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문식력 향상을 위한 문화코드 연구 = A study on culture code for improve cultural lite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7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to learners who live directly in Korea, such as foreign students, married migrant women, and foreign workers, and encounte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ntil now, Korean culture education was often focused on a culture that seemed superficial, and the internal value culture of Korea was limited to the traditional par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rm culture code was propos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that is, literacy, and it was proposed to analyze video data such as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s as data that contains the meanings inherent in modern cultural phenomena and depth. As an analysis tool for analyzing the cultural code of video data, we looked into the meaning generation path model of Greima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to learners who live directly in Korea, such as foreign students, married migrant women, and foreign workers, and encounte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ntil now, Korean cu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to learners who live directly in Korea, such as foreign students, married migrant women, and foreign workers, and encounte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ntil now, Korean culture education was often focused on a culture that seemed superficial, and the internal value culture of Korea was limited to the traditional par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rm culture code was propos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that is, literacy, and it was proposed to analyze video data such as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s as data that contains the meanings inherent in modern cultural phenomena and depth. As an analysis tool for analyzing the cultural code of video data, we looked into the meaning generation path model of Greim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와 같은 한국에서 직접 생활하며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부딪히게 되는 학습자에게 한국문화를 더 잘 이해시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한국문화교육은 표면적으로 보이는 문화 위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내면적인 한국의 가치문화는 전통적인 부분에 국한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의 이해력, 즉 문식력 향상을 위해 문화코드라는 용어를 제시하고, 현대의 문화 현상과 심층에 내재된 의미를 담고 있는 자료로 공익광고와 같은 영상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제안하였다. 영상자료의 문화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 그레마스의 의미생성경로 모델을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와 같은 한국에서 직접 생활하며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부딪히게 되는 학습자에게 한국문화를 더 잘 이해시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와 같은 한국에서 직접 생활하며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부딪히게 되는 학습자에게 한국문화를 더 잘 이해시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한국문화교육은 표면적으로 보이는 문화 위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내면적인 한국의 가치문화는 전통적인 부분에 국한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의 이해력, 즉 문식력 향상을 위해 문화코드라는 용어를 제시하고, 현대의 문화 현상과 심층에 내재된 의미를 담고 있는 자료로 공익광고와 같은 영상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제안하였다. 영상자료의 문화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 그레마스의 의미생성경로 모델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숙현,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64-67, 2001

      2 배재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3 임경순, "한국어 문화 교육의 방안 연구" 한중인문학회 1 (1): 5-26, 2005

      4 박노자,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국제한국어교육회 11 (11): 63-88, 2000

      5 오연, "한국 원작영화와 중국 리메이크영화의 문화차원과 문화코드 비교연구: <블라인드>와 <나는 증인이다>의 서사․이미지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9

      6 Clotaire Rapaille, "컬처 코드(The Culture Code) : 세상의 모든 인간과 비즈니스를 여는 열쇠" 리더스북 296-, 2007

      7 이정민,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에 요구되는 문화능력의 교수-학습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1) : 113-140, 2009

      8 이찬욱,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23) : 165-190, 2011

      9 김성도, "언어상대성 원칙의 역사 인식론적 토대: 문화 언어학을 위한 서설" 국제언어인문학회 3 : 7-42, 2002

      10 김기국, "사진 이미지를 통한 문화 교육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3

      1 김숙현,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64-67, 2001

      2 배재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3 임경순, "한국어 문화 교육의 방안 연구" 한중인문학회 1 (1): 5-26, 2005

      4 박노자,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국제한국어교육회 11 (11): 63-88, 2000

      5 오연, "한국 원작영화와 중국 리메이크영화의 문화차원과 문화코드 비교연구: <블라인드>와 <나는 증인이다>의 서사․이미지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9

      6 Clotaire Rapaille, "컬처 코드(The Culture Code) : 세상의 모든 인간과 비즈니스를 여는 열쇠" 리더스북 296-, 2007

      7 이정민,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에 요구되는 문화능력의 교수-학습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1) : 113-140, 2009

      8 이찬욱,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23) : 165-190, 2011

      9 김성도, "언어상대성 원칙의 역사 인식론적 토대: 문화 언어학을 위한 서설" 국제언어인문학회 3 : 7-42, 2002

      10 김기국, "사진 이미지를 통한 문화 교육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3

      11 Daniel Chandler, "미디어 기호학" 소명출판 46-257, 2006

      12 김형인, "미국과 한국의 문화적 갈등의 근원 - 문화코드의 비교연구" 국제지역연구센터 12 (12): 83-106, 2008

      13 변희지, "문화적 문식성을 활용한 서사교육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4 박인기, "문화와 문식성의 관계 맺기" 한국문화사 94-, 2008

      15 박정미,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기호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김해옥, "문학 작품의 어휘를 통한 한국 언어문화 학습 방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277-298, 2005

      17 주창윤, "대한민국 컬처코드" 21세기북스 2010

      18 정흥균, "대한민국 공익광고의 의미작용에 따른 이데올로기 연구 : 지난 10년간의 TV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19 정유연, "국내 인쇄광고에 나타난 한국인의 문화코드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광고대상 인쇄부문 수상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20 강명구, "광고의 문화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3 : 61-107, 1989

      21 전상민, "광고의 '문화코드'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 TV광고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22 오지혜,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73-197, 2012

      23 정윤희, "공익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통합수업 모형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24 공현희, "TV 공익광고의 기호학적 연구 - 그레마스의 의미생성모델을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1 (11): 17-26, 2010

      25 오현아, "A Study on the Important Values of Contemporary Korean Human Relations in TV Commercials"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8 (8): 83-10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