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588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1.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of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world country

      • 형태사항

        xii, 192 p. : 삽화 ; 26cm

      • 일반주기명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봉환
        참고문헌 : p. 137-146

      • UCI식별코드

        I804:11043-000000070282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이 해당 대상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의 3가지이다. 첫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진로의사결정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11)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와 다문화상담 관점에서 새터민 대상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했던 허은영(2009)의 개발 모형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평가의 4단계로 개발되었다.
      먼저, 1단계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 및 설문조사 결과를 고찰하고, 연구 대상 일부와 지도교사 2인을 대상으로 한 면접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목적을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 프로그램 구성 단계에서는 기존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들을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차별점을 제시하면서 1차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5인의 전문가에게 자문 및 평정을 받은 후 프로그램의 운영과 활동에 대한 내용 및 방법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그러고 나서, 3단계 프로그램 실시 단계에서는 12명의 제3국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2차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한 후, 그 결과와 현실 가능성에 따라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여 7회기의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4단계 프로그램 평가 단계는 김창대(2011)가 제시한 객관적 효과평가와 주관적 효과평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객관적 효과평가로는 두 개 이상의 집단을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여 그 인과성을 밝히는 ‘집단비교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집단인 서울 소재 N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10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동일학교 재학생 9명으로 이루어진 통제집단을 ‘유의 표집 방법(purposive sampling)’으로 모집하였다. 그런 다음,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이들 집단에게 프로그램 전후로 시행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 검사 결과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서는 비모수 검증방법인 Mann-whitney 방법을,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위해서는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였다. 다음으로, 주관적 효과평가로는 이용자 및 수혜자의 권익과 입장에서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가치를 입증하는‘이용자 중심 평가모형(user-oriented model)’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 사후에 프로그램 수혜자의 주관이 담긴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평가로서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만족도 평가를 비롯하여 회기별 소감문,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을 진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적 분석 결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와 일부 하위요인에 있어 통제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진로의사결정수준 전체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실험집단에서는 일부 하위요인과 함께 평균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적 분석 결과로는 사후 면접 결과 4개의 영역과 7개의 중심개념이 도출되며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진로 관련 구성개념에 대한 경험들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실험집단 사후에 시행한 프로그램 세부 활동 만족도 및 전체 만족도 평가지, 사후 면접 분석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해당 대상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일부 진로의사결정수준 요인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기존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과 달리 많은 호소와 욕구가 발견된 진로의사결정 관련 변인을 개입초점으로 삼은 점, 이들의 언어 및 문화 장벽을 고려하여 중국어 번역과 통역을 병행한 점, 동문 선배 및 원격 진로멘토 등 다양한 형태의 진로멘토링을 활용하였다는 점, 그리고 코로나 상황에서 처음과 마지막 회기를 제외한 모든 회기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음에도 입증된 효과를 혼합연구로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후속 연구를 위한 논의 및 제언, 그리고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이 해당 대상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이 해당 대상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의 3가지이다. 첫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개발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진로의사결정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11)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와 다문화상담 관점에서 새터민 대상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했던 허은영(2009)의 개발 모형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평가의 4단계로 개발되었다.
      먼저, 1단계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 및 설문조사 결과를 고찰하고, 연구 대상 일부와 지도교사 2인을 대상으로 한 면접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목적을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 프로그램 구성 단계에서는 기존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들을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차별점을 제시하면서 1차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5인의 전문가에게 자문 및 평정을 받은 후 프로그램의 운영과 활동에 대한 내용 및 방법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그러고 나서, 3단계 프로그램 실시 단계에서는 12명의 제3국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2차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한 후, 그 결과와 현실 가능성에 따라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여 7회기의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4단계 프로그램 평가 단계는 김창대(2011)가 제시한 객관적 효과평가와 주관적 효과평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객관적 효과평가로는 두 개 이상의 집단을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여 그 인과성을 밝히는 ‘집단비교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집단인 서울 소재 N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10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동일학교 재학생 9명으로 이루어진 통제집단을 ‘유의 표집 방법(purposive sampling)’으로 모집하였다. 그런 다음,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이들 집단에게 프로그램 전후로 시행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 검사 결과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서는 비모수 검증방법인 Mann-whitney 방법을,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위해서는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였다. 다음으로, 주관적 효과평가로는 이용자 및 수혜자의 권익과 입장에서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가치를 입증하는‘이용자 중심 평가모형(user-oriented model)’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 사후에 프로그램 수혜자의 주관이 담긴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평가로서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만족도 평가를 비롯하여 회기별 소감문,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을 진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적 분석 결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와 일부 하위요인에 있어 통제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진로의사결정수준 전체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실험집단에서는 일부 하위요인과 함께 평균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적 분석 결과로는 사후 면접 결과 4개의 영역과 7개의 중심개념이 도출되며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진로 관련 구성개념에 대한 경험들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실험집단 사후에 시행한 프로그램 세부 활동 만족도 및 전체 만족도 평가지, 사후 면접 분석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해당 대상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일부 진로의사결정수준 요인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기존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과 달리 많은 호소와 욕구가 발견된 진로의사결정 관련 변인을 개입초점으로 삼은 점, 이들의 언어 및 문화 장벽을 고려하여 중국어 번역과 통역을 병행한 점, 동문 선배 및 원격 진로멘토 등 다양한 형태의 진로멘토링을 활용하였다는 점, 그리고 코로나 상황에서 처음과 마지막 회기를 제외한 모든 회기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음에도 입증된 효과를 혼합연구로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후속 연구를 위한 논의 및 제언, 그리고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it on the subj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There are three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is. First, how shoul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be organiz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secondly, is the develop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Third, whether the develop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ies.
      To this end,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of this study was developed in four stages: program planning, program composition, program implementation, and program evaluation by referr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presented by Chang-Dae Kim et al. (2011) and the development model of Eun-Young Heo(2009), who developed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newly settled youths.
      First, in the first stage of program plann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survey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needs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part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wo of their instructors were analyzed to specify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program.
      Next, in the second stage of program construction, the first program was devis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xist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and presenting differences in this study. After receiving advice and evaluation from five expert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s operation and activiti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n, in the third stage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the second program was operated on a trial basis for 12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third countries, and the progra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feasibility.
      Finally, for the fourth stage of the program evaluation, it was divided into objective effect evaluation and subjective effect evaluation suggested by Chang-Dae Kim(2011). To begin with, as an objective effect evaluation, a ‘Group Comparison Evaluation' was conducted to reveal the causality of two or more groups. To this end, an experiment group consisting of 10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ies attending 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in Seoul and 9 students from the same school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recruited as a "purposive sampling." Then,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the result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test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this end, the Mann-whitney method, a non-parametric verification method, was performed for pre-homogeneity verification between groups, and the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for comparison of pre-post tests by group. Next, as a subjective effect evaluation, a 'user-oriented model' was used to prove the usefulness and value of the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users/beneficiaries. For thi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data containing the subjectivity of the program beneficiaries after the program, including satisfaction evaluation used representatively, and semi-structured open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unlik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wards, but some sub-sca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mproved than before. Next, throughout the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verage score increased along with some sub-scale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four areas and seven central concep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post-interview, and experi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nd career-related constructs were confirmed. In addition, discussions on program development and utilization were presented as confirmed in the detailed program activity satisf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 sheet and post-interview results conducted for part of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As such,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its effectiveness on the subj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me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sub-scales. Also, Unlike the exist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this program has proven to be differentiation in that it uses various types of career mentoring, including Chines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ir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by mixed-method research design although it was performed in untact except the first and last period of the program owing to Covid-19. Finally, by synthesizing these results, discuss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fo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it on the subj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it on the subj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There are three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is. First, how shoul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be organiz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secondly, is the develop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Third, whether the develop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ies.
      To this end,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of this study was developed in four stages: program planning, program composition, program implementation, and program evaluation by referr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presented by Chang-Dae Kim et al. (2011) and the development model of Eun-Young Heo(2009), who developed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newly settled youths.
      First, in the first stage of program plann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survey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needs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part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wo of their instructors were analyzed to specify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program.
      Next, in the second stage of program construction, the first program was devis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xist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and presenting differences in this study. After receiving advice and evaluation from five expert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s operation and activiti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n, in the third stage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the second program was operated on a trial basis for 12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third countries, and the progra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feasibility.
      Finally, for the fourth stage of the program evaluation, it was divided into objective effect evaluation and subjective effect evaluation suggested by Chang-Dae Kim(2011). To begin with, as an objective effect evaluation, a ‘Group Comparison Evaluation' was conducted to reveal the causality of two or more groups. To this end, an experiment group consisting of 10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ies attending N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in Seoul and 9 students from the same school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recruited as a "purposive sampling." Then,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the result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test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this end, the Mann-whitney method, a non-parametric verification method, was performed for pre-homogeneity verification between groups, and the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for comparison of pre-post tests by group. Next, as a subjective effect evaluation, a 'user-oriented model' was used to prove the usefulness and value of the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users/beneficiaries. For thi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data containing the subjectivity of the program beneficiaries after the program, including satisfaction evaluation used representatively, and semi-structured open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unlik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wards, but some sub-sca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mproved than before. Next, throughout the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verage score increased along with some sub-scale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four areas and seven central concep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post-interview, and experi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nd career-related constructs were confirmed. In addition, discussions on program development and utilization were presented as confirmed in the detailed program activity satisf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 sheet and post-interview results conducted for part of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As such,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its effectiveness on the subjec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me career decision-making status sub-scales. Also, Unlike the existing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this program has proven to be differentiation in that it uses various types of career mentoring, including Chines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ir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by mixed-method research design although it was performed in untact except the first and last period of the program owing to Covid-19. Finally, by synthesizing these results, discuss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fo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6
      • 3. 용어의 정의 = 7
      • Ⅱ. 이론적 배경 = 9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6
      • 3. 용어의 정의 = 7
      • Ⅱ. 이론적 배경 = 9
      • 1.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 9
      • 1)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특징 = 9
      • 2)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진로발달이론 = 12
      • 2.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 = 13
      • 1)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필요성 = 13
      • 2) 진로탐색 프로그램과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 14
      •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16
      • 1)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 = 16
      • 2)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17
      • 4. 진로의사결정수준 = 18
      • 1) 진로의사결정수준의 개념 = 18
      • 2)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와 진로의사결정수준 = 19
      • Ⅲ. 연구방법 = 21
      • 1. 연구 대상 = 21
      • 2. 측정 도구 = 23
      • 1)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23
      • 2) 진로의사결정수준 = 25
      • 3. 프로그램 개발의 절차 = 28
      • 4. 분석 방법 = 30
      • 1) 양적 분석 = 30
      • 2) 질적 분석 = 31
      • Ⅳ. 연구결과 = 33
      • 1.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 33
      • 1) 1단계- 프로그램 기획 = 33
      • 2) 2단계- 프로그램 구성 = 66
      • 3) 3단계- 프로그램 실시 = 79
      • 4) 4단계- 프로그램 평가 = 84
      • 2.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 = 85
      • 1)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검증 = 85
      • 2)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검증 = 96
      • 3.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 108
      • 1) 회기별 세부 활동 효과 분석 = 108
      • 2) 사후 면접 결과 분석 = 115
      • Ⅴ. 논의 = 121
      • 1.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 121
      • 1) 사후 면접 자료를 통한 논의 = 121
      • 2)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대한 차별화 = 124
      • 2. 프로그램 효과 분석에 대한 논의 = 126
      • 3.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논의 = 129
      • Ⅵ. 결론 및 제언 = 131
      • 1. 결론 = 131
      • 2. 제언 = 135
      • 참고문헌 = 1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