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경백편』의 선사와 규장각의 문서 행정 = The Transcription of 『Ogyeong-Baegpyeon(五經百篇)』 and the Document Administration of Kyujanggak(奎章閣)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7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gyeong-Baegpyeon (五經百篇)』, printed from woodblock in 1798, is a king-edited book(御定書) for which King Jeongjo selected by himself 100 sections from the Five Classics. King Jeongjo ordered the officials of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慶尙監營) to copy out fairly the engraving sheets that were necessary to engrave 『Ogyeong-Baegpyeon』 in Janggye style(狀啓體). The king’s intention was to take the thick and simple handwriting style of Gyeongsang province, while restoring the thin and slanted style then in vogue to pure one.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cesses of transcription where the handwriting shape of woodblock 『Ogyeong-Baegpyeon』 had been made by analyzing 『Naegakseonsailrok(內閣繕寫日錄)』. The officials transcribed three copies in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 in 1795, then two copies in Kyujanggak(奎章閣) in 1797. Among the king’s various rewards for those officials, the most special was rapid promotion in that office.
      Also, this article examined the document administration of Kyujanggak by analyzing the official document delivery system between Kyujanggak and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 during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Ogyeong- Baegpyeon』. Kyujanggak, under the king’s order, issued king’s writ directly to Gyeongsang governor while the governor’s reports of writ receipt were received by Imunwon(摛文院). Such practice indicates that King Jeongjo placed Kyujanggak in relatively higher rank among king’s immediate advisory and secretarial institutes.
      번역하기

      The 『Ogyeong-Baegpyeon (五經百篇)』, printed from woodblock in 1798, is a king-edited book(御定書) for which King Jeongjo selected by himself 100 sections from the Five Classics. King Jeongjo ordered the officials of the supreme local govern...

      The 『Ogyeong-Baegpyeon (五經百篇)』, printed from woodblock in 1798, is a king-edited book(御定書) for which King Jeongjo selected by himself 100 sections from the Five Classics. King Jeongjo ordered the officials of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慶尙監營) to copy out fairly the engraving sheets that were necessary to engrave 『Ogyeong-Baegpyeon』 in Janggye style(狀啓體). The king’s intention was to take the thick and simple handwriting style of Gyeongsang province, while restoring the thin and slanted style then in vogue to pure one.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cesses of transcription where the handwriting shape of woodblock 『Ogyeong-Baegpyeon』 had been made by analyzing 『Naegakseonsailrok(內閣繕寫日錄)』. The officials transcribed three copies in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 in 1795, then two copies in Kyujanggak(奎章閣) in 1797. Among the king’s various rewards for those officials, the most special was rapid promotion in that office.
      Also, this article examined the document administration of Kyujanggak by analyzing the official document delivery system between Kyujanggak and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 during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Ogyeong- Baegpyeon』. Kyujanggak, under the king’s order, issued king’s writ directly to Gyeongsang governor while the governor’s reports of writ receipt were received by Imunwon(摛文院). Such practice indicates that King Jeongjo placed Kyujanggak in relatively higher rank among king’s immediate advisory and secretarial institut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度支準折"

      2 양진석, "한국사 시민강좌 37, In 한국사 시민강좌 37" 2005

      3 이선희, "조선후기 영남지방 지방관의 행정소통 체계와 조정방식" 영남문화연구원 (16) : 45-75, 2009

      4 이훈상, "조선후기 경상도 監營의 營房과 安東의 향리사회-안동 향리사회의 영방 주도권 유지 전략과 향리 가계들의 상호 견제 기제" 대동문화연구원 (55) : 361-427, 2006

      5 김건우, "조선후기 慶尙右兵營의 문서행정에 관한 일고찰" 서울大學校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218-, 2007

      6 조계영, "조선왕실 봉안 서책의 장황과 보존 연구 : 『선원계보기략』과 『국조보감』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7 송철호, "조선시대 첩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8 노인환, "조선시대 임명 관련 上來有旨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36 : 27-54, 2010

      9 노인환, "조선시대 유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0 문보미, "조선시대 관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 "度支準折"

      2 양진석, "한국사 시민강좌 37, In 한국사 시민강좌 37" 2005

      3 이선희, "조선후기 영남지방 지방관의 행정소통 체계와 조정방식" 영남문화연구원 (16) : 45-75, 2009

      4 이훈상, "조선후기 경상도 監營의 營房과 安東의 향리사회-안동 향리사회의 영방 주도권 유지 전략과 향리 가계들의 상호 견제 기제" 대동문화연구원 (55) : 361-427, 2006

      5 김건우, "조선후기 慶尙右兵營의 문서행정에 관한 일고찰" 서울大學校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218-, 2007

      6 조계영, "조선왕실 봉안 서책의 장황과 보존 연구 : 『선원계보기략』과 『국조보감』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7 송철호, "조선시대 첩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8 노인환, "조선시대 임명 관련 上來有旨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36 : 27-54, 2010

      9 노인환, "조선시대 유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0 문보미, "조선시대 관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1 김효경, "조선시대 간찰 서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5

      12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13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 해석사 2000

      14 "정조실록"

      15 민족문화추진회, "일득록 5, In 국역홍재전서 제165권" 243-, 2000

      16 "오경백편"

      17 "승정원일기"

      18 이영훈,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후기" 서울대학교출판부 90-91, 2008

      19 "내각일력"

      20 "내각선사일록"

      21 김건우, "규장각의 문서제도와 그 위상" 영남문화연구원 (21) : 175-202, 2012

      22 "魯史零言"

      23 민족문화추진회, "題, In 국역 다산시문집 제14권" 題 206-, 1983

      24 千惠鳳, "韓國 書誌學" 민음사 149-150, 1997

      25 "鑄字所應行節目"

      26 弘齋全書, "詩, In 弘齋全書" 태학사 118-119,

      27 박준호, "經國大典 체제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28 : 111-128, 2006

      28 "用文字式, In 經國大典"

      29 "營總"

      30 "正祖實錄 권52"

      31 "弘齋全書 , 群書標記 御定, In 五經百篇五卷"

      32 "奎章閣志 卷二"

      33 權啓萬, "內閣繕寫日錄 (古4254-53)"

      34 "內閣繕寫日錄"

      35 "內閣學士題名記"

      36 "儒胥必知" 사계절 256-272, 2006

      37 "五經百選, In 示五經百選印所諸學士"

      38 김문식, "《內閣繕寫日錄》해제" 大學校 國史學科 43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2.0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