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장년 신체활동 참여자의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건강실천행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80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To process the data, this research conducted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e model with SPSS 15.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Seco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health belief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rd,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self-efficacy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To process the data, this research conducted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To process the data, this research conducted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e model with SPSS 15.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Seco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health belief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rd,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self-efficacy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국, "지역유형별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7 (37): 755-765, 2009

      2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4

      3 김미희, "재가편마비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4 오인수, "일반적 자기효능감: 개념, 측정관련 이슈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5 (15): 49-72, 2002

      5 신수진, "일개 신도시 지역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5 (35): 850-857, 2005

      6 신경림, "일개 도서지역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자기효능감과 건강신념간의 관계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2 (32): 89-99, 2002

      7 정덕조, "여대생들의 비만정도가 체중조절 행위, 신체상, 자기 효능감, 건강증진 행위 및 정신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5 (15): 365-376, 2006

      8 이미혜, "심혈관 질환자의 건강신념과 환자역할행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김응준, "성인특성에 따른 운동행동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23 (23): 29-41, 2009

      10 이미자,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모형 구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 김성국, "지역유형별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증진행위 및 의료비 지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7 (37): 755-765, 2009

      2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4

      3 김미희, "재가편마비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4 오인수, "일반적 자기효능감: 개념, 측정관련 이슈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5 (15): 49-72, 2002

      5 신수진, "일개 신도시 지역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5 (35): 850-857, 2005

      6 신경림, "일개 도서지역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자기효능감과 건강신념간의 관계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2 (32): 89-99, 2002

      7 정덕조, "여대생들의 비만정도가 체중조절 행위, 신체상, 자기 효능감, 건강증진 행위 및 정신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5 (15): 365-376, 2006

      8 이미혜, "심혈관 질환자의 건강신념과 환자역할행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김응준, "성인특성에 따른 운동행동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23 (23): 29-41, 2009

      10 이미자,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모형 구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1 강윤주, "비만 아동 및 청소년의 체중조절 경험과 비만관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12 한금선,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와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 한국간호과학회 35 (35): 585-592, 2005

      13 한혜원,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참가와 신체상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20 (20): 109-120, 2006

      14 김응준, "대도시 노인들의 건강행위와 자기효능감 및 고독감" 한국사회체육학회 28 (28): 431-443, 2006

      15 강현욱, "노인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57-68, 2009

      16 이선애, "노인 운동행동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구성인자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7 신경림,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낙상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예방행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04-112, 2005

      18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법문사 2007

      19 조희숙, "건강신념 모형을 적용한 한국인 건강관련 행동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69-84, 2004

      20 Walker, "The health-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36 (36): 76-81, 1987

      21 Rosenstock,I.M, "The health belief model: Explaining health behavior through expectancie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 Practice" Jossey-Bass 1990

      22 Scherer, Y. K., "The effect of 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perception of dyspnea and physical endurance" 26 (26): 15-22, 1997

      23 Becker,M.H,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Charles B. Slac, Inc 82-92, 1974

      24 Rosenstock, I. M.,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15 (15): 175-183, 1988

      25 Bandura,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Prentice-Hall 1986

      26 Bandura,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7 Siddal,L.A, "Relationships of age,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beliefs in adult women" Clarkson College 1996

      28 Levin,L.S, "Patients education and self care" 34 : 170-175, 1986

      29 Wallace,L.S, "Osteoporosis prevention in college women: Application of the expanded health belief model" 26 (26): 163-172, 2002

      30 Marcus, B. H., "Motivational readiness, self-efficacy and decision-making for exercise" 22 : 3-16, 1992

      31 Willis, J. D., "Motivating exercise behavior"

      32 Byun, Y. S., "Life style and self-efficacy in osteoporosis women" 29 (29): 530-540, 1999

      33 Lee, B. S.,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30 (30): 213-224, 2000

      34 Strecher, P.,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ition" Jossey-Bass 41-59, 1997

      35 Dishman,R.K, "Exercise Adherence: Its Impact on Publish Health" Human Kinestics 1988

      36 Piaseu, N., "Causal analysis of exercise and calcium intake behaviors for osteoporosis prevention among young women in Thailand" 23 : 364-376, 2002

      37 Ali, N. S., "Barriers to osteoporosis prevention in perimenopausal and elderly women" 15 (15): 201-205, 1995

      38 Lee,Y.W,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hypertensive patients" 58 (58): 785-795,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5 0.652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