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어 표준발음법과 음운제약 = Phonological constraints in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32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should reflect the reality of dialect for conflict resolution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real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rgues about the phonological constraints of Standard Korean Pronun...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should reflect the reality of dialect for conflict resolution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real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rgues about the phonological constraints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and regional dialects.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can be divided into obligatory and optional. The Obligatory phenomena in Standard Pronunciation include unreleased phenomenon, syllabification, nasalization, lateralization, tensification and palatalization. And the obligatory phenomena are caused by the need to satisfy CODA/[-cont], ONSET and SYLLCON etc. The Optional phenomena include such as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spiration, place assimilation, glide insertion and n-insertion. We can explain away these phenomena as the opposition of two constrains i.e. CODA/[-cor]↔CODA/[+son], MAX-IO↔UNIFORMITY, IDENT(F)↔ICC [PLACE] etc. The opposition of constraints in optional phenomena means the interaction of two constraints closely as the choice of the multiple output. Therefore these oppositions should be reflected in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배, "현행 한국어 어문규정의 문제점 - 국어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3 (3): 31-58, 2007

      2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03

      4 강옥미, "한국어의 /nl/과 /ln/의 변동에 대한 대응이론 분석" 한국어학회 31 : 71-100, 2006

      5 宋喆儀, "표준어, 표준발음과 국어 생활의 실제" 국립국어연구원 6 (6): 165-172, 1996

      6 배주채, "표준발음법의 理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69-92, 2006

      7 김선철, "표준발음법과 언어현실" 국립국어연구원 14 (14): 45-65, 2004

      8 송철의, "표준발음법" 국어문화학교, 국립국어연구원 60-72, 1998

      9 權仁瀚, "표준발음" 국립국어연구원 10 (10): 153-160, 2000

      10 신지영, "표준 발음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학회 30 : 133-158, 2006

      1 김형배, "현행 한국어 어문규정의 문제점 - 국어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3 (3): 31-58, 2007

      2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03

      4 강옥미, "한국어의 /nl/과 /ln/의 변동에 대한 대응이론 분석" 한국어학회 31 : 71-100, 2006

      5 宋喆儀, "표준어, 표준발음과 국어 생활의 실제" 국립국어연구원 6 (6): 165-172, 1996

      6 배주채, "표준발음법의 理想"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69-92, 2006

      7 김선철, "표준발음법과 언어현실" 국립국어연구원 14 (14): 45-65, 2004

      8 송철의, "표준발음법" 국어문화학교, 국립국어연구원 60-72, 1998

      9 權仁瀚, "표준발음" 국립국어연구원 10 (10): 153-160, 2000

      10 신지영, "표준 발음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학회 30 : 133-158, 2006

      11 송철의, "자음의 발음" 국립국어연구원 3 (3): 3-22, 1993

      12 배주채, "음절말 평폐쇄음화에 대하여" 서울대국어국문학과 17 : 181-204, 1992

      13 김종규, "음운현상의 수의성과 음장" 한국어문학회 1 (1): 19-48, 2006

      14 김봉국, "음운론적 관점에서 본 「표준어 규정(제2부 표준 발음법」 의 문제점" 인문학연구소 9 (9): 151-174, 2008

      15 신지영,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2004

      16 許椿, "우리말 '표준 발음법' 보완" 한국어문학회 74 (74): 69-117, 2001

      17 신승용, "수의적 음운 현상의 종류와 특성" 국어국문학회 13 (13): 137-162, 2006

      18 이세창, "설정성 자음의 비음화와 설측음화에 관한 연구" 한국음운론학회 12 (12): 643-659, 2006

      19 곽충구, "비교방언론" 한국방언학회 (창간) : 73-102, 2005

      20 소신애, "방언음운론과 표준발음 교육" 시학과언어학회 (14) : 221-247, 2007

      21 권인한, "발음법의 통일 방안 모색"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51-67, 2001

      22 김현, "발음 교육에 대한 단상" 국어교육학회 24 (24): 245-266, 2005

      23 金敏洙, "남북한의 언어 차이(2)" 국립국어연구원 5 (5): 172-183, 1995

      24 이봉원, "남북 표준발음의 통일 방안" 우리어문학회 20 : 57-82, 2003

      25 김무림, "국어음운론" 새문사 2009

      26 이진호, "국어 표준 발음법 제정 과정" 한국어문학회 100 (100): 173-203, 2008

      27 문화관광부, "국어 어문 규정집"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28 金鳳國, "강원도 남부지역방언의 음운론" 서울대 2002

      29 김옥영, "강릉지역어의 음운탈락현상 연구-최적성이론을 중심으로-" 서강대 2006

      30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方言資料集 Ⅰ~Ⅸ"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31 申昇容, "標準發音의 실제와 표준발음법 敎育의 필요성 -中等敎育을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97-116, 2003

      32 방언연구회, "方言學 事典" 태학사 2001

      33 郭忠求, "口蓋音化 規則의 發生과 그 擴散" 震檀學會 92 : 237-268, 2001

      34 김옥영, "ㄴ-첨가 현상의 제약: 강릉 지역어를 대상으로" 한국음운론학회 14 (14): 53-76, 2008

      35 權仁瀚, "‘표준발음법’과 ‘문화어발음법’ 규정" 국립국어연구원 3 (3): 157-188, 1993

      36 김옥영, "‘ㅎ’ 탈락 현상 연구:강릉 지역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0 (30): 631-650, 2005

      37 Casali, Roderic F., "Resolving Hiatus" UCLA 1996

      38 Kim, Jong-Kyoo, "Quantity-Sensitivity and Feature-Sensitivity of Vowels: A Constraint-Based Approach to Korean Vowel Phonology" Indiana University 2000

      39 Vennemann, Theo, "Preference Laws for Syllable Structure and the Explanation of Sound Change" Mouton de Gruyter 1988

      40 Prince, Alan,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Blackwell 2004

      41 Pulleyblank, Douglas, "Optimality Theory and Features. in: Optimality Theory: An Overview" Blackwell 1997

      42 Gyung-RanKim, "Korean palatalization in Optimality Theory:against the strict parallelism" 한국음운론학회 8 (8): 1-15, 2002

      43 McCarthy, John, "Faithfulness and Reduplicative Identity. i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Occasional Papers in Linguistics 18" GLSA 1995

      44 Itȏ, Junko, "A Prosodic Theory of Epenthesis" 7 : 217-259,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