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민금융상품 이용자의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서민금융상품 이용목적에 따른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Housing Satisfaction on the User of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 Focusing on comparative studies according to purpose of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74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민층의 생활안정과 주거안정을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서민금융상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서민금융상품이 실제 이용자들의 주거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효과를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용목적에 따른 주거만족도 차이를 비교ㆍ분석하여 서민금융상품별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자금, 사업자금, 생계자금을 목적에 따른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여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 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자금과 생계자금 대출 이용자는 주거지 장기거주(정착) 부분이 개선되어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자금 대출 이용자는 주거생활 향상이 개선되어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목적에 따른 대출상품은 이용자의 생활전반, 가계경제, 주거환경 개선에 효과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서민금융상품 이용목적에 따른 생활전반, 가계경제, 주거환경 개선 및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민금융상품의 제도시행목적과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민금융상품 개발 및 시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민층의 생활안정과 주거안정을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서민금융상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서민금융상품이 실제 이용자들의 주거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효과를 미치고 ...

      본 연구는 서민층의 생활안정과 주거안정을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서민금융상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서민금융상품이 실제 이용자들의 주거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효과를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용목적에 따른 주거만족도 차이를 비교ㆍ분석하여 서민금융상품별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자금, 사업자금, 생계자금을 목적에 따른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여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 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자금과 생계자금 대출 이용자는 주거지 장기거주(정착) 부분이 개선되어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자금 대출 이용자는 주거생활 향상이 개선되어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목적에 따른 대출상품은 이용자의 생활전반, 가계경제, 주거환경 개선에 효과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서민금융상품 이용목적에 따른 생활전반, 가계경제, 주거환경 개선 및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민금융상품의 제도시행목적과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민금융상품 개발 및 시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are support system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support housing, household stability and business lo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 of the hosing satisfaction of the user of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according to purpose of use The analysis is done based on 1,879 significant research materials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s. For analysis methodology, this research is using SPSS 22.0, along with analytic techniques, such as implementation of basic statistic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nfluencing relationship on how the important factors can affect the housing satisfaction is figur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rs of housing loans and livelihood funds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by improving the long - term residence part of the residence. Second, the users of business loans have the mo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by improving the improvement of housing. Third, the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according to purpose of use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improving overall life, household econom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users.
      번역하기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are support system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support housing, household stability and business lo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 of the hosing satisfaction of the user of product for the small-...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are support system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support housing, household stability and business lo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 of the hosing satisfaction of the user of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according to purpose of use The analysis is done based on 1,879 significant research materials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s. For analysis methodology, this research is using SPSS 22.0, along with analytic techniques, such as implementation of basic statistic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nfluencing relationship on how the important factors can affect the housing satisfaction is figur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rs of housing loans and livelihood funds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by improving the long - term residence part of the residence. Second, the users of business loans have the mo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by improving the improvement of housing. Third, the product for the small-loan finance according to purpose of use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improving overall life, household econom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us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숙녀,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 차원에서의 공공임대주택 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2015

      2 이혁진, "주거비 부담 및 주택금융서비스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18

      3 함성근, "주거급여 수급권자의 거주유형별 주거만족도 차이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4 박윤태, "저소득층의 주택유형 및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주거학회 26 (26): 115-126, 2015

      5 허 진,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임대주택 정책연구 : 다가구 매입임대주택 정책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성숙, "저소득층가계의 재무문제와 재무상담 수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47-171, 2011

      7 박서영, "저소득층 주거지원 프로그램별주거만족도와 주거안정성 분석" 서울대학교 2017

      8 오윤해, "저소득·저신용 계층을 위한 서민금융상품에 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3

      9 손상호, "서민금융의 시장기능 활성화 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16

      10 정영석, "서민금융시장의 경제학적 고찰 : 금융접근성의 확대와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1 임숙녀,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 차원에서의 공공임대주택 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2015

      2 이혁진, "주거비 부담 및 주택금융서비스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18

      3 함성근, "주거급여 수급권자의 거주유형별 주거만족도 차이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4 박윤태, "저소득층의 주택유형 및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주거학회 26 (26): 115-126, 2015

      5 허 진,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임대주택 정책연구 : 다가구 매입임대주택 정책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성숙, "저소득층가계의 재무문제와 재무상담 수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47-171, 2011

      7 박서영, "저소득층 주거지원 프로그램별주거만족도와 주거안정성 분석" 서울대학교 2017

      8 오윤해, "저소득·저신용 계층을 위한 서민금융상품에 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3

      9 손상호, "서민금융의 시장기능 활성화 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16

      10 정영석, "서민금융시장의 경제학적 고찰 : 금융접근성의 확대와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11 이건호, "서민금융과 금융시스템 : 서민금융 공급시스템의 중장기 정책과제" 한국금융연구원 2010

      12 이대기, "미소금융의 효율성 분석과 상품개선 방안 : 원가금리 추정과 대출금리 현실화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금융연구원 2017

      13 홍종문, "무주택계층의 주거생활 안정을 위한 주택소요 추정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8

      14 구정한, "국내 서민금융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16

      15 김윤옥, "공동주택 거주자의 안전문화역량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환경학회 14 (14): 273-288, 2016

      16 고홍, "고령가구의 혼인상태변화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15 (15): 27-3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6 0.8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