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수준과 원자력 갈등관리 효력에 관한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10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make a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local referendum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aw,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accordance with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level of local referendum. Local referendum can be categorized by four types into legal force and prime mover. The case analysis objects are Buan, Gyeongju, Samcheok, and Yeongduk where hold three types of local referendum. The standards of analysis on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level are representativeness, clarity, fairness, equity, and reflexivity.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with whether or not reflect results of local referendum and dissolution of conflict.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in the case of local referendum with legal force, an increase in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level of local referendum leads to an increase in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Second, in the case of local referendum without legal forc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ensuring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are in poor condition and conflicts do not dissolve due to dispute with respect to fairness. Third, in the case of with and without legal force, it is needed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 for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and the enhancement of reflexivity and fairness. Building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local referendum on nuclear power plant location should be re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make a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local referendum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aw,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accordance with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level of local referendum. L...

      This study is to make a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local referendum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aw,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accordance with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level of local referendum. Local referendum can be categorized by four types into legal force and prime mover. The case analysis objects are Buan, Gyeongju, Samcheok, and Yeongduk where hold three types of local referendum. The standards of analysis on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level are representativeness, clarity, fairness, equity, and reflexivity.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with whether or not reflect results of local referendum and dissolution of conflict.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in the case of local referendum with legal force, an increase in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level of local referendum leads to an increase in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Second, in the case of local referendum without legal forc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ensuring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are in poor condition and conflicts do not dissolve due to dispute with respect to fairness. Third, in the case of with and without legal force, it is needed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 for the deliberative participation and the enhancement of reflexivity and fairness. Building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local referendum on nuclear power plant location should be re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policy conflict manag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문제제기
      • Ⅱ. 원자력 시설 입지과정과 주민투표
      • 1. 원자력 시설 입지과정에서 주민투표의 특징
      • 2. 숙의적 참여와 주민투표
      • Abstract
      • Ⅰ. 문제제기
      • Ⅱ. 원자력 시설 입지과정과 주민투표
      • 1. 원자력 시설 입지과정에서 주민투표의 특징
      • 2. 숙의적 참여와 주민투표
      • Ⅲ. 분석방법 및 분석대상 사례 개요
      • 1. 분석방법 및 분석틀
      • 2. 분석대상 사례 개요
      • Ⅳ. 분석결과
      • 1. 숙의적 참여 수준
      • 2. 숙의적 참여 수준에 따른 갈등관리 효력
      • Ⅴ. 결과 및 함의 : 주민투표 제도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순진,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과정"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42, 2006

      2 "한수원 직원 OOO과의 인터뷰"

      3 이투데이, "한수원 경주시내 본사이전 주민갈등 재연 조짐"

      4 하승우, "특집: 직접민주주의 제도와 시민사회운동; 정부의 주민투표제도 악용과 시민사회의 역할" 4 (4): 37-75, 2006

      5 김해룡, "특집: 주민투표제의 실시와 과제; 주민투표제의 법적 의미" 55 (55): 16-29, 2006

      6 이광우, "탈핵운동, 연말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응해야" 2014

      7 오마이뉴스, "진주의료원 주민투표 여부, 홍준표 재량일까 아닐까"

      8 류호상, "지방행정에 있어 주민참여활성화를 위한 주민투표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5 (5): 135-150, 2001

      9 최용호, "지방자치활성화를 위한 주민투표제의 합리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8 (8): 409-422, 2003

      10 김희곤, "지방자치법상 주민투표제도의 의의 및 과제" 27 (27): 452-, 1999

      1 윤순진,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과정"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42, 2006

      2 "한수원 직원 OOO과의 인터뷰"

      3 이투데이, "한수원 경주시내 본사이전 주민갈등 재연 조짐"

      4 하승우, "특집: 직접민주주의 제도와 시민사회운동; 정부의 주민투표제도 악용과 시민사회의 역할" 4 (4): 37-75, 2006

      5 김해룡, "특집: 주민투표제의 실시와 과제; 주민투표제의 법적 의미" 55 (55): 16-29, 2006

      6 이광우, "탈핵운동, 연말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응해야" 2014

      7 오마이뉴스, "진주의료원 주민투표 여부, 홍준표 재량일까 아닐까"

      8 류호상, "지방행정에 있어 주민참여활성화를 위한 주민투표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5 (5): 135-150, 2001

      9 최용호, "지방자치활성화를 위한 주민투표제의 합리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8 (8): 409-422, 2003

      10 김희곤, "지방자치법상 주민투표제도의 의의 및 과제" 27 (27): 452-, 1999

      11 "지방자치법(법률 제4741호 1994.3.16. 일부개정)"

      12 최봉기, "중앙정부에 의한 지역간 경쟁적 주민투표제도의 개선과제" 한국지방자치학회 18 (18): 5-26, 2006

      13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유치지역지원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12844호)"

      14 정정화, "주민투표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89-113, 2012

      15 정일섭, "주민투표에 대한 평가" 한국지방자치학회 18 (18): 5-23, 2006

      16 손흥수, "주민투표에 관한 몇 가지 법률적 쟁점" 법조협회 54 (54): 87-116, 2005

      17 전학선, "주민투표법상의 투표운동과 관련된 몇가지 쟁점" 11 (11): 55-77, 2014

      18 "주민투표법(법률 제12844호)"

      19 안성호, "주민투표법 제정의 논거와 개혁과제" 12 (12): 3-20, 2001

      20 주성수, "주민투표'는 환경갈등 해결의 대안인가?" 비판사회학회 (75) : 229-250, 2007

      21 양영철, "제주도 주민투표 사례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6 (16): 299-323, 2005

      22 프레시안, "정부, “반대측 주도하는 부안주민투표 인정 못해”"

      23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2004카합20결정"

      24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2004카합11 결정"

      25 이정섭, "전주시· 완주군 통합 주민투표에 있어 정보비대칭 문제" 대한지리학회 2013

      26 김순은, "일본의 로컬 거버넌스와 주민참여 : 주민투표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187-214, 2011

      27 이의제, "이의재 의원 “원전 건설 주민투표 의무화 필요”"

      28 김길수, "위험시설 입지선정과정에서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 : 부안 위도 ? 군산 방폐장 입지선정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79-303, 2007

      29 "위키피디아(검색어: 대한민국의 지방선거)"

      30 박태현, "원전과 지방자치: 삼척 10·9 주민투표의 법적 성격과 효력" 법학연구소 (67) : 121-142, 2015

      31 채경석, "원자력시설 입지 수용성과 중앙정부의 대응" 한국정치정보학회 6 (6): 189-215, 2003

      32 김지수, "원자력 에너지 정책 갈등에 대한 이해당사자의 프레임 분석 - 원전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33 경북도민일보, "영덕원전 주민투표에 침묵한 다수 존중되야"

      34 경북도민일보, "영덕원전 주민투표결과 수용하라"

      35 "영덕군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36 서울경제, "영덕 원전 투표 주민 67% 불참…사실사아 효력 상실"

      37 뉴시스, "영덕 원전 갈등 재점화…政 “투표결과 인정못해” VS. 民 “민의 무시 안돼”"

      38 김지수, "에너지 정책 결정시스템과 갈등 : 중앙정부와 에너지 사업자 간 역할분담을 중심으로" 한국갈등학회 2016

      39 10만인클럽, "아기엄마부터 106세 노인까지, 원전 투표 행렬"

      40 김대영, "시민사회와 공론정치 -아렌트와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2 (2): 105-143, 2004

      41 파이낸셜뉴스, "삼척원전유치 주민투표, 반대 85%... 정부 부담감↑"

      42 연합뉴스, "삼척원전 유치 찬반투표 주도 김양호 삼척시장 기소"

      43 해럴드경제, "삼척-정부, 원전갈등 ‘제2부안사태’ 될라"

      44 뉴스웨이, "삼척 원전 유치 찬·반 주민투표 실시"

      45 한국일보, "삼척 원전 건설 논란 재점화"

      46 뉴시스, "부안주민투표관리위 출범-찬성측 주민투표 ‘보이콧 선언 첨예 갈등"

      47 동아일보, "부안방폐장 사태 10년…거부한 부안-유치한 경주 지금은"

      48 SBS, "부안 핵폐기장 투표 91.9% 반대"

      49 허준, "부안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203-223, 2006

      50 하승수, "부안 주민투표의 경과와 의의, 향후 발전방향" 67 : 130-159, 2004

      51 YTN, "부안 주민투표 반대율 91.9%"

      52 사회갈등연구소, "부안 방폐장 관련 주민운동 백서" 갈등조정아카데미 2010

      53 김도희, "방폐장입지정책에서 나타난 ‘주민투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울산시와 경주시의 정책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91-111, 2007

      54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법률 제13151호)"

      55 "반핵국민행동 성명서, 11.2. 방폐장 주민투표 결과에 대한 반핵국민행동 입장"

      56 미디어오늘, "동아·문화는 영덕 핵발전소 주민투표 손 떼라"

      57 이수장, "기피시설입지선정에 있어 합의형성방안" (3) : 179-204, 2001

      58 세계일보, "국책사업 발목…갈등·혈세낭비 부메랑"

      59 임정빈, "국책사업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제주해군기지 건설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2 (12): 499-523, 2012

      60 이희정, "국가정책에 관한 주민투표의 의의와 법적 규율"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17 : 111-135, 2007

      61 "공존협력연구소 토대연구DB(NRF-2015S1 A5B4A01036743)"

      62 "공공기관의 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24429호)"

      63 채종헌,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 정책의 공론화와 갈등예방에 관한 연구" KIPA 2010

      64 "경주지역 주민대표 인터뷰"

      65 "경주지역 시민단체 인터뷰"

      66 이투뉴스, "경주 방폐장 갈등 새국면 돌입"

      67 전기신문, "건설부터 해체까지…‘원전 전주기’ 훑어보기"

      68 김광구, "갈등해소 기제로서의 주민투표제도 개선방안 연구:숙의 민주주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85-116, 2013

      69 한국일보, "‘원전 건설’ 찬반투표 앞둔 영덕... 민심 두공강"

      70 경향비즈, "‘신규원전부지’ 주민반대 강한 삼척 제외되나? 영덕도 주민투표 예정"

      71 한겨레신문, "[사설 속으로] 한겨레·중앙일보, ‘삼척 원전유치 찬반투표’ 사설 비교해보기"

      72 Jensen, M. C., "Theory of the Firm: Managerial Behavior, Agency Costs and Ownership Structure" 3 (3): 305-360, 1976

      73 Bedge, I., "The New Challenge of Direct Democracy" Polity Press 1996

      74 Megdal, S. B., "The Determination of Local Public Expenditures and the Principal and Agent Relation: A Case Study" 40 (40): 71-87, 1983

      75 Slovic, P., "Perceived Risk, Trust, and Democracy" 13 (13): 675-682, 1993

      76 Hamon, F., "Le référendum: Etude comparative" L. G. D. J 1995

      77 에너지경제연구원, "KEEI 에너지수요전망(2014.3)"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78 Ipsos., "Ipsos Global Advisory: Sharp World Wide Drop in Support for Nuclear Energy as 26% of New Opponents Say Fukushima Drove Their Decision"

      79 Shim, J., "Identifying Policy Frame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 Examination of Nuclear Energy Policy across Six Countries" 48 : 51-83, 2015

      80 Asatryan, Z., "Direct Democracy and Local Government Efficiency" 39 : 58-66, 2015

      81 안준성, "<헤럴드 포럼-안준성> 새원전 입지선정, 주민투표 의무화해야"

      82 뉴시스, "<대체>부안주민투표 투표을 72.01%-대선 투표율에 육박"

      83 한국수력원자력, "2014년 원자력발전백서" 한국수력원자력 2014

      84 한국수력원자력, "2011년 원자력발전백서" 한국수력원자력 2011

      85 뉴스1, "15년 매듭 푼 신한울 원전..더 큰 숙제는 삼척"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1.03 0.995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