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정공무원의 퇴직 후 진로전환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 A Qualitative Study on Career Transition of Correctional Officer Who got a Post-retirement Jo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a variety of changes are followed in the professional world as increased life expectancy. However, most public officers are passive in preparing for retirement as they are guaranteed job security under the law while in office and pension for public officer after retirement. Most public officers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and copi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is age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working for public organizations. Some people live a satisfying second act of life, doing new work, thanks to their own strengths, accumulated work experience and continued self-development in the incumbent.
      We interviewed 21 people who worked as correctional officer for more than 28 years and succeeded in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and categorized and analyzed data on the work experience, retirement preparation process, meaning of work, etc. in the way of Strauss and Cobbi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correctional officers do new work after retirement was self-realization rather than economic compensation. Second, the work experience of a retired correctional officers turned out to be much help to the new job, especially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people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people’ helped all subjects. Third, in the career transi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it indicated a higher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than position while in office. Fourth, the most important and prerequisite for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is to establish career goals through self-discovery and self-understanding processes. These were the starting points for career transition. Fifth, when concrete preparations were made for career transition,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was smooth,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ition was short,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This study will be specific educational material for retirement arrangements. It will also serve as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retirement support programs that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ional officers.
      번역하기

      Today, a variety of changes are followed in the professional world as increased life expectancy. However, most public officers are passive in preparing for retirement as they are guaranteed job security under the law while in office and pension for pu...

      Today, a variety of changes are followed in the professional world as increased life expectancy. However, most public officers are passive in preparing for retirement as they are guaranteed job security under the law while in office and pension for public officer after retirement. Most public officers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and copi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is age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working for public organizations. Some people live a satisfying second act of life, doing new work, thanks to their own strengths, accumulated work experience and continued self-development in the incumbent.
      We interviewed 21 people who worked as correctional officer for more than 28 years and succeeded in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and categorized and analyzed data on the work experience, retirement preparation process, meaning of work, etc. in the way of Strauss and Cobbi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correctional officers do new work after retirement was self-realization rather than economic compensation. Second, the work experience of a retired correctional officers turned out to be much help to the new job, especially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people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people’ helped all subjects. Third, in the career transi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it indicated a higher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than position while in office. Fourth, the most important and prerequisite for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is to establish career goals through self-discovery and self-understanding processes. These were the starting points for career transition. Fifth, when concrete preparations were made for career transition,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was smooth,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ition was short,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This study will be specific educational material for retirement arrangements. It will also serve as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retirement support programs that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ional offic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수명증가에 따라 직업세계에 다양한 변화들이 뒤따르고 있지만 대부분 공무원들은 재직 중 법률에 의한 직업안정과 퇴직 후 공무원연금 보장되어 퇴직준비에 수동적이다.
      대부분 공무원들은 장기간 공공기관의 특수성의 영향으로 빠른 시대변화의 흐름에 적응하거나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운데도 일부는 현직에서부터 자신의 강점과 축적된 일경험, 그리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새로운 일을 하며 만족스러운 인생2막을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28년 이상 교정공무원으로 재직 후 퇴직하고 또 새로운 일로 진로전환한 2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하여 교정공무원 재직 중 일경험, 퇴직준비과정, 일의 의미 등에 대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Strauss와 Cobin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교정공무원이 퇴직후 새로운 일을 하는 이유는 경제적인 보상보다도 자기실현의 의미가 컸고, 둘째, 실제 퇴직 후 진로전환 한 경험자들을 통해 본 교정공무원의 일경험은 새 일에 많은 도움이 되었고. 참여자들 모두에게서 도움 되는 전직 일경험은 ‘다양한 사람들을 경험하여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었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진로전환에서는 재직 시 직급 보다는 개인역량과 사회적자본이 높은 관계를 나타내었고, 넷째, 퇴직 후 진로전환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자기탐색과 자기이해과정으로 진로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진로전환의 출발점이었다. 다섯째, 진로전환을 위해 구체적인 준비를 한 경우는 진로전환과정이 순조롭고, 전환을 위한 소요 시간도 짧았고 만족감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퇴직준비에 구체적인 교육자료가 되고, 교정직 공무원 특성에 맞는 퇴직지원프로그램 도입에 기초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오늘날 수명증가에 따라 직업세계에 다양한 변화들이 뒤따르고 있지만 대부분 공무원들은 재직 중 법률에 의한 직업안정과 퇴직 후 공무원연금 보장되어 퇴직준비에 수동적이다. 대부분 ...

      오늘날 수명증가에 따라 직업세계에 다양한 변화들이 뒤따르고 있지만 대부분 공무원들은 재직 중 법률에 의한 직업안정과 퇴직 후 공무원연금 보장되어 퇴직준비에 수동적이다.
      대부분 공무원들은 장기간 공공기관의 특수성의 영향으로 빠른 시대변화의 흐름에 적응하거나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운데도 일부는 현직에서부터 자신의 강점과 축적된 일경험, 그리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새로운 일을 하며 만족스러운 인생2막을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28년 이상 교정공무원으로 재직 후 퇴직하고 또 새로운 일로 진로전환한 2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하여 교정공무원 재직 중 일경험, 퇴직준비과정, 일의 의미 등에 대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Strauss와 Cobin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교정공무원이 퇴직후 새로운 일을 하는 이유는 경제적인 보상보다도 자기실현의 의미가 컸고, 둘째, 실제 퇴직 후 진로전환 한 경험자들을 통해 본 교정공무원의 일경험은 새 일에 많은 도움이 되었고. 참여자들 모두에게서 도움 되는 전직 일경험은 ‘다양한 사람들을 경험하여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었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진로전환에서는 재직 시 직급 보다는 개인역량과 사회적자본이 높은 관계를 나타내었고, 넷째, 퇴직 후 진로전환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자기탐색과 자기이해과정으로 진로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진로전환의 출발점이었다. 다섯째, 진로전환을 위해 구체적인 준비를 한 경우는 진로전환과정이 순조롭고, 전환을 위한 소요 시간도 짧았고 만족감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퇴직준비에 구체적인 교육자료가 되고, 교정직 공무원 특성에 맞는 퇴직지원프로그램 도입에 기초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harf, R. S, "진로상담: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 진로발달 이론의 적용" 박학사 2016

      2 김봉환, "진로상담" 학지사 2013

      3 이용재, "전직지원교육이 구직효능감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몰입과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65-289, 2010

      4 김지연,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병숙, "인간과 직업Ⅰ, Ⅱ" 시그마프레스 2009

      6 박승민,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이미리, "서울시 퇴직예정 소방공무원의 퇴직관리 요구조사"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4

      8 이현림,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9 박상우,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회복탄력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10 Kathy Charmaz,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분석의 실천지침" 학지사 2016

      1 Sharf, R. S, "진로상담: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 진로발달 이론의 적용" 박학사 2016

      2 김봉환, "진로상담" 학지사 2013

      3 이용재, "전직지원교육이 구직효능감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몰입과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65-289, 2010

      4 김지연,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병숙, "인간과 직업Ⅰ, Ⅱ" 시그마프레스 2009

      6 박승민,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이미리, "서울시 퇴직예정 소방공무원의 퇴직관리 요구조사"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4

      8 이현림,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9 박상우,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회복탄력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10 Kathy Charmaz,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분석의 실천지침" 학지사 2016

      11 장선숙, "교정공무원의 퇴직준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정학회 27 (27): 89-112, 2017

      12 구경희, "교원의 퇴직준비교육요구조사 및 프로그램 설계" 원격교육연구소 10 (10): 119-144, 2014

      13 이정의, "교사 퇴직기대의 유형,결정요인 및 퇴직준비교육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14 이수경, "공공부문 임금피크제만족도와 임금피크제 수용도가 퇴직예정자의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15 Campbell, H,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retirement education program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Francis Xavier University 2000

      16 Zikic, J., "Job loss as a blessing in disguise: The role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in prediction reemployment quality" 69 : 391-409, 2006

      17 Wang, M., "Employee retirement: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 36 (36): 172-206, 2010

      18 Anderson, M. L., "Counseling Adults in Transition: Linking Schlossberg’s with Practice in a Diverse World" Springer Publishing Company, LLc 2012

      19 Schlossberg, N. K., "A model for analyzing human adaptation to transition" 9 : 2-18, 1981

      20 전현영, "8人8色 진로전환 이야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21 법무부 교정본부, "2018 교정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80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