 23문항의 수학 시험준비전략 검사와 3요인 24문항의 수학 시험수행전략 검사가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를 이용하여 초등학생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의 각 요인별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요인별 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he test-taking strategies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developing factors and items of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he test-taking strategies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developing factors and items of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est-taking strategies scales. The subjects were 857 students in 6th grade from 13 elementary schools in G-city.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used for validating the sca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he test taking strategies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three strategies: cognitive, metacognitive, and learning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respectively. Second,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strategie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rised of three factors and 23 items, and the mathematics test-taking strategies scale three factors and 24 items. The scales could be used to assess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est-taking strategies and to further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strategies us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석, "학습전략 검사지 초, 중, 대용[1]" 한국연구재단(NRF)연구성과물. 충남대학교 2000
2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시험전략" 교육과학사 1999
3 박한숙,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태도,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4 변영계, "학습기술" 학지사 2003
5 박도영, "학구적 지·정·의와 성취도의 인과구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6 박주경, "초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 발생 경향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265-283, 2013
7 김동관,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서술형 평가를 통한 수학적 추론 능력 및 오류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 (18): 123-148, 2014
8 김동일, "청소년 학습전략 검사Assessment of Learning strategy for Adolescent)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6 (6): 95-115, 2005
9 신택수,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641-664, 2010
10 황재규,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2 (12): 1833-1855, 2011
1 김종석, "학습전략 검사지 초, 중, 대용[1]" 한국연구재단(NRF)연구성과물. 충남대학교 2000
2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시험전략" 교육과학사 1999
3 박한숙,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태도,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4 변영계, "학습기술" 학지사 2003
5 박도영, "학구적 지·정·의와 성취도의 인과구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6 박주경, "초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 발생 경향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265-283, 2013
7 김동관,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서술형 평가를 통한 수학적 추론 능력 및 오류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 (18): 123-148, 2014
8 김동일, "청소년 학습전략 검사Assessment of Learning strategy for Adolescent)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6 (6): 95-115, 2005
9 신택수,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비교를 통하여"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641-664, 2010
10 황재규,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2 (12): 1833-1855, 2011
11 김현진, "인지와 메타인지 전략교수가 경도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능력·태도·귀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박락영,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전략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103-126, 2008
13 Polya, G.,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교우사 2005
14 박한숙, "시험치기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97-115, 2004
15 김종석, "대학에서의 학습기능(Study Skills) 계발을 위한 학습방법 과목의 효과 검증" 30 (30): 165-185, 1991
16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2004
1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8, 2000
18 Dolly, J. P., "Using test-taking strategies to maximize multiple-choice test scores" 46 : 619-625, 1986
19 Parham, S. 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st-taking strategies and cognitive ability test performance"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1996
20 Bergman, L. R., "The person and the variable in development psychology" 218 (218): 155-165, 2010
21 VanZile-Tamsen, C., "The differential impact of motivation on the self-regulated strategy use of high-and low-achieving college students" 40 : 54-60, 1999
22 Dreisbach, M., "Testwiseness as a factor in readiness test performance of young Mexican-American children" 72 (72): 224-229, 1982
23 Kitsantas, A., "Test preparation and performance : A self-regulatory analysis" 70 : 101-113, 2002
24 Kim, Y., "Strategic processing of test questions: The test marking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5 : 211-218, 1993
25 Hofer, K. H.,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 reflective practice" Guilford Press 57-85, 1998
26 BIϚAKa, B., "Scale for Test preparation and Test Taking Strategies" 13 (13): 279-289, 2013
27 Nguyen, H. D., "Relating Test-Taking Attitudes and Skills and Stereotype Threat Effects to the Racial Gap in Cognitive Ability Test Performance" 16 (16): 261-293, 2003
28 장소영, "Rasch 측정 모형을 이용한 문법 학습전략 도구개발의 타당화 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39 (39): 253-277, 2013
29 이정혜,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87-103, 2013
30 P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rentice-Hail 2002
31 Garofalo, J., "Metacognition, cognitive monitoring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16 (16): 163-176, 1985
32 Ebel, R., "Measuring educational achievement" Prentice-Hall 1965
33 권선방, "Keirsey 이론에 의한 중·고등학생용 학습유형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8
34 Crocker, L.,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6
35 McLellan, J., "Facing the reality of achievement test" 18 : 36-40, 1989
36 Samson, G. E., "Effects of training in test-taking skills on achievement test performance : A quantitative synthesis" 78 (78): 261-266, 1985
37 Field, A.,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for windows" Sage Publications 2000
38 Carraway, C.,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of nursing test scores and test-anxiety levels before and after a test-takong strategy seminar"
39 Taylor, K., "Co-opting standardized tests in the service of learning" 79 (79): 66-70, 1997
40 McClain, L., "Behavior during examinations : A comparison of ‘A, ’ ‘C, ’ and ‘F’ students" 10 : 69-71, 1983
41 Dodeen, H., "Assessing test-taking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 : Developing a scale and estimating its psychometric indices" 33 (33): 409-419, 2008
42 Sundre, D. L., "An exploration of the psychology of the examinee: Can examinee self-regulation and test-taking motivation predict consequential and non-consequential test performance?" 29 : 6-26, 2004
43 Vattanapath, R., "An assessment of th effectiveness of teaching test-taking strategies for multiple-choice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est" 8 : 57-71, 1999
44 Millman, J., "An analysis of test-wiseness" 25 : 707-726, 1965
45 Herman, W. E., "An analysis of multiple-choice test item booklets" 1996
초등수학영재학급에서 교수자의 지도 목표와 학습자의 학습 목표 인식 간극 분석
한국과 미국(Harcourt Math)의 초등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분수와 소수의 도입과 연산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수ㆍ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9 | 1.328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