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업역량 영향요인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창업가 개인역량을 중심으로 = A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the Influence Factors of Start-up Competencies: Focused on Individual Competencies of Start-up Foun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5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 차원의 접근법을 통해서 창업가 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창업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국내 선행연구들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Torraco(2005)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총 46편의 국내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창업가 역량은 (전반적인)창업역량, 기업가적 역량, 마케팅 역량, 시장인지 역량, 창의적 역량, 기술적 역량, 전략적 역량, 관리적 역량, 네트워크 역량, 조직화 역량, 혁신 역량, 자금조달 역량, 경험의 13가지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창업가 세부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부분은 창업의지 및 성과(재무적, 비재무적)와 관련이 있었으며, 교육만족도, 창업만족도, 조직유효성, 전략 등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둘째, 창업가 세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 멘토링 등과 관련한 육성 요인, 창업보육센터 매니저 역량, 창업지원서비스, 창업컨셉 개발지원 등과 관련한 지원 요인, 자기효능감, 변혁적 리더십 등과 관련한 태도 요인이 있었다. 셋째, 창업가 역량과 관련한 질적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학계에서 아직까지 창업가 역량에 대한 공통된 정의가 없으며, 학자마다 창업가 역량이라고 하는 세부 항목들의 접근 방법 및 기준들이 상이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좀 더 객관성이 확보된 정교한 연구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개인 차원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의 창업가 역량에 대한 통합적 문헌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창업가 역량에 대한 통용된 정의를 내린 후, 체계적 역량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특정 산업군이나 직업군을 한정하여 그 영향요인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생 및 청년을 대상으로 역량모형을 개발하여 필요한 역량을 갖춘 창업인재를 양성할 수 있어야겠다. 마지막으로 창업가 역량에 관한 연구는 경력개발과 관련한 연구주제와 연결고리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평생학습의 측면에서 개인의 경력개발과 창업가 역량의 유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합한 주제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인 차원의 접근법을 통해서 창업가 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창업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국내 선행연구들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Tor...

      본 연구는 개인 차원의 접근법을 통해서 창업가 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창업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국내 선행연구들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Torraco(2005)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총 46편의 국내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창업가 역량은 (전반적인)창업역량, 기업가적 역량, 마케팅 역량, 시장인지 역량, 창의적 역량, 기술적 역량, 전략적 역량, 관리적 역량, 네트워크 역량, 조직화 역량, 혁신 역량, 자금조달 역량, 경험의 13가지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창업가 세부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부분은 창업의지 및 성과(재무적, 비재무적)와 관련이 있었으며, 교육만족도, 창업만족도, 조직유효성, 전략 등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둘째, 창업가 세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 멘토링 등과 관련한 육성 요인, 창업보육센터 매니저 역량, 창업지원서비스, 창업컨셉 개발지원 등과 관련한 지원 요인, 자기효능감, 변혁적 리더십 등과 관련한 태도 요인이 있었다. 셋째, 창업가 역량과 관련한 질적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학계에서 아직까지 창업가 역량에 대한 공통된 정의가 없으며, 학자마다 창업가 역량이라고 하는 세부 항목들의 접근 방법 및 기준들이 상이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좀 더 객관성이 확보된 정교한 연구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개인 차원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의 창업가 역량에 대한 통합적 문헌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창업가 역량에 대한 통용된 정의를 내린 후, 체계적 역량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특정 산업군이나 직업군을 한정하여 그 영향요인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생 및 청년을 대상으로 역량모형을 개발하여 필요한 역량을 갖춘 창업인재를 양성할 수 있어야겠다. 마지막으로 창업가 역량에 관한 연구는 경력개발과 관련한 연구주제와 연결고리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평생학습의 측면에서 개인의 경력개발과 창업가 역량의 유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합한 주제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leading domestic studies that stud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petences of start-ups through an individual-level approach a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To this end, a total of 46 papers from domestic journals were analyzed using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presented by Torraco(2005).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rt-up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13 categories, including entrepreneurial competences, marketing competencies, market-certified competencies, creative competencies, and technical competences.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tailed competencies of start-ups were incubation factors, support factors and attitude factors. Third, there is still no common definition of the competence of entrepreneurs in the academic world, and each scholar has different approaches and standards for detailed items, which are called the competence of start-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ions are given as follows. First, sophisticated research designs with more objectivity are need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literature analysis of start-up competenc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at the individual level. Third, after giving out the accepted definition of a start-up's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competency model. Fourth, a specific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is needed, with specific industrial or occupational groups limited. Fifth, competency model should be develop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youth so that necessary competences can be developed. Lastly,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study the subject of identifying and integrating personal career development and the organic relationship of start-up competencie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leading domestic studies that stud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petences of start-ups through an individual-level approach a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To this end, a total of 46 papers from domestic journals w...

      This study analyzed the leading domestic studies that stud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petences of start-ups through an individual-level approach a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To this end, a total of 46 papers from domestic journals were analyzed using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presented by Torraco(2005).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rt-up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13 categories, including entrepreneurial competences, marketing competencies, market-certified competencies, creative competencies, and technical competences.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tailed competencies of start-ups were incubation factors, support factors and attitude factors. Third, there is still no common definition of the competence of entrepreneurs in the academic world, and each scholar has different approaches and standards for detailed items, which are called the competence of start-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ions are given as follows. First, sophisticated research designs with more objectivity are need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literature analysis of start-up competenc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at the individual level. Third, after giving out the accepted definition of a start-up's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competency model. Fourth, a specific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is needed, with specific industrial or occupational groups limited. Fifth, competency model should be develop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youth so that necessary competences can be developed. Lastly,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study the subject of identifying and integrating personal career development and the organic relationship of start-up competencie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pencer, L. M.,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SI컨 설팅 1997

      2 이혜영, "초기 및 후기 기술창업기업 창업가의 역량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99-116, 2018

      3 이혜영, "초기 기술창업기업의 창업가 역량과 창업팀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 12 (12): 31-56, 2017

      4 이석준, "체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역량성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357-373, 2018

      5 김도현,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 정신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역량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71-391, 2018

      6 김세광,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 - 벤처스타 : Venture ‘STAR’" 한국청소년활동학회 4 (4): 97-126, 2018

      7 임아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행동과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5 (15): 143-154, 2015

      8 임아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행동과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형철,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사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27-58, 2015

      10 이인숙, "청년사업가를 위한 성장요인이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리 · 외식전공 대학생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19 (19): 25-39, 2013

      1 Spencer, L. M.,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SI컨 설팅 1997

      2 이혜영, "초기 및 후기 기술창업기업 창업가의 역량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99-116, 2018

      3 이혜영, "초기 기술창업기업의 창업가 역량과 창업팀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 12 (12): 31-56, 2017

      4 이석준, "체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역량성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357-373, 2018

      5 김도현,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 정신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역량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71-391, 2018

      6 김세광,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 - 벤처스타 : Venture ‘STAR’" 한국청소년활동학회 4 (4): 97-126, 2018

      7 임아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행동과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5 (15): 143-154, 2015

      8 임아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행동과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형철,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사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27-58, 2015

      10 이인숙, "청년사업가를 위한 성장요인이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리 · 외식전공 대학생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19 (19): 25-39, 2013

      11 이용희, "청년 창업자를 위한 창업역량 측정도구 개발"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197-209, 2018

      12 하환호, "창의적 성격특성과 역량이 창업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 9 (9): 1-22, 2014

      13 정헌배, "창업학의 연구영역 설정에 관한 고찰" 한국창업학회 14 (14): 41-56, 2019

      14 이웅희, "창업적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가 예비창업자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5

      15 강한혁, "창업자의 창업동기,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가 역량특성이 창업기업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업 경영성과를 매개로 하여"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59-71, 2019

      16 박동건, "창업자의 역량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도 분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61-91, 2003

      17 천동필, "창업자 특성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생존기간을 구분하여"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1-12, 2018

      18 김완재, "창업자 특성과 소기업 사업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2 (2): 33-60, 2007

      19 유홍성, "창업인턴십교육 서비스 품질이 창업역량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품질경영학회 44 (44): 907-920, 2016

      20 김예정, "창업의지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역량 및 차별화 경쟁우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63-73, 2019

      21 이주연, "창업의지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역량 및 차별화 경쟁우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22 김성욱,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이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627-2636, 2016

      23 권상집, "창업보육센터의 매니저 역량 및 경영/법률 지원과 입주기업 창업자의 역량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 11 (11): 67-87, 2016

      24 장명진, "창업동아리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원의 기술사업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팀웍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85-908, 2016

      25 윤병선, "창업기업의 혁신전략과 혁신문화가 역동적 역량과 기술적 역량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11 (11): 45-67, 2016

      26 노성여, "창업기업의 연구 개발역량과 조직유효성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11 (11): 156-174, 2016

      27 안태욱, "창업기업의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적역량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39-49, 2019

      28 장명균, "창업기업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이 경쟁우위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2 (22): 207-228, 2019

      29 배창봉,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이 혁신역량, 혁신행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경영학회 22 (22): 33-45, 2019

      30 김재진,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1049-1061, 2013

      31 엠이코노미뉴스, "창업기업 5년 뒤 생존룰 27.5%…OECD 평균에 한참 못 미쳐"

      32 김용태, "창업교육, 기업가적 역량 및 태도가 대학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3-20, 2017

      33 장명진, "창업경진대회 입상경험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의적 역량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 10 (10): 45-71, 2015

      34 이상화, "창업가정신, 창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플로우(Flow)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37-150, 2015

      35 김창봉, "창업가의 전략적 역량과 경험 특성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실증 연구: 사회적 가치 추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43-59, 2019

      36 윤종록, "창업가의 역량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차별화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생산성학회 23 (23): 401-427, 2009

      37 이혜영, "창업가의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3-24, 2019

      38 김성환, "창업가의 리더십개발을 위한 피드백 중심의 접근" 한국성인교육학회 18 (18): 49-75, 2015

      39 안태욱, "창업가 역량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유통경영학회 20 (20): 81-89, 2017

      40 방혜민, "창업가 역량 향상을 통한 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물류학회 28 (28): 25-35, 2018

      41 안태욱, "창업가 역량 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지원제도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73-83, 2019

      42 최진호, "창업가 개인특성이 창업지원에 따른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밭대학교대학원 2019

      43 "중소기업창업지원법"

      44 최대수, "정보기술역량과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16 (16): 27-39, 2017

      45 임현철, "외식업 창업 지원서비스가 창업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273-293, 2016

      46 김은성,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필요 역량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형 중심으로"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10 (10): 31-42, 2019

      47 김은성,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29-58, 2019

      48 임병규, "온라인 쇼핑몰 창업자의 마케팅믹스(4P) 역량이 창업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73-84, 2017

      49 선량,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가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의 매개변수의 효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17-137, 2019

      50 Lucia, A. D., "알기 쉬운 역량모델링" PSI컨설팅 2001

      51 장영미, "시니어의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13-36, 2018

      52 박명신, "성인학습자의 생애핵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셀프리더십, 자기결정성의 구조적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101-123, 2017

      53 이유태, "상생형 현장실습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과 창업가 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새가게운동 사례"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121-130, 2016

      54 강민정, "사회적기업가 육성을 위한 창업 역량 연구:KAIST 사회적기업가 MBA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217-243, 2015

      55 한상국, "사내창업가 역량모델링 연구: 기업의 혁신리더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3 (13): 1-21, 2017

      56 이용훈, "벤처창업기업의 기술사업 역량이 부실화리스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관계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25 (25): 35-60, 2017

      57 이용희, "벤처기업 창업자의 핵심역량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58 노기엽, "모의창업" 학현사 2013

      59 오재우, "멘토링기능이 청년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창업예비기간·창업희망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115-127, 2014

      60 최동은,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445-462, 2018

      61 곽동신,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37-48, 2016

      62 최대수, "대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의 관계: IT 역량, 창의성 역량, 사회적 역량, 시장인지 역량"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01-109, 2017

      63 이용희,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73-82, 2019

      64 윤백중,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2

      65 채연희, "대학생의 기업가적역량이 취업가능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실패인식의 조절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165-183, 2017

      66 곽동신, "대학생 창업자의 역량 정도가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83-390, 2017

      67 김소윤, "기업체 팀장의 커리어코칭 역량 측정도구 개발"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27-56, 2017

      68 전주현, "기술창업교육캠프 참가 대학생의 창업역량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20 (20): 67-72, 2017

      69 김은성, "국내 프랜차이즈 사업에서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10 (10): 33-47, 2019

      70 김은성, "국내 역량모델개발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직업 현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3 (3): 23-44, 2019

      71 Sparrow, P., "linking competencies to pay : too good be true?" 2 (2): 1-6, 1996

      72 Richard J. Torraco, "Writing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 Guidelines and Examples" SAGE Publications 4 (4): 356-367, 2016

      73 Bird, B., "Towards a theory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 Advances in Entrepreneurship" 2 (2): 51-72, 1995

      74 Whittemore, R., "The integrative review : Updated methodology" 52 (52): 546-553, 2005

      75 Gaylen N. Chandler, "The founder's self-assessed competence and venture performance" Elsevier BV 7 (7): 223-236, 1992

      76 Man, T. W.,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A conceptualization with focus o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17 (17): 123-142, 2002

      77 Boyatzis, R. E., "The Competent Manager :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Wiley 1982

      78 김문성, "TEC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자 역량의 조절효과" 한국창업학회 12 (12): 310-334, 2017

      79 Drucker, P. 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 Practice and principles" Harper & Row 1985

      80 James J. Chrisman, "Important Attributes of Successors in Family Businesses: An Exploratory Study" SAGE Publications 11 (11): 19-34, 1998

      81 Mitchelmore, S.,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 a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ment agenda" 16 (16): 92-111, 2010

      82 Kaur, H.,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for Business Success : A Review of Literature" 14 (14): 10-17, 2015

      83 Ahmad, N. H., "Cross cultural study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success in SMEs in Australia and Malaysia" The University of Adelaide 2007

      84 George Vozikis, "A Competency-Based Perspective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ceptual and Empirical Insights" Informa UK Limited 51 (51): 352-369, 2013

      85 창업진흥원, "2018년 대학창업통계 조사결과 보고서" 2019

      86 김창봉, "1인 기업 창업자 역량이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30 (30): 1387-1407,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