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의 연계성 연구 =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Language Art in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n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7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ndard of content 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art education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o reach the goal comparative analysis of objectives and content 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art education betwee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Link between the two curricul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by reviewing the curriculum guidelines, teachers` guidebooks and textbooks.
      Objectives for these two curricula are partly related in the area of language skills since both curricula put emphasis on communication. However, all area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re associated with structure while language skills are only emphasized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refore, objectives of the two curricula are not closely related. Overall categories for level Ⅰ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re close to preschool level; association between the two curricula is hard to find. Although 'Writing' can be more difficult communication method compare to listening and speaking, 'Writing' includes contents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from level Ⅰ, which shows its higher level than other categories.
      Level Ⅱ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includes various levels, from kindergarten program to second grade for elementary school. Listening includes level of preschool; speaking includes level of first and second grades; reading includes level of preschool to first grade; writing includes level of first grade.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for each category shows different level of difficulty.
      Level Ⅲ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is mostly related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include contents from the first to second grades; reading, which contains highest level, includes contents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ndard of content 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art education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o reach the goal comparative analysis of objectives and content structure for Korean langua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ndard of content 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art education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o reach the goal comparative analysis of objectives and content 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art education betwee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Link between the two curricul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by reviewing the curriculum guidelines, teachers` guidebooks and textbooks.
      Objectives for these two curricula are partly related in the area of language skills since both curricula put emphasis on communication. However, all area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re associated with structure while language skills are only emphasized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refore, objectives of the two curricula are not closely related. Overall categories for level Ⅰ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re close to preschool level; association between the two curricula is hard to find. Although 'Writing' can be more difficult communication method compare to listening and speaking, 'Writing' includes contents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from level Ⅰ, which shows its higher level than other categories.
      Level Ⅱ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includes various levels, from kindergarten program to second grade for elementary school. Listening includes level of preschool; speaking includes level of first and second grades; reading includes level of preschool to first grade; writing includes level of first grade.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for each category shows different level of difficulty.
      Level Ⅲ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is mostly related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include contents from the first to second grades; reading, which contains highest level, includes contents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내용체계의 내용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각 교육과정 해설서, 지도서,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각 영역별 비교를 통하여 연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목표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두 교육과정이 공통적으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언어 기능에 관한 부분에서 연계성이 있었다. 그러나 목표에서는 각 교육과정이 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각 영역을 통합하여 단계별로 고찰해보면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Ⅰ단계는 대체로 초등학교 이전 수준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찾을 수 없었다. ‘쓰기’는 듣기나 말하기와 비교해서 더 어려운 의사소통방법임에도, Ⅰ단계부터 초등 1학년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타 영역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Ⅱ단계는 유아부터 초등 2학년까지 내용 수준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듣기는 초등 이전(유아) 수준의 내용을 유지하였고, 말하기는 1학년, 2학년 내용과 연계되고, 읽기는 유아부터 1학년 내용, 쓰기는 1학년 내용과 연계되는 점을 미루어보아, 교육과정 내용체계 수준이 영역별로 일치하고 않고 있었다.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Ⅲ단계는 대체로 1학년과 2학년 내용과 연계되었는데, 듣기, 말하기, 쓰기는 1, 2학년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읽기는 1학년부터 3학년의 내용으로 읽기 영역이 가장 높은 수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내용체계의 내용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각 교육과정 해설...

      이 연구는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내용체계의 내용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분석하였다. 각 교육과정 해설서, 지도서,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각 영역별 비교를 통하여 연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목표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두 교육과정이 공통적으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언어 기능에 관한 부분에서 연계성이 있었다. 그러나 목표에서는 각 교육과정이 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각 영역을 통합하여 단계별로 고찰해보면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Ⅰ단계는 대체로 초등학교 이전 수준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찾을 수 없었다. ‘쓰기’는 듣기나 말하기와 비교해서 더 어려운 의사소통방법임에도, Ⅰ단계부터 초등 1학년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타 영역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Ⅱ단계는 유아부터 초등 2학년까지 내용 수준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듣기는 초등 이전(유아) 수준의 내용을 유지하였고, 말하기는 1학년, 2학년 내용과 연계되고, 읽기는 유아부터 1학년 내용, 쓰기는 1학년 내용과 연계되는 점을 미루어보아, 교육과정 내용체계 수준이 영역별로 일치하고 않고 있었다.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Ⅲ단계는 대체로 1학년과 2학년 내용과 연계되었는데, 듣기, 말하기, 쓰기는 1, 2학년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읽기는 1학년부터 3학년의 내용으로 읽기 영역이 가장 높은 수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청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박효주,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수학의 연계성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3 원선숙,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사회와 초등학교 사회과 관련 교육과정 내용 연계성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4 김영연, "초등학교와 중학교 문화교육의 연계성 연구 : 6-7학년 문학교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손민호, "초등 과학과 교육내용 제시방식을 중심으로 본 초중등간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교육연구소 5 (5): 159-181, 2004

      6 강민곤, "초등 고학년과 중등 저학년의 교육내용 연계성 연구 : 5~8학년 문학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허선영, "초등 6학년과 중등 1학년의 문학 교육내용 연계성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정혜승,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32 (32): 41-62, 2001

      9 김연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국어교육 연계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차진선, "유치원 언어생활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연계성검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1 주영희, "유치원 언어교육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20 : 33-59, 2002

      12 도선미,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언어생활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 교육과정의연계성 탐구" 경북대학교 2006

      13 남궁목화, "기본교육과정 ‘음악’과 유치원교육과정 ‘표현활동’ 및 공통교육과정 ‘즐거운 생활’의 연계성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225-244, 2011

      14 강경숙, "국어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의 비교․분석 및 연계방안" 1 : 89-119, 2000

      15 왕유진,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초등실과 교과서와 중등직업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05-226, 2010

      16 구봉주, "2008 개정 국어과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연계방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39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