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투자자별 부동산 선호요인이 재투자 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nfluence Analysis of Investor Reinvestment for Real Estates Preferences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1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투자자 특성별로 부동산 투자에 있어 중요시되고 있는 선호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부동산 실물투자에 있어 재투자의사에 대한 학술적 의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출된 분석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투자자들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 레버리지 위험, 조기자본회수, 인플레이션 헤지와 같은 투자 위험을 회피하거나 줄일 수 있는 요인을 재투자의사에 중요시 한다는 점이다. 이는 최근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그로인해 나타나는 자산가치의 가격하락, 거래 감소에 따른 불안감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임대수입으로 자본이 빨리 회수되는 부동산과 빠른 시일 내에 부동산을 처분 할 수 있는 물건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저금리 현상으로 나타나는 부동산 관련 규제 및 금융규제완화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금융규제완화는 높은 레버리지로 얻을 수 있는 고수익/고위험을 보다 낮은 위험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투자자에게 마련하고, 관련 규제완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투자자 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출된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기관투자자의 경우 보다 안전성 있는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투자자의 경우 수익성과 안정성 두 가지를 모두 재투자의사에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투자자 특성별로 부동산 투자에 있어 중요시되고 있는 선호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부동산 실물투자에 있어 재투자의사에 대한 학술적 의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본 연구는 투자자 특성별로 부동산 투자에 있어 중요시되고 있는 선호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부동산 실물투자에 있어 재투자의사에 대한 학술적 의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출된 분석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투자자들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 레버리지 위험, 조기자본회수, 인플레이션 헤지와 같은 투자 위험을 회피하거나 줄일 수 있는 요인을 재투자의사에 중요시 한다는 점이다. 이는 최근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그로인해 나타나는 자산가치의 가격하락, 거래 감소에 따른 불안감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임대수입으로 자본이 빨리 회수되는 부동산과 빠른 시일 내에 부동산을 처분 할 수 있는 물건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저금리 현상으로 나타나는 부동산 관련 규제 및 금융규제완화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금융규제완화는 높은 레버리지로 얻을 수 있는 고수익/고위험을 보다 낮은 위험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투자자에게 마련하고, 관련 규제완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투자자 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출된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기관투자자의 경우 보다 안전성 있는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투자자의 경우 수익성과 안정성 두 가지를 모두 재투자의사에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정순, "투자확신이 부동산 위험투자행동과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학회 (37) : 289-308, 2009

      2 김재용, "주택자산이 고령자가구의 재정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534-549, 2012

      3 최막중,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 36 (36): 89-102, 2001

      4 김진, "상업용부동산 투자의 결정요인" 한국주거환경학회 9 (9): 73-86, 2011

      5 권호근, "부동산입지의 이론적 고찰" 한국부동산경영학회 (8) : 75-102, 2013

      6 하정순, "부동산 투자매력속성이 투자자의 실현수익률과 투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학회 (33) : 42-58, 2008

      7 박정기, "부동산 시장의 환경요인과 행동요인이 투자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8 이택수, "부동산 개발사업의 유형별 투자결정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6-466, 2013

      9 박종선, "베이비붐 世代 高齡化에 따른 不動産 投資行態에 관한 硏究 : 大田廣域市를 中心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심규열, "구미지역 부동산 투자자 행동요인이 투자만족, 투자회사 신뢰 및 재투자의도에 미치는 탐색적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4 (14): 179-203, 2006

      1 하정순, "투자확신이 부동산 위험투자행동과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학회 (37) : 289-308, 2009

      2 김재용, "주택자산이 고령자가구의 재정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534-549, 2012

      3 최막중,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 36 (36): 89-102, 2001

      4 김진, "상업용부동산 투자의 결정요인" 한국주거환경학회 9 (9): 73-86, 2011

      5 권호근, "부동산입지의 이론적 고찰" 한국부동산경영학회 (8) : 75-102, 2013

      6 하정순, "부동산 투자매력속성이 투자자의 실현수익률과 투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학회 (33) : 42-58, 2008

      7 박정기, "부동산 시장의 환경요인과 행동요인이 투자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8 이택수, "부동산 개발사업의 유형별 투자결정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6-466, 2013

      9 박종선, "베이비붐 世代 高齡化에 따른 不動産 投資行態에 관한 硏究 : 大田廣域市를 中心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심규열, "구미지역 부동산 투자자 행동요인이 투자만족, 투자회사 신뢰 및 재투자의도에 미치는 탐색적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4 (14): 179-20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