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4년제와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예정인 예비유아교사 4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사용된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는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원인분석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의 하위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난 하위요인은 공감능력이며, 낙관성,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력, 원인분석력, 적극적 도전성의 순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교직 예상 기간, 멘토 수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변인에 있어서 연령이 높을수록, 교직 예상 기간이 길수록, 멘토의 수가 많을수록 회복 탄력성 전체 혹은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4년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4년제와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예정인 예비유아교사 4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사용된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는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원인분석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의 하위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난 하위요인은 공감능력이며, 낙관성,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력, 원인분석력, 적극적 도전성의 순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교직 예상 기간, 멘토 수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변인에 있어서 연령이 높을수록, 교직 예상 기간이 길수록, 멘토의 수가 많을수록 회복 탄력성 전체 혹은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didates were students of university and a 3 year course college. The research tool that was utilized is called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2003). In RQT, resilience include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emotion regulation, impulse control, optimism, causal analysis, empathy, self-efficacy and reaching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optimism,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emotion regulation, causal analysis, and reaching out in the order mentioned. Second, all of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number of mentor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subordinate factors. In other words, teachers who are older, longer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higher number of mentor career display higher resilience or subordinate facto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didates were students of university and a 3 year course college. The research tool that was utilized is called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2003). In RQT, resilience include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emotion regulation, impulse control, optimism, causal analysis, empathy, self-efficacy and reaching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optimism,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emotion regulation, causal analysis, and reaching out in the order mentioned. Second, all of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number of mentor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subordinate factors. In other words, teachers who are older, longer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higher number of mentor career display higher resilience or subordinate fac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환, "행복하게 사는 법: 회복탄력성. 한국일보"

      2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61-206, 2005

      3 홍승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구형모,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20 (20): 569-581, 2001

      5 박현진,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6

      6 노미순,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7 엄정애,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75-100, 2005

      8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53-275, 2010

      9 권수현,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37-157, 2010

      10 권수현,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 김주환, "행복하게 사는 법: 회복탄력성. 한국일보"

      2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61-206, 2005

      3 홍승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구형모,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20 (20): 569-581, 2001

      5 박현진,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6

      6 노미순,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7 엄정애,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75-100, 2005

      8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53-275, 2010

      9 권수현,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37-157, 2010

      10 권수현,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1 이진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회복력(resilience)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4 (14): 137-164, 2010

      12 한석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07-240, 2003

      13 서지영, "유치원 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22 (22): 229-250, 2002

      14 조경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와 유아교사직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89-312, 2005

      15 김신덕,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송미선,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39 (39): 95-111, 2008

      17 박영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29-451, 2008

      18 이진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199-210, 2007

      19 김희진,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ㆍ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16 (16): 161-181, 1999

      20 송연숙, "유아교사용 역할갈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89-213, 2008

      21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9

      22 이경민, "유아 교사 자질에 대한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참여 교사의 기대와 자기평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33-152, 2005

      23 김언아,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 학습스타일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4 최미숙,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결정성 동기에 대한 탐색: 사고양식,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93-215, 2009

      25 하종덕,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대학생활적응력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1 (11): 29-58, 2007

      26 최미숙,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87-106, 2005

      27 김현자,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 1999년∼2008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6 (56): 31-48, 2009

      28 김현정, "예비교사 특성을 반영한 교사교육" 6 : 147-161, 2003

      29 장영숙, "예비 유아교사들의 자아개념과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37-153, 2004

      30 김주환, "연세대 김주환 교수의 커뮤니케이션"

      31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32 유안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17 (17): 173-188, 1996

      33 김현주,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역전이 관히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0 (10): 35-46, 2007

      34 여선영,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5 이은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활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6 류혜숙, "교육연한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93-116, 2010

      37 Walsh, F., "가족과 레질리언스" 나남 2002

      38 Dictionary, "resilience. Retrieved October 7, 2009"

      39 Diana, B., "The role of resiliency in teacher preparation and reten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451191)" 2001

      40 Luthar, S. S., "The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 for future work" 71 (71): 543-562, 2000

      41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Broadway Books 2003

      42 Sinclair, V. G.,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rief resilience coping scale" 11 (11): 94-101, 2004

      43 Flores, L. Y., "The career development of Mexican American adolescent woman: A test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49 : 14-27, 2002

      44 Gu, Q.,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23 : 1302-1316, 2007

      45 Roman-Oertwing, S., "Teacher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4

      46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47 Fraser, M. W.,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NASW Press 13-66, 2003

      48 Howard, S., "Resilient teacher: Resisting stress and burnout" 7 : 399-420, 2004

      49 Berard, B., "Resiliency: What we have learned" WestED 2004

      50 Dyer, J. G.,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10 (10): 276-282, 1996

      51 Castro, A. J., "Resilience strategies for new teachers in high-needs area" 26 : 622-629, 2010

      52 Hong, J. Y.,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professiional identity and its relation to dropping out of the profession" 26 : 1530-1543, 2010

      53 Berliner, D., "In pursuit of the expert pedagogue" 15 (15): 5-13, 1986

      54 Letzring, T. D.,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Generalization of self-report scales based on personality descriptions from acquaintances, clinicians, and the self" 39 : 395-422, 2005

      55 Garmezy, N.,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In Children and violence" Guilford Press 127-130, 1993

      56 Le Cornu, R., "Building resilience in pre-service teachers" 25 : 717-723, 2009

      57 Neill, J. T., "Adventure education and resilience: The double-edged sword" 1 (1): 35-42,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