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The study of improvement measures and management realiti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매해 증가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가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실태 파악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학교폭력 개념과 원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 법령·제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학생들에게 실태 파악을 하였으며, 조사 내용은 학교폭력 개념 인지도, 통합신고망 117제도 인지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인 상담, 행사, 교육, 신고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강당에서 외부 전문가의 강연·동영상이 대부분이었다. 학교폭력 개념과 통합신고망 117제도에 대해서는 인지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신고에 대해서는 소극적이었으며 그 이유는 보복이 두렵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로 CCTV 설치가 가장 필요하다고 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담, 행사, 교육, 신고로 구분하여 실시 인지도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설문지와 가정통신문, 경찰과 전문 상담사의 교육에 대해서 인지도가 높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경찰의 예방 교육과 순찰, CCTV 설치라고 대답을 했으나,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조사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으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과 학교폭력 관련 기관의 효과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매해 증가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가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을...

      매해 증가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가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법령 및 제도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실태 파악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학교폭력 개념과 원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 법령·제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학생들에게 실태 파악을 하였으며, 조사 내용은 학교폭력 개념 인지도, 통합신고망 117제도 인지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인 상담, 행사, 교육, 신고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강당에서 외부 전문가의 강연·동영상이 대부분이었다. 학교폭력 개념과 통합신고망 117제도에 대해서는 인지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신고에 대해서는 소극적이었으며 그 이유는 보복이 두렵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로 CCTV 설치가 가장 필요하다고 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담, 행사, 교육, 신고로 구분하여 실시 인지도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조사 결과 학교폭력 설문지와 가정통신문, 경찰과 전문 상담사의 교육에 대해서 인지도가 높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경찰의 예방 교육과 순찰, CCTV 설치라고 대답을 했으나,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조사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으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과 학교폭력 관련 기관의 효과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chool Violence continues to increase. In addition, new types have appeared, perpetrators are younger. In order to prevent violence in schools is a social problem, various systems and related laws and program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at there is doubt about the effectiveness, violence in school is because they are rather serious.
      In this study, is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system of program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study was centered on the awareness of studen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oretical background was to investigate the laws and institutions and programs that are implemented to cause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prevention. It has the actual situation to students for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awareness of violence concept in schools, awareness of the 117 system is an integrated reporting system, The contents of the survey, necessary measures most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 I have configured consult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the event content, education, etc. of notification.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mostly lectures and video experts outside the hall. For the 117 system is an integrated reporting system with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was better awareness is high, but is reluctant to deliver, answered that scary retaliation was the most reasons. As a measur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 have the need to install most of CCTV. Counseling program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 had a question about the awareness and carried out by classifying events, education, to deliver.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wareness about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 family correspondence surveys and school violence, and police were high. As necessary measure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was the answer to install and patrol prevention and education, the CCTV of police, on the other item, you answered you have no effect. As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a management plan effective school violence agencies and measures to ensure effective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번역하기

      School Violence continues to increase. In addition, new types have appeared, perpetrators are younger. In order to prevent violence in schools is a social problem, various systems and related laws and program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at there i...

      School Violence continues to increase. In addition, new types have appeared, perpetrators are younger. In order to prevent violence in schools is a social problem, various systems and related laws and program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at there is doubt about the effectiveness, violence in school is because they are rather serious.
      In this study, is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system of program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study was centered on the awareness of studen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eoretical background was to investigate the laws and institutions and programs that are implemented to cause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prevention. It has the actual situation to students for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awareness of violence concept in schools, awareness of the 117 system is an integrated reporting system, The contents of the survey, necessary measures most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 I have configured consult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the event content, education, etc. of notification.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mostly lectures and video experts outside the hall. For the 117 system is an integrated reporting system with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was better awareness is high, but is reluctant to deliver, answered that scary retaliation was the most reasons. As a measur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 have the need to install most of CCTV. Counseling program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 had a question about the awareness and carried out by classifying events, education, to deliver.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wareness about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 family correspondence surveys and school violence, and police were high. As necessary measure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was the answer to install and patrol prevention and education, the CCTV of police, on the other item, you answered you have no effect. As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a management plan effective school violence agencies and measures to ensure effective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운영 실태
      • IV. 개선방안
      • 국문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운영 실태
      • IV. 개선방안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성,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363-394, 2009

      2 이봉주,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연구 :논리모델에 기반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257-281, 2009

      3 조성호, "학교폭력에 대한 개념화: 통합적 접근 모형" 6 : 47-67, 2000

      4 청소년보호위원회, "학교폭력사태 발표 및 토론회" 27 : 1-82, 2002

      5 청소년 폭력 예방재단, "학교폭력, 고통 받는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할 것 인가? : 예방에서 대책까지" 한울림 1996

      6 곽금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HELP-ing" KT&G 복지재단 2005

      7 박효정,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2006

      8 노혜련, "프로그램의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프로그램 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93-220, 2010

      9 이상훈, "캠퍼스 폴리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261-290, 2009

      10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1 정진성,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363-394, 2009

      2 이봉주,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연구 :논리모델에 기반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257-281, 2009

      3 조성호, "학교폭력에 대한 개념화: 통합적 접근 모형" 6 : 47-67, 2000

      4 청소년보호위원회, "학교폭력사태 발표 및 토론회" 27 : 1-82, 2002

      5 청소년 폭력 예방재단, "학교폭력, 고통 받는 아이들을 위해 무엇을 할 것 인가? : 예방에서 대책까지" 한울림 1996

      6 곽금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HELP-ing" KT&G 복지재단 2005

      7 박효정,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2006

      8 노혜련, "프로그램의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프로그램 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93-220, 2010

      9 이상훈, "캠퍼스 폴리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261-290, 2009

      10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배려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11 최자은, "청소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2 이은희,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상담학회 3 (3): 185-202, 2002

      13 이미리, "청소년 초기 폭력행동의 유형에 따른 관련 맥락 변인" 10 (10): 119-141, 1999

      14 유평수, "중학생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2 (12): 53-78, 2005

      15 "조선일보"

      16 "조선일보"

      17 정미경, "아시아개발도상국가의 교육협력 수요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18 이지숙, "세 가지 위험환경에 따른 청소년일탈의 보호요인 및 조절요인분석: 탄력성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41-161, 2011

      19 "서울지방경찰청 브리핑"

      20 장금순, "민속놀이를 활용한 초등학생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1 "동아일보"

      22 정우일, "깨진 창 경찰활동과 기초질서위반사범*"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301-329, 2009

      23 "국민일보"

      24 "http://www.safe182.go.kr/index.do"

      25 Johnson, M. Ida, "School violence: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 resource officer program in a southern city" 27 (27): 173-192, 1999

      26 Albert D. Farrell, "Impact of witnessing violence on growth curves for problem behaviors among early adolescents in urban and rural settings" 32 (32): 505-525, 2004

      27 Taub, J, "Evalution of the Second Violence Prevention Program at a Rural Elementary School" 31 (31): 186-200, 2001

      28 Robinson, T. Rowand, "Effect of a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on Responses to Anger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Chronic Behavior Problems" 27 (27): 256-271, 2002

      29 Botzer, E, "An evalu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econd step violence prevention curriculum for third-grade studen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3

      30 Siler, J, "A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grade students" Fielding Graduate Institute 2003

      31 "2012년 상반기 학교폭력 실태 전수 조사" 교육과학기술부 2012

      32 "2011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5 1.46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