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표현 양가성, 건강통제 소재가 암 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The Influence of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Health Locus of Control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3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and it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8 cancer patients, currently receiving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hospitals. The Mini-Mental Adjustment to Cancer (Mini-MAC),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MHLC), and Illness-Specific Social Support Scale (ISSS-GR) were administrated to them.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 If patients have shown more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their psychological disturbances such as anxiety, depression, helpless-hopeless and anxious preoccupation, were higher and the will to overcome cancer was lower. Also, if patients had more 'other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than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ir psychological disturbances were higher and the will to overcome cancer was lower.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ancer pati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positive support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helpless-hopeless.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social support had no effect in reducing helpless-hopeles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and it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and it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8 cancer patients, currently receiving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hospitals. The Mini-Mental Adjustment to Cancer (Mini-MAC),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MHLC), and Illness-Specific Social Support Scale (ISSS-GR) were administrated to them.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 If patients have shown more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their psychological disturbances such as anxiety, depression, helpless-hopeless and anxious preoccupation, were higher and the will to overcome cancer was lower. Also, if patients had more 'other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than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ir psychological disturbances were higher and the will to overcome cancer was lower.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ancer pati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positive support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helpless-hopeless.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social support had no effect in reducing helpless-hopeles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건강통제소재가 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암 진단을 받은 후 암 재활 전문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현재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중인 118명을 대상으로 암 적응척도, 병원 불안-우울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건강통제소재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을수록 불안, 우울, 무력감-무망감 및 불안몰두와 같은 심리적 고통이 높은 반면, 질병에 대한 투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건강통제소재 보다 타인이나 우연건강통제소재를 보일수록 불안, 우울, 무력감-무망감 및불안몰두와 같은 심리적 고통이 높은 반면, 투지에 대한 적응지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질병에 대한 자기 통제감을 가지고 건강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에서긍정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무력감-무망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통제소재와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안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건강통제소재가 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암 진단을 받은 후 암 재활 전문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 ...

      본 연구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건강통제소재가 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암 진단을 받은 후 암 재활 전문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현재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중인 118명을 대상으로 암 적응척도, 병원 불안-우울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건강통제소재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을수록 불안, 우울, 무력감-무망감 및 불안몰두와 같은 심리적 고통이 높은 반면, 질병에 대한 투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건강통제소재 보다 타인이나 우연건강통제소재를 보일수록 불안, 우울, 무력감-무망감 및불안몰두와 같은 심리적 고통이 높은 반면, 투지에 대한 적응지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질병에 대한 자기 통제감을 가지고 건강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에서긍정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무력감-무망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통제소재와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안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화기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9

      2 최해연,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71-89, 2007

      3 이혜경,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 최해연,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구조와 기능" 한국심리학회 24 (24): 239-257, 2005

      5 이승미,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 기혼 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113-128, 2006

      6 이주일,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11 (11): 117-140, 1997

      7 한정원,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8 조성진, "자살사고를 보이는 암환자에 대한 실제적 접근 및 간호 중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6 (6): 58-64, 2003

      9 이미옥, "입원 암환자의 질병상태 및 건강상태지각과 건강통제위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10 조옥희,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대한종양간호학회 9 (9): 129-135, 2009

      1 김경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소화기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9

      2 최해연,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71-89, 2007

      3 이혜경,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 최해연,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구조와 기능" 한국심리학회 24 (24): 239-257, 2005

      5 이승미,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 기혼 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113-128, 2006

      6 이주일,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11 (11): 117-140, 1997

      7 한정원,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8 조성진, "자살사고를 보이는 암환자에 대한 실제적 접근 및 간호 중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6 (6): 58-64, 2003

      9 이미옥, "입원 암환자의 질병상태 및 건강상태지각과 건강통제위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10 조옥희,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대한종양간호학회 9 (9): 129-135, 2009

      11 오복자, "위암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예측모형"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12 김연정, "암환자의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의미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3 金春吉, "암환자의 불편감 정도와 성격과의 관계연구 :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14 강지인, "암 환자의 정신사회적 특성과 정신 건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6 (46): 421-429, 2007

      15 박점희, "암 환자의 건강통제소재성격과 가족지지 및 절망감과의 관계" 4 (4): 1-14, 2000

      16 오은영, "암 환자들과 비 암 환자들 간의Alexithymia의 비교" 34 (34): 1552-1560, 1995

      17 황종귀, "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및 신체적, 심리적 건강"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2

      18 국가 암 정보센터, "암 발생률, 사망률, 생존율에대한 통계"

      19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20 오세만, "병원 불안-우울 척도에 관한 표준화 연구 : 정상.불안,우울집단간의 비교"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21 김진화, "말기암 환자의 건강통제위와 죽음불안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22 Pennebaker, J. W.,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somatic disease : Exploring the roles of behavioral inhibition. obsession and confiding" 26 : 82-95, 1985

      23 Taylor, E. J., "Transformation of tragedy among women surviving breast cancer" 27 (27): 781-788, 2000

      24 Sjolander, C., "The significa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s among newly diagnosed lung cancer patients in sweden" 10 (10): 182-187, 2008

      25 Kissen, D. M., "The sigmificance of personality in lung cancer in men" 125 : 820-826, 1966

      26 Baltes, M. M., "The psychology of control and aging" Lawrencde Erlbaum 1986

      27 Josephs, S., "The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attitudes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16 (16): 869-875, 1994

      28 Zigmond, A. S,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67 : 361-370, 1983

      29 Kaplan, H. I., "Synopsis of Psychiatry" Williams, & Wilkins Co 1988

      30 Giese-Davis, J., "Suppression, repressive-defensiveness, restraint, and distres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 separable or inseparable constructs?" 69 (69): 417-449, 2001

      31 Goelitz, A., "Suicidal ideation at end-of-life : The palliative care team's role" 1 (1): 275-278, 2003

      32 Maunsell, E., "Social support and survival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76 : 631-637, 1995

      33 Marks, G., "Role of locus of control belifes and expectations of treatment efficacy in adjustment to cancer" 51 : 443-450, 1986

      34 Goldstein, H. S., "Relationship of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o experienced anger and expressed anger" 50 : 321-329, 1988

      35 Osborn, R. L.,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 meta-anlyses" 36 : 13-34, 2006

      36 Krumm, S., "Psychosocial adaptation of the adult with cancer" 17 : 729-737, 1982

      37 Jensen, M. R., "Psychological factors predicting the course of breast cancer" 55 : 317-324, 1987

      38 Cox, T., "Psychological factors and psychophysiological mechanism in the etiology and development of cancers" 16 : 381-396, 1982

      39 Kim, Y. H., "Psychological constructs to predicting smoking behavior among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38 : 620-627, 2004

      40 Greer S., "Psychological attitudes of women who develop breast cancer : a controlled study" 19 : 147-153, 1975

      41 Friedman, H. S., "Personality,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heart disease :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on" 53 (53): 783-792, 1987

      42 Poteet, J., "Pain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in an outpatient cancer population" 57 : 1259-1265, 1986

      43 National Cancer Institute, "Issues Cancer Trends Progress Report" 2007

      44 Hatchett, L., "Interpersonal expectations,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hronic illness" 73 (73): 560-573, 1997

      45 Watson, M.,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sponse on breast cancer survival : 10-year follow-up of a population-based cohort" 41 : 1710-1714, 2005

      46 Gross, J. J.,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85 (85): 348-362, 2003

      47 King, A. M.,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58 : 864-877, 1990

      48 Kuchler, T., "Impact of psychotherapeutic support on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surgery: survival results of a trial" 46 : 322-335, 1999

      49 Buck, R., "Human Motivation and Emotion" Wiley 1988

      50 Andrykowski, M. A., "Heath locus of control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ancer patients : interactive effects of context" 17 (17): 435-458, 1994

      51 Eun-Jung Shi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 A cross-cultural survey of German, Japanese, and South Korean patients" 99 : 341-350, 2006

      52 De Valck C., "Health locus of control and quality of life in Lung Cancer Patients" 28 (28): 179-186, 1996

      53 National Institute for Clinical Excellence, "Guidance on cancer service improving supportive and palliative care for adult"

      54 Tomich, P. L., "Five years later :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breast cancer survivors with healthy women" 11 (11): 154-169, 2002

      55 Shacham, S., "Emotional states and pain. 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measures of association" 6 : 405-419, 1983

      56 King, A. M.,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over ex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10 : 601-607, 1993

      57 Emmons, R. A.,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68 : 947-959, 1995

      58 Greenberg, L. S., "Emotion in psychotherapy" 44 (44): 19-29, 1989

      59 Spiegel, D., "Effect of psychosocial treatment on survival of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2 : 888-891, 1989

      60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Distress management" 2009

      61 Pennebaker, J. W., "Disclosure of trauma and health among Holocaust survivor" 51 : 577-589, 1989

      62 Ramm G. C., "Die deutsche Adaptation der Illness-Specific Social Support Scale und ihre teststatistische U¨berpru¨fung beim Einsatz an Patienten vor und nach-Knochen mark tranplantation" 12 : 29-38, 2003

      63 Wallston, K. A,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MHLC)scales" 6 : 160-170, 1978

      64 Watson, M.,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measure of adjustment to cancer : the MAC scale" 18 : 203-209, 1988

      65 Wallston, K.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44 : 580-585, 1976

      66 Kim, Y. H., "Correlation of mental health problems with psychological constructs in adolescence : final results from a 2-year study" 40 : 115-124, 2003

      67 Faller, H., "Coping and survival in lung cancer : a 10-year follow-up" 159 : 2105-2107, 2002

      68 Costanzo, E. S., "Cop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extensively treated for gynecologic cancer" 104 : 132-142, 2006

      69 Lock, S. E.,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Williams, & Wilkins Co 1243-1245, 1989

      70 Taskila, T., "Cancer survivors' received and needed social support from their work place and th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14 (14): 427-435, 2006

      71 Robinson, D., "Cancer patients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al social support" 24 (24): 381-390, 2009

      72 윤병수, "BIS/BAS 하위체계 연결가설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스트레스, 희망 및 건강통제소재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923-942, 2008

      73 Taylor, S. E., "Attributions, belifes about control, and adjustment to breast cancer" 46 : 489-502, 1984

      74 Cohen, J., "A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Erlbaum 2003

      75 Holland, J. C., "American cancer society award lecture. Psychological care of patients : psychooncology's contribution" 21 (21): 253-265, 2003

      76 Katz, I. M.,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well-being : Nomothetic and idiographic tests of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67 : 513-524, 1994

      77 Mongraine, M.,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life events : Media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dependent and self-critical individuals" 16 : 447-458, 1994

      78 Todarello, O, "Alexithymia and breast cancer. survey of 200 women undergoing mammography" 51 : 51-55, 1989

      79 Rodin, J., "Aging and health : effect of the sense of control" 233 : 143-149,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 한국건강심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62 2.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