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로 전공을 바꾼 유학생들의 진로발달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에 기반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landin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04195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3-335(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로 전공을 바꾼 유학생들의 진로발달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에 기반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landin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로 전공을 바꾼 유학생들의 진로발달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에 기반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landin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했으며, 전공을 변경하여 국내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에 진학한 유학생 4명과 온 · 오프라인의 다원적 방식으로 심도 있게 소통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면담자료는 시간성, 장소, 사회성의 세 가지 차원에서 접근하였고, 개별적 경험의 맥락과 공통적인 특성의 내러티브가 서로 어우러져 드러날 수 있게 탐험했다. 분석에 따르면, 연구참여자들은 사회복지라는 낯선 분야에 진입하여 각자의 삶의 맥락 아래에서 여러 가지 부적응을 경험하였으나, 동시에 한국 유학의 의미와 사회복지학 전공의 가치를 느끼며 계속해서 진로를 계발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더하여, 이들은 사회복지를 공부함으로써 자기 성장을 확신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전공 변경에 따른 진로 성숙을 도전의 기회로 여기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사회복지로 전공을 바꾼 유학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 대책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hanged their majors to social welfare, based on the narrative exploration. To this end, the authors used the narrative exploration procedure pro...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hanged their majors to social welfare, based on the narrative exploration. To this end, the authors used the narrative exploration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nin and Connelly (2000) and had online and offline in-depth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with four international student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stories were approached in three dimensions: Time, place, and sociability, and explored such that the context of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nd common narrative could be revealed in a harmonious wa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entered an unfamiliar field called social welfare and experienced various maladjustment under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ey are constantly developing their careers, as they reflect on the meaning of studying in Korea and the value of social welfare major. In addition, by studying social welfare, they not only became convinced of their own growth, but also viewed career maturity following the change in majors as a challe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support effective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hanged their majors to social welfare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사회통합지원과 설명자료" 행정안전부 2020
2 남찬섭, "한국사회복지교육의 현안과 미래의 쟁점- 교과목이수제의 개편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8 : 233-266, 2019
3 황매향,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75-94, 2010
4 이은화, "한국 대학에서 유학생이 겪는 학습의 어려움 분석 -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1261-1277, 2014
5 이명애, "학부제에서의 전공선택 및 전공결정 과정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81-101, 2007
6 한국경제매거진, "학과별 취업률 조사①"
7 김동학, "체육대학 교육경험을 통한 체육전문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8 허정철,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56-364, 2013
9 이민경, "지방대학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동기 : A대학 아시아 유학생들의 한국유학 선택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18 (18): 177-201, 2012
10 박지선,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우울, 음주습관 간의 관련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3 (33): 97-120, 2017
1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사회통합지원과 설명자료" 행정안전부 2020
2 남찬섭, "한국사회복지교육의 현안과 미래의 쟁점- 교과목이수제의 개편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8 : 233-266, 2019
3 황매향,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75-94, 2010
4 이은화, "한국 대학에서 유학생이 겪는 학습의 어려움 분석 -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6 (26): 1261-1277, 2014
5 이명애, "학부제에서의 전공선택 및 전공결정 과정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81-101, 2007
6 한국경제매거진, "학과별 취업률 조사①"
7 김동학, "체육대학 교육경험을 통한 체육전문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8 허정철,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56-364, 2013
9 이민경, "지방대학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동기 : A대학 아시아 유학생들의 한국유학 선택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18 (18): 177-201, 2012
10 박지선,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우울, 음주습관 간의 관련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3 (33): 97-120, 2017
11 진민진,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6 (16): 783-797, 2011
12 리첸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연구소 17 (17): 101-120, 2016
13 劉夢雅,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14 정경희,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서비스 경험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의 A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4 (24): 547-565, 2018
15 김대현,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들의 학업적응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교육연구소 8 (8): 159-187, 2007
16 원석조, "중국의 사회복지사 직업화·전문화와 상하이모델"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253-294, 2010
17 최금해, "중국의 사회보장" 나눔의 집 2012
18 유채영,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과 정신건강의 관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일상생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8 (28): 61-80, 2017
19 하정희,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73-496, 2008
20 경수영,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4) : 399-421, 2010
21 주도연, "조기유학 귀국학생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22 김진희, "전공과 희망직업 불일치 대학생의 진로스토리에 나타난 진로결정 경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23 黃海燕,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4 서선자, "재한 일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35-47, 2012
25 김서현, "입시반복과 전공변경으로 재진학한 대학생들의 경험 : 학력사회에서 꿈에 닿는 방법" 사회과학연구소 49 (49): 1-34, 2018
26 배진형, "사회복지학전공 유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H 대학교 중국인 유학생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13 (13): 39-72, 2016
27 김경용, "미국 거주 한국 이민자와 한국 유학생이 겪는 언어 및 문화적 충돌" 23 : 215-230, 2003
28 홍승연, "무용 전공생의 삶과 진로변경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29 김미희, "대중국특화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전라북도의 중국 유학생 교육의 허브화 방안" 전북발전연구원 45-, 2011
30 宋靜, "대구·경북지역 중국유학생의 대학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1
31 염지숙, "내러티브(Narrative Inquiry) 탐구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2 (2): 57-82, 1999
32 김병극,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1-28, 2012
33 김대현, "내러티브 탐구의 이론적 기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11-134, 2006
34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7
35 김교연,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S 대학교의 학부 유학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5 (35): 1-29, 2019
36 김서현, "국내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공부하는아시아 유학생들의 아비투스: Bourdieu의 이론적 관점에 기반하여" 사회과학연구소 44 (44): 39-74, 2020
37 교육통계서비스,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20
38 한국대학신문, "교육부 유학생 20만 명 유치 2020년→2023년까지"
39 Ginzberg, E,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30 (30): 491-494, 1952
40 Sirowy, L, "The effects of democracy on economic growth and inequality: A review" 25 (25): 126-157, 1990
41 Levinson, D. J, "The Seasons of a Man’s Life" Ballantine Books 1978
42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s" Harper & Brothers 1957
43 Connelly, F. M,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19 (19): 2-14, 1990
44 Dixon, J, "Social Welfare in Africa" Routledge 2016
45 Fallov, M. A, "Social Welfare Responses in a Neoliberal Era: Policies, Practices and Social Problems" Brill 2018
46 Channaveer, R. M,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grammes in South Asia" Taylor & Francis 2019
47 Padgatt, D. K,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16
48 Reisman, J. M, "Personal Relationships 2" Academic Press 1981
49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
50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Publishers 2000
51 Battaglia, L, "International students engaged in Australian social work study: An exploratory study" 20 (20): 47-62, 2018
52 Altbach, P. G, "Impact and adjustment: Foreign students in comparative perspective" 21 (21): 305-323, 1991
53 Clandinin, D. J,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2007
54 Ebrahimi, S, "Grascophobia among student of university of Social Welfare and Rehabilitation Science" 15 (15): 117-104, 2020
55 An, B. 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areer decision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Korea 1" 20 (20): 2125-2137, 2017
56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David McKay 1972
57 Skorilkov, V, "Continuity in adolescent career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70 (70): 8-24, 2007
58 Smith, T. W, "Coming of age in twenty-first century America: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importance and timing of transitions to adulthood" 29 (29): 136-148, 2004
59 Leung, J. C, "China’s Social Welfare: The Third Turning Point" Polity Press 2015
지역 청년 정책 다면 평가 - 대구광역시 청년보장(Youth Guarantee) 정책을 중심으로
경제자본이 중년기 성인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의 단일 매개효과 및 이중 매개효과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정책목표와 정책수단 간 관계 분석 - 한국 · 독일 · 일본 사례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2 | 1.32 | 1.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2 | 1.52 | 2.001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