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장애이해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36652
2013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508-517(10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장애이해교...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학교생활과 개인생활 수용태도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장애이해교육이 시간을 무조건 많이 제공하기보다는 4주라는 짧은 시간이라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사회생활 수용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장애아동들의 사회생활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비장애인의 잘못된 장애인식이나, 장애에 대한 무지로 인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접근방식의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 accept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use it as foundational data to practice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 accept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use it as foundational data to practice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changed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 accept disabled children’s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This plainly shows that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effective regardless of time consumed even with the short time of four weeks here. However, it did not exert positive effects on their attitude to accept social life.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stantly with various approaches in order to get rid of non-disabled people’s wrong recognition on disability and also ignorance about disabi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호, "현대심리학 입문" 정민사 1997
2 오세웅,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 박학사 2004
3 민천식, "통합놀이가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55-73, 2006
4 박창호, "태도교육" 교학사 1982
5 김미경,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12 (12): 155-174, 2008
6 변찬석, "장애이해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353-367, 2005
7 신순자, "장애이해교육과 장애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71-197, 2010
8 신순자, "장애이해교육과 장애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문진아,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우혜숙,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515-530, 2004
1 김상호, "현대심리학 입문" 정민사 1997
2 오세웅,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 박학사 2004
3 민천식, "통합놀이가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55-73, 2006
4 박창호, "태도교육" 교학사 1982
5 김미경,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12 (12): 155-174, 2008
6 변찬석, "장애이해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자아개념과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353-367, 2005
7 신순자, "장애이해교육과 장애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71-197, 2010
8 신순자, "장애이해교육과 장애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문진아,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우혜숙,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515-530, 2004
11 이상애, "장애이해 교육활동을 통한 일반유아의 장애 인식 및 태도 변화" 4 (4): 113-136, 2004
12 차수연, "장애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비장애아동의 태도변화를 위한 중재전략간 효과성 비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박현숙, "경도장애학생의 완전통합을 위한 초등학교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일 분석" 34 (34): 1-29, 1999
14 N. Peterson, "Social integration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reschoolers: A study of playmate preferences" 2 (2): 56-69, 1982
15 E. Kelly, "Movies-A unique and effective tool for social educators" 3 (3): 12-, 1997
16 R. L. Simpson, "Modifying the attitudes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the handicapped" 13 : 1-11, 1980
17 S. R. Bookbinder, "Mainstreming: What every child needs to know about disabilities Providence" The Rhode island Easter Seal Society 1978
18 G. C. Clore, "Emotional role playing attitute chang, and attraction toward a disabled person" 23 : 105-111, 1972
19 V. D. Westervelt, "Effects of film on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46 : 294-296, 1980
20 I. M. Voeltz, "Children's attitudes toward disabled peers" 86 (86): 455-464, 1980
21 J. Donaldson, "Changing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person: A review and analysis of analysis of research" 46 (46): 504-514, 1980
22 A. L. Lazer, "Changing attitudes of young mentally gifted children toward handicapped person" 37 : 600-602, 1971
23 B. G. Espositi, "Changing attitudes of Preschool Children toward Handicapped Persons" 49 (49): 361-363, 1983
24 J. Gottlieb, "Attitudes toward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in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72-80, 1986
스마트폰 기반 나이스 학생 · 학부모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식조사
저농도의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불소제제가 치질의 강도와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심폐소생술 시 구조자의 간소화된 구령방법과 연속된 구령방법 간의 가슴압박 질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