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외현적 자기애 성향 어머니를 둔 자녀인 나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탐색하고, 어머니와의 갈등과 관계회복 경험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81625
2021
-
자문화기술지 ; 외현적 자기애 ; 공감능력 ; 갈등 ; autoethnography ; overt narcissism ; empathy ability ; conflict
338
KCI등재
학술저널
423-451(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외현적 자기애 성향 어머니를 둔 자녀인 나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탐색하고, 어머니와의 갈등과 관계회복 경험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억...
이 연구는 외현적 자기애 성향 어머니를 둔 자녀인 나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탐색하고, 어머니와의 갈등과 관계회복 경험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억자료, 자기관찰 및 분석기록, 가족 인터뷰, 심리검사결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엄마를 향한 좌절과 분노’, ‘관계단절과 개인적 고통’, ‘바꾸려는 마음에서 궁금해하는 마음으로’라는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외현적 자기애 성향을 지닌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부족한 양육태도로 나는 좌절, 불안, 분노, 외로움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 하였고,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부족한 대인관계 특성으로 인해 어머니와 오랬동안 외적 갈등 관계를 유지하고, 내적 갈등으로 인해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와 나는 서로를 인정하고 수용적인 관계를 맺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외현적 자기애 성향을 지닌 어머니를 둔 자녀가 겪을 수 있는 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공하고, 어머니와 자녀 간 갈등 회복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author s personal experience with a mother with an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covers conflicts and recovery in the relationship.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author s personal experience with a mother with an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covers conflicts and recovery in the relationship.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collected data from memory, self-observation and family interviews, as well as from psychological tests. Results: The results derived the categories of “frustration and anger towards one’s mother,” “broken relationship and personal pain,” and “from the effort to change to the intention to understand”. Since the mother with an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had a parenting attitude that lacked empathy, the author had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such as frustration, anxiety, anger, and loneliness. Also, due to the mother’s interpersonal skills that lacked empathy, the author had experienced external conflicts with the mother for years and suffered somatic symptoms due to inner conflicts. Through this study, it allowed them to recognize and accept each other. Conclusions: The author hopes this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ild of a mother with an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offering a starting point for recovery.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15
2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외/내현적 자기애와 자기통제 및 어머니 양육행동 간 관계"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4, 2013
3 정철상, "청소년의 자기애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564-576, 2020
4 정유진,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1-18, 2014
5 이동성,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아카데미프레스 2020
6 정은지, "지각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대학생활 적응 :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7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19
8 김영천,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27, 2011
9 박순용,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55-79, 2010
10 한수정,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19
1 권석만,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15
2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외/내현적 자기애와 자기통제 및 어머니 양육행동 간 관계"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4, 2013
3 정철상, "청소년의 자기애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564-576, 2020
4 정유진,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1-18, 2014
5 이동성, "질적 연구와 자문화기술지" 아카데미프레스 2020
6 정은지, "지각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대학생활 적응 :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7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19
8 김영천,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27, 2011
9 박순용,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55-79, 2010
10 한수정,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19
11 Richard D. Chessick,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 눈 출판그룹 2014
12 배문경, "유아의 기질, 부모의 기질 및 성격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8
13 박지영, "유아의 기질, 또래유능성,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39-162, 2010
14 송지연,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 성격특성과 양육효능감이 상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15 현상배, "원형탈모증 환자의 생활 사건 스트레스, 대처방식, A형 행동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신체의학회 8 (8): 164-171, 2000
16 최향미, "외현적·내현적 자기애 성향자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자기 및 타인 표상에 대한 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06
17 이경숙, "외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책임귀인의 매개효과" 한국상담대학교 대학원 2019
18 이민진,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의 대인관계 양상 :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3 (3): 119-146, 2017
19 이지연,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20 송민선,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이 외로움과 역량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3 (33): 37-53, 2012
21 송현정,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및 성격특성이 현재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2 김선미,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모-자녀 관계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23 박혜경,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8
24 한세영, "어머니와 자녀 간 모-자녀 갈등에 대한 지각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11 (11): 117-138, 2004
25 김수연, "어머니-청소년 자녀간의 갈등에 관련된 변인" 35 (35): 181-192, 1997
26 신현균, "아동의 신체증상경험과 생활사건, 우울,불안 간 관계 및 자기개념의 중재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77-96, 2006
27 맹수현, "아동, 청소년의 자기애에 대한 연구 고찰" 8 (8): 122-144, 2008
28 최정윤,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19
29 Daiel Cervone, "성격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6
30 허찬희, "서양 정신분석/정신치료의 최근 관심과 도정신치료" 30 (30): 1-2, 2003
31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32 이동식, "도정신치료 입문: 프로이트와 융을 넘어서" 도서출판 한강수 2016
33 홍영미,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및 기질이 외현적 내재적 자기에 성향을 미치는 영향" 2009 (2009): 482-483, 2009
34 주소망,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신념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조절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361-378, 2019
35 최영민,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학지사 2019
36 백승혜,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1001-1017, 2008
37 민병배, "기질 성격검사 매뉴얼" (주)마음사랑 2007
38 김유경, "가족의 갈등과 대응방안 연구-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9 Kohut, H.,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c personality disorder" 23 : 86-113, 1968
40 Ellis, C., "The ethnographic I: A methodological novel about autoethnography" Altamira Press 2004
41 Paus, R., "Stress, hair growth control and the neuro-endocrineimmune connection" 9 : 611-620, 2000
42 Fairbairn, WRD, "Psychoanalytic studies in personality" Routledge & Kegan Paul 1952
43 Block, J.,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fathers’ attitudes toward child rearing" 26 : 41-48, 1955
44 Grissette, N. I., "Perceived social supprot, social skills and quality of relationships in bulimic women" 60 (60): 293-299, 1992
45 Freud, S., "New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McGraw Hill 1952
46 Ellis, C.,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Ltd 733-768, 2000
47 Barber, B. K., "Effects of family, marital, and parent-chil conflict on adolescents self-derogation and suicidal ideation" 55 : 964-974, 1994
48 Millon, T., "Disorders of Personality: DSM-Ⅲ, Axis Ⅱ" Wiley-Incerscience 1996
49 Maxwell, J., "Designing a qualitative study: The sage handbook of 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 Inc 2009
50 Kernberg, O.,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Jason Aronson 1975
51 Chang, H., "Autoethnography as method" Left Coast Press. Inc 2008
청소년의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증상의 순차적 매개효과
내러티브 슈퍼비전의 다양한 방법과 국내 교육훈련 시사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3-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외국어명 : 미등록 -> Family and Family Therapy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6-09-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8 | 1.12 | 1.27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