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의 청인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책을 읽을 때 사용하는 책읽기 기법 특성이 어떠한지 그 변화를 종단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공와우이식수술을 한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83515
2021
-
379
KCI등재
학술저널
1-25(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의 청인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책을 읽을 때 사용하는 책읽기 기법 특성이 어떠한지 그 변화를 종단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공와우이식수술을 한 지...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의 청인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책을 읽을 때 사용하는 책읽기 기법 특성이 어떠한지 그 변화를 종단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공와우이식수술을 한 지 30개월 이상인 만4세~만6세의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청인어머니 4쌍이었으며, 1차 평가는 평균연령 4세 7개월(53개월~65개월)에 시작하여 1년 후 2차 평가를 수행하였다. 청각장애유아 청인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의 모든 과정을 녹화 및 전사하여 총6가지 범주(43개 하위 기법)를 준거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유아 4명의 청인어머니는 책을 읽을 때 6가지 범주의 40개 기법을 활용하여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1차시기와 2차시기 모두 격려 및 참여촉진과 그림 및 텍스트 상호작용 기법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개념연결과 수정을 더 적게 사용하였다. 둘째, 4쌍의 청각장애유아 청인어머니들의 책읽기 기법 사례를 통해 언어연령과 초기문해능력에 따라 청인어머니들이 자녀 특성에 맞춰 책읽기 기법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에게 이른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함께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고 즉각적 기법 이외도 비즉각적 기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청각장애유아와 청인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반적인 책읽기 기법의 분석 기준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reading technique used by hearing mother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 pairs of their hearing mothers of he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reading technique used by hearing mother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 pairs of their hearing mother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ged 4 to 6 yea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ring mothers of four hearing impaired children showed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using various techniques when reading books. In both primary and secondary periods, mothers used more encouragement and engagement facilitation and picture and text interaction techniques. But they used less conceptual connection and corre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hearing mother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changed their reading interaction skills according to children’ language age and early literacy abil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to read books with their parents from an early age. And we also found that parental education on book-reading techniques is necessary. When parent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read books, they should use non-immediate techniques other than immediate technique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다솜,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비교"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7 (17): 191-214, 2018
2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 언어척도(PRES)" 한솔교육 2003
3 김영욱, "청각장애유아의 인쇄물인식과 언어능력, 문해기술 및 가정문해환경"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31-147, 2009
4 김선영,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79-199, 2008
5 박은정, "이중문화가정 자녀의 평균발화길이와 어머니 언어입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일고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29-149, 2009
6 김선옥, "유아의 읽기에 대한 음운처리과정, 글자지식 및 언어능력의 영향력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남희,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8 서남희, "우리 엄마 어디 있어요?" 한울림 어린이 2004
9 김혜진, "영유아 손자녀와 그림책읽기 시 조모의 언어적ㆍ비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4 (14): 87-108, 2018
10 이지연, "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31-146, 2004
1 박다솜,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비교"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7 (17): 191-214, 2018
2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 언어척도(PRES)" 한솔교육 2003
3 김영욱, "청각장애유아의 인쇄물인식과 언어능력, 문해기술 및 가정문해환경"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31-147, 2009
4 김선영,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79-199, 2008
5 박은정, "이중문화가정 자녀의 평균발화길이와 어머니 언어입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일고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29-149, 2009
6 김선옥, "유아의 읽기에 대한 음운처리과정, 글자지식 및 언어능력의 영향력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남희,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8 서남희, "우리 엄마 어디 있어요?" 한울림 어린이 2004
9 김혜진, "영유아 손자녀와 그림책읽기 시 조모의 언어적ㆍ비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4 (14): 87-108, 2018
10 이지연, "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31-146, 2004
11 정지연, "아동의 가정 문해 환경과 인쇄물 개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2 허세영, "생애사 접근법에 기초한 농인의 문어 발달에 대한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63-88, 2018
13 이정은, "동화를 활용한 학습자중심 목표어휘 지도가 장애유아의 행동 및 태도와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0 (10): 57-77, 2019
14 최나야,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이 책 읽기 상호작용, 만 4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12 (12): 71-102, 2021
15 한유진, "그림동화책 읽기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6 권정생, "강아지똥" 길벗어린이 1996
17 명현옥, "가정의 문해 환경과 유아의 읽기 능력과의 상관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8 최영숙, "가정연계 언어지도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언어능력과 표현어휘에 대한 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85-113, 2015
19 DeLoache, J., "What’s this? Maternal questions in joint picture book reading with toddlers. (ED 251176)"
20 Roberts, J., "The role of home literacy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skills" 48 (48): 345-359, 2005
21 DesJardin, J. L., "The importance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for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young children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13 (13): 28-44, 2010
22 Lartz, M. N., "Strategies deaf mothers use when reading to their young deaf or hard of hearing children" 140 (140): 358-362, 1995
23 Martin, L. E., "Sharing books : Examining how and why mothers deviate from the print" 39 (39): 39-69, 1999
24 Karasu, P. K., "Shared reading implementation during the literacy period of a child with hearing loss" 13 (13): 241-253, 2020
25 Towson, J. A., "Shared interactive book reading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 systematic review" 30 (30): 2700-2715, 2021
26 Mogford, K., "Picture book reading with mother : A comparison between hearing-impaired and hearing children at 18 and 20 months" 3 (3): 43-45, 1979
27 Hammett, L. A., "Patterns of parents' extratextual interactions during book sharing with preschool children : A cluster analysis study" 38 (38): 442-468, 2003
28 Haden, C., "Mothers’extratextual comments during storybook reading : Stylistic differences over time and across texts" 21 (21): 135-169, 1996
29 Kaderavek, J. N., "Mother-child story book interactions : Literacy orientation of pre-schoolers with hearing impairment" 7 (7): 49-72, 2007
30 Lartz, M. N., "Maternal questions while reading to deaf and hearing twins : A case study" 135 (135): 235-240, 1990
31 Justice, L. M., "Learning new words from storybooks: An efficacy study with at-risk kindergartners" 36 (36): 17-32, 2005
32 Brown, P. M., "Language, play and early literacy for deaf children: The role of parent input" 19 (19): 108-114, 2017
33 Ezell, H. K., "Increasing the print focus of adult–child shared book reading through observational learning" 9 (9): 36-47, 2000
34 Nelson, L. H., "Increasing engagement of children who are DHH during parent-child storybook reading" 41 (41): 12-21, 2019
35 Stobbart, C., "Home-based literacy experiences of severely to profoundly deaf preschoolers and their hearing parents" 20 (20): 139-153, 2007
36 Hammer, C. S., "Home literacy experi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bilingual preschoolers' developing English literacy abilities: An initial investigation" 34 (34): 20-30, 2003
37 Martin, L. E., "Early book reading : How mothers deviate from printed text for young children" 37 (37): 137-160, 1997
38 Berke, M. G., "Deaf parents with deaf children and hearing parents with hearing children: A comparison of shared reading experiences" University of San Francisco 2012
39 Sulzby, E., "Children’s emergent reading of favorite storybooks : A developmental study" 20 (20): 458-479, 1985
40 Bennett, K. K., "Children's acquisition of early literacy skills : Examining family contributions" 17 (17): 295-317, 2002
41 Neuman, S. B., "Children engaging in storybook reading : The influence of access to print resources, opportunity, and parental interaction" 11 (11): 495-513, 1996
42 Wagner, R. K., "Changing 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nd word-level reading as children develop from beginning to skilled readers : A 5-year longitudinal study" 33 (33): 468-479, 1997
43 Beals, D. E., "Bridges to literacy:Children, families, and schools" Blackwell Publishing 19-40, 1994
44 De Temple, J. M.,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mpany 31-51, 2001
45 Snow, C. E.,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mpany 1-25, 2001
46 Whitehurst, G.,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24 (24): 522-559, 1988
47 Lorio, C. M., "A systematic review of parent child shared book reading interventions for infants and toddlers" 14 : 1-12, 2021
48 DesJardin, J. L.,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shared book reading in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38 (38): 441-454, 2017
49 Lartz, M. N., "A description of mothers' questions to their young deaf children during storybook reading" 138 (138): 322-330, 1993
50 Hargrave, A. C., "A book reading intervention with preschool children who have limited vocabularies : The benefits of regular reading and dialogic reading" 15 (15): 75-90, 2000
온라인 기반 부수촉진을 통한 가상 조리 시연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3-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9 | 0.736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