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려의 소통적 자질 탐구 = Communicative Features of Consid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34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Meaning of consideration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was conceptualized as follows:Consideration is the premise of mutual respect of the p...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Meaning of consideration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was conceptualized as follows:Consideration is the premise of mutual respect of the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 empathic listening to other’s opinions, and revealing authenticity of own’s mind. And all this is done in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based on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situation of communication. Consideration features that are realized in conversation, mutual respect(cognition dimension) and authentic speaking (expression dimension), empathic listening(accept dimension), relational thinking(situation dimension). The four features consideration is communicating a ‘real consideration’ should establish an organic relationship to each other. Consideration is the ultimate goal and orientation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a means of communication. Real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will bring a qualitative change in our live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others, as well as communication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의사소통론적 관점에서 배려의 의미를 고찰하고, 대화에서 실현되는 배려의 자질을 탐구한 것이다. 의사소통에서 배려의 의미는 ‘대화 참여자 간의 상호 존중을 전제로 상대방...

      이 연구는 의사소통론적 관점에서 배려의 의미를 고찰하고, 대화에서 실현되는 배려의 자질을 탐구한 것이다. 의사소통에서 배려의 의미는 ‘대화 참여자 간의 상호 존중을 전제로 상대방의 말을 공감적으로 수용하며 자신의 마음을 진실 되게 드러내는 것으로, 이는 소통의 제반 상황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성찰하는 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대화에서 실현되는 배려의 자질로는 인식 차원에서 ‘상호 존중하기’, 표현 차원에서 ‘진실된 말하기’, 수용 차원에서 ‘공감적 경청하기’, 상황 차원에서 ‘관계적 사고하기’를 논의하였다. 대화에서 네 가지 배려의 자질은 상호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을 때 진정한 배려가 소통될 수 있다. 이러한 배려는 의사소통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지향점이다. 따라서 진정한 배려의 소통은 타인과의 관계 발전은 물론 의사소통 문화를 개선하고 나아가 우리의 삶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정현, "화법 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연구 —생태 윤리적 가치 형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9 (49): 787-815, 2014

      2 최현섭, "상생화용의 서설" 한국어교육학회 (113) : 27-78, 2004

      3 최현섭, "상생화용,새로운 의사소통 탐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최영환, "상생언어 연구의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120) : 249-285, 2006

      5 김수동, "배려척도 문항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81-104, 2014

      6 박미영, "배려적 화법의 교육 내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7 정혜영, "배려적 화법에서의 대화 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완순, "배려윤리의 이론적 배경" 윤리문화학회 (4) : 47-89, 2008

      9 유재봉, "배려교육론 연구 : 자유교육론의 대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21, 2008

      10 Noddings,N., "배려교육론" 다른우리 1992

      1 한정현, "화법 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연구 —생태 윤리적 가치 형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9 (49): 787-815, 2014

      2 최현섭, "상생화용의 서설" 한국어교육학회 (113) : 27-78, 2004

      3 최현섭, "상생화용,새로운 의사소통 탐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최영환, "상생언어 연구의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120) : 249-285, 2006

      5 김수동, "배려척도 문항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81-104, 2014

      6 박미영, "배려적 화법의 교육 내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7 정혜영, "배려적 화법에서의 대화 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완순, "배려윤리의 이론적 배경" 윤리문화학회 (4) : 47-89, 2008

      9 유재봉, "배려교육론 연구 : 자유교육론의 대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21, 2008

      10 Noddings,N., "배려교육론" 다른우리 1992

      11 강선보, "배려,교육을 향한 열정" 원미사 2009

      12 서현석, "말하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배려적 사고’의 개념 탐구" 국어교육학회 (28) : 393-422, 2007

      13 박창균, "듣기·말하기 교육에서 맥락 설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4 김상대, "동양 언어관의 특성" 한국어교육학회 (95) : 207-229, 1997

      15 이미식, "도덕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배려의 윤리" 부산대학교출판부 2002

      16 상생화용연구소, "내 말에 상처 받았니?"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7 서현석, "국어교육에서 ‘배려’ 연구의 동향과 전망" 우리어문학회 (54) : 491-509, 2016

      18 김민성, "교수-학습 상황에서 ‘배려’의 개념화와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429-458, 2009

      19 Mayeroff, M., "Oncaring" Harperand Row 1971

      20 이명신, "Nel Noddings의 배려교육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21 Halliday,M.A., "Language,context, and text"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2 Hoagland, S. L., "Feminist Ethics"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