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4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콜라주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언어·행동변화와 CBCL의 내재화 문제행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 학교에 다니는 만 13세 여자 다문화 청소년 1명으로서, 단일사례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에게 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로 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CBCL을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내재화 문제행동 영역의 T점수를 비교하였다. 아울러 콜라주 미술치료 회기별 언어·행동 변화와 작품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미술치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콜라주 미술치료는 다문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이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콜 라주 미술치료가 다문화 청소년 내재화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 증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콜라주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언어·행동변화와 CBCL의 내재화 문제행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 학교에 다니는 만 13�...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콜라주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언어·행동변화와 CBCL의 내재화 문제행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 학교에 다니는 만 13세 여자 다문화 청소년 1명으로서, 단일사례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에게 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로 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CBCL을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내재화 문제행동 영역의 T점수를 비교하였다. 아울러 콜라주 미술치료 회기별 언어·행동 변화와 작품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미술치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콜라주 미술치료는 다문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이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콜 라주 미술치료가 다문화 청소년 내재화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 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CBCL, language and behavior changes by applying collage art therapy to multicultural adolescent. The subject of study was one 13-year-old female multicultural adolescent who attended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Collage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12 sessions in total to the participant. The measurement tools were pre- and post-test using CBC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addition, changes in language, behavior and work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during the collage art therapy sess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language and behavior of internalization problems were positively improved as collage art therapy sessions continued. Second, collag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multicultural adolescent. Therefore, in this study, collage art therapy was affected positively on the improvement of reducing multicultural adolescent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CBCL, language and behavior changes by applying collage art therapy to multicultural adolescent. The subject of study was one 13-year-old female multicultural adolescent who attended the first grade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CBCL, language and behavior changes by applying collage art therapy to multicultural adolescent. The subject of study was one 13-year-old female multicultural adolescent who attended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Collage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12 sessions in total to the participant. The measurement tools were pre- and post-test using CBC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addition, changes in language, behavior and work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during the collage art therapy sess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language and behavior of internalization problems were positively improved as collage art therapy sessions continued. Second, collage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multicultural adolescent. Therefore, in this study, collage art therapy was affected positively on the improvement of reducing multicultural adolescent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Ⅱ. 연구 방법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Ⅱ.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 도구
      • 3. 연구 절차
      • 4. 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
      • 5. 자료 분석
      • Ⅲ. 연구 결과
      • 1. 회기별 과정에 따른 변화
      • 2. 내재화 문제행동의 변화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2019"

      2 김영란, "한국 다문화청소년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방향 - 인정/분배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2 (22): 127-159, 2020

      3 김은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콜라주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49-74, 2016

      4 김민경,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에미치는 영향" 3 (3): 1-28, 2013

      5 안미숙,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성향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3

      6 신동진, "콜라주 집단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7 이근매, "콜라주 진로상담 :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진로교육 및 상담 활용서" 학지사 2015

      8 이근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1 (11): 263-284, 2015

      9 김정옥,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87-106, 2017

      10 이근매, "잡지그림 콜라주 미술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19-41, 2016

      1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2019"

      2 김영란, "한국 다문화청소년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방향 - 인정/분배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2 (22): 127-159, 2020

      3 김은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콜라주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49-74, 2016

      4 김민경,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에미치는 영향" 3 (3): 1-28, 2013

      5 안미숙,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성향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3

      6 신동진, "콜라주 집단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7 이근매, "콜라주 진로상담 :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진로교육 및 상담 활용서" 학지사 2015

      8 이근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1 (11): 263-284, 2015

      9 김정옥, "중도입국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87-106, 2017

      10 이근매, "잡지그림 콜라주 미술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19-41, 2016

      11 이정원, "유아기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회복을 위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4

      12 김현정, "우울성향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콜라주미술치료사례연구" 3 (3): 77-105, 2013

      13 김은지, "쉼터 거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문제행동 감소를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21 : 51-75, 2014

      14 신효진, "부모자녀관계와 다문화가족지향성이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자존감 및 한국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597-604, 2019

      15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2019: 총관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55, 2019

      16 이지선,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화 경험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영향 비교: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40 (40): 39-56, 2019

      17 양계민, "국내 다문화청소년 정책 10년의 성과와 한계, 향후 정책의 방향성 모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24, 2018

      18 최나리, "고등학생의 불안감소를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4 (4): 1-23, 2014

      19 조월미,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of Immigrant Adolescents This paper is a part of Master’s thesis of Pyeongtaek University." The Child Developmental Supporting Center 9 (9): 135-156, 2019

      20 이정원, "The Effect of Collage Group Art Therapy on Resilience of Recovering Mothers after Birth"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23 (23): 1693-1718, 2016

      21 오경자,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중앙성연구소 1997

      22 Achenbach, T. M, "Integrative Guide for the 1991 CBCL 4-18, YST, and TRF Profiles" University of Vermont 1991

      23 Hyunsuk Jwa, "A meta-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and risk factors" The Research Center for Korea Youth Culture 49 : 85-, 2017

      24 통계청, "2019 청소년 통계"

      25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26 이근매, "(상담자, 심리치료사, 사회복지사, 교사를 위한)콜라 미술치료" 학지사 2010

      27 이근매, "(그림과 미술작품의 이해를 돕는)상징사전" 학지사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