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터의 신앙공동체 이론을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연구 = A Stud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Based on Foster’s Theory of Faith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38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new insights to appl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Korean churches by diagnosing problems in the realit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and by looking at different ideas and theories, through Foster’s multicultural education of communities of faith through which transformation embracing diversity can integrate with tradi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multicultural society is rapidly in progress. The purpose begin with, raising the questions,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and understand basic i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Why could Forster’s educational theory of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be the alternative?’and this study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and the framework of education. I sought to derive education models of his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from the visions of existing together, practicing together, hoping together. and I reinterpreted Foster’s theory and described actual programs(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applicable to situa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for the Christian people in ecclesial communi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will lead to the education designed to bring about a new awareness especially to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forms of education including community, different ways of life, the embrace of diversity, and hospitality, unlike conventional education focusing mainly on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professor-based instruction, school-based education, etc. Secondly, this study based on Foster’s education theory is not a study accepting indiscriminately or denouncing western theories, but a study suitable for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with a holistic perspective. It can be presented as a study which may establish a system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divided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can also be seen as a basic theory of multicultural ministry which forms the perfect blend of theory and practice, such as new institutions, pastoral approaches, re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inistries, and pastoral counseling. Thirdly, this study can present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covering churches again as the place of the public community and making them coexist with their regions and neighbors beyond their internal dimension through education connected to communities includ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to other relevant communities or local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will provide alternative pathways for problems and for the statu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alleng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Now I am hoping this study will be a paper acting as the pump priming water to give directions and points of application to Korean churches through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inistr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new insights to appl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Korean churches by diagnosing problems in the realit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new insights to appl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Korean churches by diagnosing problems in the realit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and by looking at different ideas and theories, through Foster’s multicultural education of communities of faith through which transformation embracing diversity can integrate with tradi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multicultural society is rapidly in progress. The purpose begin with, raising the questions,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and understand basic i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Why could Forster’s educational theory of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be the alternative?’and this study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and the framework of education. I sought to derive education models of his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from the visions of existing together, practicing together, hoping together. and I reinterpreted Foster’s theory and described actual programs(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applicable to situa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for the Christian people in ecclesial communi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will lead to the education designed to bring about a new awareness especially to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forms of education including community, different ways of life, the embrace of diversity, and hospitality, unlike conventional education focusing mainly on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professor-based instruction, school-based education, etc. Secondly, this study based on Foster’s education theory is not a study accepting indiscriminately or denouncing western theories, but a study suitable for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with a holistic perspective. It can be presented as a study which may establish a system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divided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can also be seen as a basic theory of multicultural ministry which forms the perfect blend of theory and practice, such as new institutions, pastoral approaches, re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inistries, and pastoral counseling. Thirdly, this study can present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covering churches again as the place of the public community and making them coexist with their regions and neighbors beyond their internal dimension through education connected to communities includ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to other relevant communities or local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will provide alternative pathways for problems and for the statu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alleng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Now I am hoping this study will be a paper acting as the pump priming water to give directions and points of application to Korean churches through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inis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화가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오늘의 한국 상황에서, 전통과 변혁의 통합교육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 신앙공동체를 추구하는 포스터의 이론에 기초하여,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개념 및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 다문화 기독교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통찰력 모색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먼저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기본이해와 한국의 연구동향은 어떠한지?, 왜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의 배경과 교육프레임,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재개념화에 대한 내용들을 도출하고, 포스터의 이론을 종합, 정리하여 성인초기 기독청년들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실제 프로그램(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게 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 구조, 즉 지적인 차원에만 초점을 둔 교수중심, 학교식중심 등의 교육과는 달리 공동체적, 다양성, 포용성, 환대성 등을 포함한 교육구조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과 특별히 다문화 기독교교육 부분에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교육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서구의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답습,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통전적 조망’으로 한국사회의 상황과 한국교회의 실상과 맞는 연구로서, 특별히 한국의 분단과 연결하여 통일교육에 대한 부분과 새터민 등 탈북이주자에 대한 부분들도 연계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목회적 부분, 즉 한국교회의 전문적인 다문화목회에 있어 새로운 제도와 목회방식, 다문화적 목회상황 재정비, 목회상담 등 이론과 실천의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다문화목회의 기본이론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셋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삶의 장인 지역사회와 각 유관기관과 연계한 교육으로, 교회의 내적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 이웃과 공존하며, 외적인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는 공적공동체의 자리를 다시 한번 회복시킬 수 있는 대안 연구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교회가 직면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들에 대한 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과 다문화목회의 적용점과 방향설정에 대한 마중물교육의 연구로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화가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오늘의 한국 상황에서, 전통과 변혁의 통합교육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 신앙공동체를 추구하는 ...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화가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오늘의 한국 상황에서, 전통과 변혁의 통합교육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 신앙공동체를 추구하는 포스터의 이론에 기초하여,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개념 및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 다문화 기독교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통찰력 모색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먼저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기본이해와 한국의 연구동향은 어떠한지?, 왜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의 배경과 교육프레임,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재개념화에 대한 내용들을 도출하고, 포스터의 이론을 종합, 정리하여 성인초기 기독청년들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실제 프로그램(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게 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 구조, 즉 지적인 차원에만 초점을 둔 교수중심, 학교식중심 등의 교육과는 달리 공동체적, 다양성, 포용성, 환대성 등을 포함한 교육구조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과 특별히 다문화 기독교교육 부분에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교육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서구의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답습,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통전적 조망’으로 한국사회의 상황과 한국교회의 실상과 맞는 연구로서, 특별히 한국의 분단과 연결하여 통일교육에 대한 부분과 새터민 등 탈북이주자에 대한 부분들도 연계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목회적 부분, 즉 한국교회의 전문적인 다문화목회에 있어 새로운 제도와 목회방식, 다문화적 목회상황 재정비, 목회상담 등 이론과 실천의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다문화목회의 기본이론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셋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삶의 장인 지역사회와 각 유관기관과 연계한 교육으로, 교회의 내적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 이웃과 공존하며, 외적인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는 공적공동체의 자리를 다시 한번 회복시킬 수 있는 대안 연구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교회가 직면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들에 대한 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과 다문화목회의 적용점과 방향설정에 대한 마중물교육의 연구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숙, "형식적 교사교육에서 비형식적 학습공동체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443-472, 2011

      2 고용수, "현대 기독교교육 사상"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3 김혜선, "한국 기독교의 다문화 관련 연구경향" 교회사회사업학회 (23) : 109-139, 2013

      4 김성영, "한국 개신교 목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에 관한 통합적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5 고용수,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6 김광률, "청년영성교육을 위한 교회의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0) : 199-224, 2012

      7 계재광, "리더십에 있어서 신앙정체성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8) : 199-225, 2014

      8 정웅섭, "다원화 사회에서의 종교교육과 교육목회-한 서론적 탐구" 2 : 43-76, 1997

      9 정정미, "다문화적인 기독교교육의 개념적 배경 연구" 1 : 243-263, 1996

      10 정정미, "다문화적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회의 교육적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4) : 281-305, 2009

      1 김효숙, "형식적 교사교육에서 비형식적 학습공동체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443-472, 2011

      2 고용수, "현대 기독교교육 사상"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3 김혜선, "한국 기독교의 다문화 관련 연구경향" 교회사회사업학회 (23) : 109-139, 2013

      4 김성영, "한국 개신교 목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에 관한 통합적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5 고용수,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6 김광률, "청년영성교육을 위한 교회의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0) : 199-224, 2012

      7 계재광, "리더십에 있어서 신앙정체성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8) : 199-225, 2014

      8 정웅섭, "다원화 사회에서의 종교교육과 교육목회-한 서론적 탐구" 2 : 43-76, 1997

      9 정정미, "다문화적인 기독교교육의 개념적 배경 연구" 1 : 243-263, 1996

      10 정정미, "다문화적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회의 교육적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4) : 281-305, 2009

      11 강용원, "다문화기독교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2 : 37-65, 2012

      12 최경순, "다문화 선교공동체로서의 교회를 위한 기독교교육과정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13 계재광,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교회리더십에 대한 연구- 교회의 20대 젊은이들이 바라보는 다문화 사회 -" 한국실천신학회 (39) : 511-541, 2014

      14 김효준, "다문화 기독교 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1) : 315-339, 2011

      15 이승구, "다문화 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 기독교적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시 도" 5 : 132-167, 2003

      16 한국다문화 교육연구학회, "다문화 교육 용어사전" 교육과학사 2014

      17 이윤석, "기독교적 책임을 지향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18 오인탁, "기독교 교육학 개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5

      19 김도일, "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20 장신근, "공적신앙을 양육하는 교회와 가정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1

      21 Foster, C. R., "Where shall we sit? the vocational conversations of a religious educator" 98 (98): 311-330, 2003

      22 Foster, C. R., "We are the church: Cultural diversity in congregational life. with the odore brelsford" Trinity Press 1996

      23 Foster, C. R., "The ministry of the volunteer teacher" Abingdon Press 1986

      24 Foster, C. R., "Teaching in the community of faith" Abingdon Press 1982

      25 Foster, C. R., "Religious education at the edge of history" 99 (99): 72-78, 2004

      26 Wilkerson, B.,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Press 1997

      27 Foster, C. R., "Embracing diversity: Leading multicultural congregations" The Alban Institute 1997

      28 Foster, C. R., "Educating congregations: The future of christian education" Abingdon Press 1994

      29 Foster, C. R., "Educating clergy: Teaching practices and pastoral imagination" Jossey Bass 2005

      30 Foster, C. R., "Diversity in theological education" 38 (38): 15-38, 2002

      31 Foster, C. R., "Changing patterns in religious Education" Abingdon Press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