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on the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of Toddl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3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만 2세 영아 36명(실험집단 18명,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만 2세 영아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으로 4개 반을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기본운동능력 척도와 정서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통해 영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as examine the effect of a personality improvement activity on the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of toddlers. The subjects were 36 toddlers saged two years (experimental group: 18; comparative gr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as examine the effect of a personality improvement activity on the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of toddlers. The subjects were 36 toddlers saged two years (experimental group: 18; comparative group: 18). Infant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 regulation activity criteria were used as experimental tool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1.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basic motor ability of toddlers. Second,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t enhancing the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of toddlers. Such results signify that the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were improved through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is worth doing a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3

      2 윤옥주, "전통놀이활동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05-229, 2010

      3 김규수, "전래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타인정서인식과 자기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57-374, 2004

      4 장완수,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365-382, 2012

      5 주혜진,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2 (12): 163-193, 2012

      6 이희선,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한국발육발달학회 14 (14): 79-90, 2006

      7 김주연, "유아교사의 신체활동 지도실제와 지도스트레스"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51-174, 2011

      8 신리행, "움직임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게임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89-316, 2015

      9 김주영, "영아의 정서조절 능력 측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0 홍성희, "영아를 위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67-293, 2015

      1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3

      2 윤옥주, "전통놀이활동에 기초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05-229, 2010

      3 김규수, "전래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타인정서인식과 자기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57-374, 2004

      4 장완수,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365-382, 2012

      5 주혜진,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2 (12): 163-193, 2012

      6 이희선,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한국발육발달학회 14 (14): 79-90, 2006

      7 김주연, "유아교사의 신체활동 지도실제와 지도스트레스"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51-174, 2011

      8 신리행, "움직임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게임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89-316, 2015

      9 김주영, "영아의 정서조절 능력 측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0 홍성희, "영아를 위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67-293, 2015

      11 김종욱, "어린이 축구교실참가에 따른 정서발달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1025-1032, 2000

      12 이민경, "신체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발달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13 이지영, "신체활동을 통한 정서조절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4 오연주, "만 2세 영아의 그림책 활용을 통한 실외놀이 프로그램 개발" 15 (15): 25-35, 2014

      15 박유미, "또래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과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2) : 33-54, 2010

      16 임성혜, "동화를 활용한 요가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503-526, 2010

      17 정미라,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 모형"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65-286, 2012

      18 Schickedanz. J. A., "놀이를 통한 읽기와 쓰기의 지도" 이화여자대학교 편집부 2002

      19 이화진, "그림책읽기 후속활동이 영아의 언어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2 (22): 455-469, 2011

      20 송순옥,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57-78, 2013

      21 이성주,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소 17 (17): 29-50, 2015

      22 윤은영,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12 (12): 45-59, 2011

      23 김명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6 (16): 45-67, 2015

      24 김정원,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107-132, 2016

      25 김주연,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25-45, 2013

      26 Allyn, J., "Why we're still in love with picture books (Even though they're supposed to be dead)" 87 (87): 10-16, 2011

      27 Harper, L. J., "Using picture books to promote social-emotional literacy" 71 (71): 80-, 2016

      28 Kirk, S. M., "Using physical to teach academic content: A study of the effects on literacy in head start preschoolers" 42 (42): 181-189, 2014

      29 Kantomaa, M. T., "Emotional andbehavioral problems in relation to physical activity in youth" 40 (40): 1749-1756, 2008

      30 Werderd, J., "A motor development curriculum" American Guidance Service 1988

      31 성연정, "2세 영아의 도구 탐색을 통한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129-158, 2015

      32 한국보육진흥원, "2016 어린이집 평가인증"

      33 Burdette, H. L., ""Resurrecting free play in young children : looking beyond fitness and fatness to attention, affiliation and affect"" 159 (159): 46-50,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