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새로운 교육과정이 발표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이 배경이 되어, 기초 소양 교육 강화 및 실생활 연계형 학습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
2015년 9월 새로운 교육과정이 발표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이 배경이 되어, 기초 소양 교육 강화 및 실생활 연계형 학습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는 ‘영역,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 5가지로 제시했다. ‘영역, 내용요소’로 제시했던 이전 교육과정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은 2009 교육과정의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에서 변화한 것이다. 이름이 변화할 뿐 아니라 이전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하위영역이었던 ‘언어생활’을 상위 영역으로 범주화시킨 것이다. 2009 한문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하며 특징을 잘 반영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리하여 2009 한문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 비교를 통해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한문과 핵심역량을 제시하여 성격을 강화하였다. ‘한문과 핵심역량’은 한문과의 특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한문 교과에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계발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말한다. 4가지 핵심역량에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핵심개념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다른 목표들은 그대로 유지되고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로 이루어진 한자 어휘를 익혀’가 추가되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을 강조한 목표가 새롭게 생겼다. 또한 내용 요소를 ‘일상용어’, ‘학습 용어’, ‘성어’의 세 가지로 구성한 것을 보았을 때,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에서 말하는 ‘한자 어휘’의 대상을 구체화시켜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변화한 교육과정을 교과서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2009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한문 교과서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한문 교과서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5종의 한문 교과서를 선택하여 교과서의 변화한 구성을 살펴본바, 전체적으로 단원과 분량이 감소하였지만 한자 어휘에 관련된 소단원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출판사별로 한자 어휘의 수가 많아지고 학습용어, 일상용어, 성어를 학습할 수 있는 소단원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속하지 않는 한자는 다락원은 2개에서 20개로 증가하였고, 동화사 교과서는 14개에서 1개로 감소하였다. 미래엔 교과서는 8개에서 2015년에는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비상교육 교과서에서는 2009년에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가 1개로 증가하였다. 장원교육 교과서는 2009년, 2015년 둘다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출판사별로 감소, 증가한 것을 찾을 수 있었다. 이번 교육과정에서 한문 교과 교과서의 어휘 량이 늘어나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일상용어, 학습용어로 대상을 두어 감소한 본문보다 다양한 어휘가 제시되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은 ‘일상용어’, ‘학습용어’, ‘성어’로 한자 어휘들을 선정하였는데 오히려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한자 어휘의 비율은 2009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보다 감소하였다는 문제점을 보인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이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영역과 관련된 심사 항목 위주로 살폈다. 2015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은 한자 어휘의 중요성을 일깨웠고, 다른 과목과 연계시켜 공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시하였다. 이번 교육과정 특징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일상용어, 학습용어, 성어로 대상을 구체화하였다.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것이 중점으로 하여 실용적인 언어생활을 강조한 것과 한자어를 통해 원활한 언어 소통과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자어 교육이 학업 성취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한문 교과서는 본문의 양이 감소하고 다양한 어휘가 제시되었다. 그만큼 다양한 어휘가 제시된 만큼 한문 과목이 앞으로 ‘일상용어’, ‘학습용어’와 ‘성어’의 어휘 구성과 난이도에 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할 것이라 보여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