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는 건설공사 수행 시 시설물 안전 및 사업장 외부 시민안전과 관련하여 안전관리계획에 따른 안전관리가 적절히 이행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비용이며, 안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는 건설공사 수행 시 시설물 안전 및 사업장 외부 시민안전과 관련하여 안전관리계획에 따른 안전관리가 적절히 이행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비용이며, 안전...
「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는 건설공사 수행 시 시설물 안전 및 사업장 외부 시민안전과 관련하여 안전관리계획에 따른 안전관리가 적절히 이행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비용이며, 안전사고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행 안전관리비 계상 방법은 세부 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고 시공자의 재량에 따라 사용 가능 금액을 계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시공자의 재량에만 의존하여 제한된 시간과 인력으로 안전관리비 모든 항목에 대해 건설현장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안전관리비를 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 연구 분석 결과,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현행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방법과 동일하게 공사종류와 공사비만을 영향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각 안전관리 비용의 목적과 사용기준이 상이함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 방법을 안전관리비 계상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의 주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 안전관리비를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안전관리비 산정 모델과 산정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 시공자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된 적정 안전관리비를 쉽게 산정하여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관리 예산을 편성 및 운영하여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