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보고형 부모양육태도 검사(PAT-Y)와 집 그림검사(House test)의 반응특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4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영역에 따른 집 그림 반응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 생 1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검사와 집-나무- 사람(HTP)그림검사 중 집 그림이다. 집 그림의 반응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영역 점수와 상관관계, 그림특성에 따른 집단 간 양육태도 영역의 차이를 ANOVA 방법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 그림의 반응특성에서 필수구성과 추가구성의 평가점수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얻었다. 성취압력 및 과잉기대 점수가 높을수록 필수구성의 수가 적어지는 부적상관관 계와 지지표현과 합리적설명이 높을수록 추가구성의 수가 많아지는 정적상관관계를 보 였다. 둘째, 양육태도의 하위영역과 집의 반응특성에서는 지붕의 선의 굵기, 지붕의 이 어진 선, 벽의 기울기, 창문의 수, 창문 선, 집의 세부묘사와 왜곡, 용지면적에서 유의미 한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8개의 하위영역의 점수와 집 그림에 대한 평가지표 간에 연관성을 어느 정도 규명하였지만, 추후 연구를 통해서 반복 입증될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향후 집 그림을 통해서 학생 내면의 심리적 상태를 좀 더 정밀하게 파악하는 보조 검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영역에 따른 집 그림 반응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 생 102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영역에 따른 집 그림 반응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 생 1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검사와 집-나무- 사람(HTP)그림검사 중 집 그림이다. 집 그림의 반응특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영역 점수와 상관관계, 그림특성에 따른 집단 간 양육태도 영역의 차이를 ANOVA 방법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 그림의 반응특성에서 필수구성과 추가구성의 평가점수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얻었다. 성취압력 및 과잉기대 점수가 높을수록 필수구성의 수가 적어지는 부적상관관 계와 지지표현과 합리적설명이 높을수록 추가구성의 수가 많아지는 정적상관관계를 보 였다. 둘째, 양육태도의 하위영역과 집의 반응특성에서는 지붕의 선의 굵기, 지붕의 이 어진 선, 벽의 기울기, 창문의 수, 창문 선, 집의 세부묘사와 왜곡, 용지면적에서 유의미 한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8개의 하위영역의 점수와 집 그림에 대한 평가지표 간에 연관성을 어느 정도 규명하였지만, 추후 연구를 통해서 반복 입증될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향후 집 그림을 통해서 학생 내면의 심리적 상태를 좀 더 정밀하게 파악하는 보조 검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 (Parenting Attitude Test) sub-categories check by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house drawing characteristics. Subjects were 102 children, enrolled in the A city elementary school as grade 5∼6. The score of PAT categories and house drawing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test. Results wer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ssential and additional compositions of the house and the sub-categories of PAT when drawing a house. Essential compositions of the house drawing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achievement press and high expectation. However, additional compositions of the house drawing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lanation. Second, the house drawing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he scores of the PAT sub-categories. Especially, there are much differences in the line thickness of house, the connecting line of roof, the lean of a wall, the number of windows, the scrutinized house drawing and distortion, and the using space of paper. Even this research found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 subdivisions and evaluation scales of a house drawing, it also needs to be rechecked by follow-up studies. This study was contributed for proofing the usefulness of the house drawing in predicting the children's feeling to their parenting attitude.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 (Parenting Attitude Test) sub-categories check by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house drawing characteristics. Subjects were 102 children, enrolled in the A city elementa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 (Parenting Attitude Test) sub-categories check by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house drawing characteristics. Subjects were 102 children, enrolled in the A city elementary school as grade 5∼6. The score of PAT categories and house drawing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test. Results wer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ssential and additional compositions of the house and the sub-categories of PAT when drawing a house. Essential compositions of the house drawing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achievement press and high expectation. However, additional compositions of the house drawing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lanation. Second, the house drawing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he scores of the PAT sub-categories. Especially, there are much differences in the line thickness of house, the connecting line of roof, the lean of a wall, the number of windows, the scrutinized house drawing and distortion, and the using space of paper. Even this research found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 subdivisions and evaluation scales of a house drawing, it also needs to be rechecked by follow-up studies. This study was contributed for proofing the usefulness of the house drawing in predicting the children's feeling to their parenting attitu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연구방법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도구
      • 3. 연구절차
      • 4. 자료처리
      • Ⅲ. 연구결과
      • 1. 부모양육태도 하위 영역과 집 그림에서 필수구성과 추가 구성간의 관계 분석 결과
      • 2. 부모양육태도 하위 영역과 집 그림 반응특성 분석 결과
      • Ⅴ. 결과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현순, "한국판 실버그림검사에 나타난 피학대 아동의 특성" 3 : 1-21, 2007

      2 임호찬,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심리특성: 아동ㆍ청소년 인성검사(KCPY)와 MMPI-A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123-140, 2017

      3 신민섭, "최신 임상심리학"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4 정지영, "초등학생의 새둥지화 반응특성과 부모 양육태도와의 관계"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207-229, 2012

      5 김모선, "초등학생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부적응에 미치는영향" 동명대학교 복지산업대학원 2018

      6 권수미, "초등학교 저학년의 동적학교생활화와 부모양육태도검사의 반응특성 : 미술치료센터 이용자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7 이선주, "초등학교 저학년의 HTP 반응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5 : 55-67, 2002

      8 김영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교적응 예측을 위한 동적학교생활화(KSD)검사 타당화 연구"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9 임호찬, "청소년이 평가하는 부모양육태도검사" 마인드프레스 2014

      10 최종순, "청소년의 공격성 사정도구로서의 HTP 활용가능성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6

      1 백현순, "한국판 실버그림검사에 나타난 피학대 아동의 특성" 3 : 1-21, 2007

      2 임호찬,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심리특성: 아동ㆍ청소년 인성검사(KCPY)와 MMPI-A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123-140, 2017

      3 신민섭, "최신 임상심리학"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4 정지영, "초등학생의 새둥지화 반응특성과 부모 양육태도와의 관계"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207-229, 2012

      5 김모선, "초등학생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부적응에 미치는영향" 동명대학교 복지산업대학원 2018

      6 권수미, "초등학교 저학년의 동적학교생활화와 부모양육태도검사의 반응특성 : 미술치료센터 이용자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7 이선주, "초등학교 저학년의 HTP 반응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5 : 55-67, 2002

      8 김영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교적응 예측을 위한 동적학교생활화(KSD)검사 타당화 연구"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9 임호찬, "청소년이 평가하는 부모양육태도검사" 마인드프레스 2014

      10 최종순, "청소년의 공격성 사정도구로서의 HTP 활용가능성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6

      11 김경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성역할 유형과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 연구" 25 : 67-94, 2012

      12 황순택, "임상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7

      13 김동연, "인물화 및 집-나무-사람 그림에 의한 심리진단법" 한국미술치료학회 2000

      14 정미라, "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 선별도구로서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의 활용가능성"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67-386, 2013

      15 박민지,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14 (14): 29-42, 2011

      16 임호찬, "심리검사의 종류와 활용" 서현사 2015

      17 강봉규,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동문사 1999

      18 이춘재, "사춘기 신체성숙시기와 심리사회적 발달" 4 (4): 89-102, 1991

      19 이영호, "불안과 관련되 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H-T-P 반응" 8 (8): 374-377, 1984

      20 김문희,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21 주리애, "미술심리진단 및 평가" 학지사 2015

      22 박지연, "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동적가족화 반응특성 연구 : 미술치료센터 이용자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23 손성희, "모바일 기반 HTP그림검사 앱 개발을 위한 표준화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24 최성희, "대인관계 성향과 HTP 반응연구-초등학교 5, 6학년 중심으로-" 7 (7): 19-38, 2007

      25 신민섭,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HTP와 KHTP를 중심으로" 학지사 2003

      26 김갑숙, "그림을 통한 심리진단 및 평가 I, II" 학지사 2019

      27 Blain, G. H., "The use of objectively scorable house-tree-person indicators to establish child abuse" 37 (37): 667-673, 1981

      28 Eun-Sun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arly Adolescence and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Draw a Story(DAS) Test"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18 (18): 197-214, 2018

      29 Rossiter, J. R., "The New Psychometrics : Comment on Appelbaum et al. (2018)" 73 : 930-931, 2018

      30 Buck, J. N., "The H-T-P technique,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4 : 317-396, 1948

      31 Hammer, E. 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projective Drawings" Charles C. Thomas 1971

      32 Chae, Yu-Gyung, "Response Characteristics of KHTP Drawing Test according to MBTI Preference Indicators and MMPI-2 Profile Types" The Child Developmental Supporting Center 9 (9): 1-18, 2019

      33 Alschuler, R. H., "Painting and personal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7

      34 Koppitz, E. M., "P sychological evaluation of children's human figure drawings" Grune & Stratton 1984

      35 Machover, K., "P ersonality projective in the drawings of the human figure" Thomas 1949

      36 Won-Dae Baek, "Mental Health Appeared from H-T-P Drawings among the Soldiers in Green Camp - Focused on the Relations of MMPI-2"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4 (24): 103-122, 2017

      37 Weiner, I. B., "Handbook of personality assessment" John Willey & Sons, Inc 2008

      38 Collins, W. A.,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John Willey &Sons, Inc 1003-1067, 2006

      39 Keating, D. P.,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Wiley 45-84, 2004

      40 백원대, "HTP검사 해석체계 구축 및 타당성 제고"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41 Smetana, J. G., "Family processes and problem behaviors in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12 (12): 275-304, 2002

      42 Koppitz, E. M., "Emotional indicators in Human Figure Drawings of young children" 22 : 313-315, 1966

      43 Steinberg, L.,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 adolescence" 9 : 69-74, 2005

      44 Hammer, E. F., "Advances in House-Tree-Person technique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35, 1969

      45 Buck, J. N, "Advances in House-Tree-Person Techniques : Variation and application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69

      46 Jolles, I., "A catalog for the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House-Tree-Person(HTP)" weston psychological assessments Services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