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영역 분석 = An Analysis of Geometry Area of Junior High School Textbooks o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70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이전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구성 방식과 순서, 내용 서술의 변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본 연구는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이전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구성 방식과 순서, 내용 서술의 변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생의 이해 수준에 따른 정당화와 수학적 과정(수학적 추론, 수학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 소통)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대한 교육과정의도 해석의 차이로 인하여 교과서 서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삼각형의 무게중심, 각의 이등분선, 할선, 수직이등분선, 원주 각의 성질, 닮음의 중심, 닮음의 위치, 삼각형의 중선 연결정리 등에 대한 제시 순서와 내용 서술은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당화에 대한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12 종 모두 가정, 결론, 증명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뿐 2007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증명서술 방식과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적 과정의 특징에 따라 중학교 수학②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 소통의 문항수와 문항의 적합도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changes in the geometry area between the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ose based o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also analysed how junior ...

      This study analysed the changes in the geometry area between the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ose based o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also analysed how junior high school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cesses’ in the revised content of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twelve mathematics textbooks, the introduction to timing, 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definition of a vertical bisector of a line segment, the bisector of an angle, and a chord differ betwee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section dealing with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and ‘understanding the congruence conditions of a triangle by construction’, nine textbooks show triangle congruence by specific conditions(SSS, SAS, and ASA) in the main text with examples and questions. Three textbooks do not deal with congruence conditions using construction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chapter sections: ‘exploratory activity’ or ‘open thinking’.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twelve junior high school third grade textbooks, all twelve integrate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circumference angle’ in the ‘application of circumference angle’ section. In addition, the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do not seem to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athematical processes, each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이론적 배경
      • 1. 수학적 정당화
      • 2. 수학적 과정
      • 3. 교육과정의 기하영역에 대한 해설의 불명료성 논의
      •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이론적 배경
      • 1. 수학적 정당화
      • 2. 수학적 과정
      • 3. 교육과정의 기하영역에 대한 해설의 불명료성 논의
      • III. 연구 방법
      • IV. 연구 결과
      • 1.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구성방식과 서술 내용의 변화
      • 2. 2007 vs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정당화 서술
      • 3.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적 과정의 적용 사례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하,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도한,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3 황선욱,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4 김원경, "중학교 수학①, ②, ③" 비유와 상징 2009

      5 김원경,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비상교육 2012

      6 류희찬,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천재교과서 2012

      7 김서령,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천재교육 2012

      8 정상권,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금성출판사 2012

      9 고호경,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교학사 2012

      10 황선욱,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좋은책 신사고 2012

      1 김정하,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도한,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3 황선욱,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4 김원경, "중학교 수학①, ②, ③" 비유와 상징 2009

      5 김원경,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비상교육 2012

      6 류희찬,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천재교과서 2012

      7 김서령,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천재교육 2012

      8 정상권,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금성출판사 2012

      9 고호경,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교학사 2012

      10 황선욱,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좋은책 신사고 2012

      11 최용준,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천재문화 2009

      12 이준열,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천재교육 2012

      13 이준열,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천재교육 2009

      14 이강섭,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미래엔 2012

      15 유희찬,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대한교과서 2009

      16 신항균,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지학사 2012

      17 신항균,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지학사 2009

      18 박종률,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디딤돌 2009

      19 허민,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대교 2012

      20 신준국, "중학교 수학①, ②, ③" (주)두배의 느낌 2012

      21 박규홍, "중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1" (주)동화사 2009

      22 이환철,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정당화 방안 탐색" 한국학교수학회 14 (14): 329-341, 2011

      23 정상권, "중학교 수학 1" 금성출판사 2009

      24 우정호, "중학교 수학 1" 두산 2012

      25 우정호, "중학교 수학" 두산동아 2009

      26 유충현,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20 : 77-117, 2012

      27 여미주,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언어 유형 및 수학적 언어와 Polya의 문제 해결 4단계의 관련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6 (16): 1071-1099, 2012

      28 Sowder, L., "Types of student′s justifications" 91 (91): 670-675, 1998

      29 Harel, G., "Toward Comprehensive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proof,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30 Rezat, S., "The utiliz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as instruments for learning" 2009

      31 Mesa, V., "Textbook mediation of teaching : an example from tertiary mathematics instructors" 79 (79): 85-107, 2012

      32 Back R. j., "Student justifications In High School Mathematics" 2009

      33 Weber, K, "On mathematician’s proof skimming: A Reply to Inglis and Alock" 44 (44): 464-474, 2013

      34 Robotti, E., "Natural language as a tool for analyzing the proving process : the case of plane geometry proof" 80 (80): 433-450, 2012

      35 Straesser, R., "Instruments for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An attempt to theorise about the role of textbooks, computers and other artefacts to teach and learn mathematics" PME 1 : 67-81, 2009

      36 Bieda, K. N., "Enacting proof-related task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41 (41): 351-382, 2010

      37 Shield, M., "Assessing the potential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mote deep learning" 82 (82): 183-199, 2013

      38 박교식, "2011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261-275, 2012

      39 김부미,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43 : 37-38, 2013

      40 이환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하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603-617, 2012

      41 신이섭,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42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43 황윤정,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