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군산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영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 실시여부와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02160
군산 :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 , 2012. 8
2012
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81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군산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영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 실시여부와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 영...
본 연구는 군산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영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 실시여부와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와 영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유아영어교육과정에의 문제점 및 개선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군산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하면서 학급을 맡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로는 유아교육기관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질문지는 선행연구(조은정,2008)와 관련 자료를 근거로 하여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영어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검증), t-test (검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 본 결과 유아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유아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 가장 비중 있는 응답은 모국어 습득에 장애가 됨으로라고 조사되었다.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반 이상의 교사들은 영어교육의 실시에 찬성을 하였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 교육이 유아들에게 흥미와 동기 유발을 가져올 수 있다고 했다.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담당교사로는 외부 내국인 강사가 교육을 실시하는게 적합하다고 응답했다. 일부는 외부강사가 영어교육을 하는 게 맞다고 응답하였는데, 외부강사가 영어교육을 실시할 때의 장점은 영어교육방법의 전문성이라고 조사되었고, 반대로 외부강사가 영어교육을 실시할 때 단점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결여가 문제 될 것 같다고 조사되었다. 유아 영어교육의 방법으로는 노래나 손유희 방법 그리고 영어와 관련된 교규를 이용한 게임이나 놀이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그리고 교사는 주 1회 교육시간으로 10~20분이 적당하다고 인식 되어있으며, 일과 시간 중 대그룹활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둘째, 영어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면, 유아교육기관의 72.3%가 학급에서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 이유는 자연스러운 환경 속에서 유아와 영어가 접할 수 있어서로 나타났다. 영어 교육 실시 형태는 일과활동 중 대그룹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나, 어린이집의 경우 어린이집 평가인증 기준안에 영어교육은 방과 후에 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과 후 특별활동으로 영어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면, 유아 영어교육을 하는데 유아가 실제 영어를 활용하는데 기회가 없다고 조사되었다. 이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이기도 하다.
유아 영어교육을 실시할 때 개선해야 할 점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배운 영어를 실제로도 유아가 영어를 활용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하는 것이 제일 시급하고 그 다음으로는 체계적인 연구를 제공해줘야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은정(2008) 등의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군산지역의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유아 영어교육의 실시에 대부분의 교사가 찬성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만 5세 의무 교육 실시와 함께 국가 차원의 공동 교육 과정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유아 영어 교육 실시와 관련하여 영어 교육의 적용이 필요하며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유아 영어교육과 연계 할 수 있는 표현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게 하고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하며,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맞는 영어교육을 실시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영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유아에게 실제 영어활용기회를 마련해주어야 영어교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