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러시아어와 러시아 관련 교양과목 수업에서 소통과 수업참여를 활용했을 때 수업의 분위기와 학습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과목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5714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9(2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러시아어와 러시아 관련 교양과목 수업에서 소통과 수업참여를 활용했을 때 수업의 분위기와 학습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과목에서 ...
본 논문은 러시아어와 러시아 관련 교양과목 수업에서 소통과 수업참여를 활용했을 때 수업의 분위기와 학습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과목에서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러시아어입문과목과 교양에서는 러시아도시산책이라는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수업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수업방식으로 바꾸어 진행하였다.
최근의 교수-학습 패러다임을 보면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를 활용한 교육방법으로,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이론보다는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고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 위주의 교육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교수 주도의 통제적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와 학생이 상호 주도하고 통제하는 학습 환경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와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소통하는 수업이 수업의 분위기와 수업의 성과를 개선 시킬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되는 소통의 종류는 크게 3가지 이다. 첫째는 학습자 간의 소통, 둘째는 교수자와의 소통, 셋째는 가족과의 소통이다. 이 3통은 미시적인 측면에서는 수업의 내용과는 무관할 수 있겠으나, 거시적인 측면에서 수업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교수-학습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교수자들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업에 작은 변화를 가져야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effect by adopting the techniques of a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both the Russian language acquisition classes and liberal arts classes. This analysis looks at the freshmen w...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effect by adopting the techniques of a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both the Russian language acquisition classes and liberal arts classes. This analysis looks at the freshmen who attend lectures of the Introduction to Russian Language and the Portrait of Russian Citie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techniques.
In the recent theori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y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dopting and applying multimedia equipments. Contrary to the traditional educational theory, they have stressed the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 by refusing the teacher-oriented teaching method. Therefore, the learners can have more opportunities to learn from their own experiences without teacher controlled environment. The author then focuses on the positive effects of learning environment and class goals and achievements in a new teaching method: learning with a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e educational term “communicat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the communication among family. This kind of communication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atmosphere in a broad point of view. Therefore, teacher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point of advantage of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 and change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roo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의용, "잘 가르치는 교수" 쌤앤파커스 2010
2 김선희, "의사소통 지도가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 Peters, R. S., "윤리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3
4 조희정,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소통과 참여 교수법 활용 수업"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05-230, 2015
5 송은지, "실천공학 교수법 : 대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4 (4): 2012
6 이종희,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학습 지도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41 (41): 2-172, 2002
7 이은철,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1 (51): 57-82, 2013
8 강인애, "디지털 시대의 학습 테크놀로지" 문음사 2006
9 정은이,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25-44, 2010
10 김재건, "대학생들의 의견 조사를 통한 대학 수업 개선 영역 고찰" 한국교육학회 46 (46): 121-150, 2008
1 이의용, "잘 가르치는 교수" 쌤앤파커스 2010
2 김선희, "의사소통 지도가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 Peters, R. S., "윤리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3
4 조희정,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소통과 참여 교수법 활용 수업"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05-230, 2015
5 송은지, "실천공학 교수법 : 대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4 (4): 2012
6 이종희,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학습 지도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41 (41): 2-172, 2002
7 이은철,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1 (51): 57-82, 2013
8 강인애, "디지털 시대의 학습 테크놀로지" 문음사 2006
9 정은이,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25-44, 2010
10 김재건, "대학생들의 의견 조사를 통한 대학 수업 개선 영역 고찰" 한국교육학회 46 (46): 121-150, 2008
11 차현전, "대학 교원의 교수법 탐색을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399-421, 2014
12 김정겸,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대학생의 수업참여 특성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49-185, 2010
13 Molenaar, I., "The effects of scaffolding metacognitive activities in small groups" 26 (26): 2010
14 Dawson, 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sense of community" 9 (9): 2006
극동지역 최초의 고려인 영화『도적』-『선봉』에 기초하여
고골의 수수께끼성과 근대 러시아 비판에 대한 성서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6 | 0.16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9 | 0.3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