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톡스와 初期 한국어 學習書 KOREAN BY CLAUSE-METHOD(1912) 硏究 - 敎材로서의 性格과 特徵을 中心으로 - = Study on early Korean study book KOREAN BY CLAUSE-METHOD(1912) and M.B. Stokes - Focused on character and feature as textbook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63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M.B. Stokes that has not been covered by Korean education research and his book KOREAN BY CLAUSE-METHOD(1912) and distinguishes it from other existing Korean books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and use. As a result, KOREAN BY CLAUSE-METHOD was written based on awareness of Korean learning, including the Korean learning experience of authors' M.B. Stokes. Specially, the unique format, which is comprised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f learning with Korean individual teachers, has been more effective in face-to-face learning, and this has been why the book has since been used in various classrooms(‘Language Class’ & ‘Language School’). KOREAN BY CLAUSE-METHOD was designed with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xt of use, and the fact that these considerations were reflected i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book, and the historical fact that this book was actually used ‘textbook’.
      번역하기

      This study introduces M.B. Stokes that has not been covered by Korean education research and his book KOREAN BY CLAUSE-METHOD(1912) and distinguishes it from other existing Korean books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and use. As a result, KOREAN BY...

      This study introduces M.B. Stokes that has not been covered by Korean education research and his book KOREAN BY CLAUSE-METHOD(1912) and distinguishes it from other existing Korean books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and use. As a result, KOREAN BY CLAUSE-METHOD was written based on awareness of Korean learning, including the Korean learning experience of authors' M.B. Stokes. Specially, the unique format, which is comprised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f learning with Korean individual teachers, has been more effective in face-to-face learning, and this has been why the book has since been used in various classrooms(‘Language Class’ & ‘Language School’). KOREAN BY CLAUSE-METHOD was designed with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xt of use, and the fact that these considerations were reflected i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book, and the historical fact that this book was actually used ‘textboo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박새암, 2018. 스톡스와 초기 한국어 학습서 KOREAN BY CLAUSE-METHOD (1912) 연구, 어문연구, 180 : 425~451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 관련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스톡스와 그의 저서 KOREAN BY CLAUSE-METHOD(1912)를 소개하고 책의 내용과 구성, 그리고 사용의 측면에서 이 책이 기존의 다른 한국어 학습서와 구별되는 특징과 한국어 교재(textbook)로서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KOREAN BY CLAUSE-METHOD는 저자 스톡스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서 비롯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저술되었으며 선교 활동이라는 목적과 자연스러운 한국어 설교라는 목표를 위해 구어 표현 중심의 ‘clause-method’를 활용한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한국어 개인 교사와의 학습이라는 학습 환경을 전제로 하여 구성된 독특한 구성 방식은 면대면 학습에 보다 효과적인 방식이었고, 이러한 점이 이 책이 이후 선교사들의 한국어 단기 집중 강좌인 <Language Class>와 연합언어학교인 <Language School>에서의 교실 수업에서도 여러해 교재로 사용될 수 있게 한 이유였다는 것을 밝혔다.
      번역하기

      박새암, 2018. 스톡스와 초기 한국어 학습서 KOREAN BY CLAUSE-METHOD (1912) 연구, 어문연구, 180 : 425~451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 관련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스톡스와 그의 저서 KOREAN BY CLAU...

      박새암, 2018. 스톡스와 초기 한국어 학습서 KOREAN BY CLAUSE-METHOD (1912) 연구, 어문연구, 180 : 425~451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 관련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스톡스와 그의 저서 KOREAN BY CLAUSE-METHOD(1912)를 소개하고 책의 내용과 구성, 그리고 사용의 측면에서 이 책이 기존의 다른 한국어 학습서와 구별되는 특징과 한국어 교재(textbook)로서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KOREAN BY CLAUSE-METHOD는 저자 스톡스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서 비롯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저술되었으며 선교 활동이라는 목적과 자연스러운 한국어 설교라는 목표를 위해 구어 표현 중심의 ‘clause-method’를 활용한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한국어 개인 교사와의 학습이라는 학습 환경을 전제로 하여 구성된 독특한 구성 방식은 면대면 학습에 보다 효과적인 방식이었고, 이러한 점이 이 책이 이후 선교사들의 한국어 단기 집중 강좌인 <Language Class>와 연합언어학교인 <Language School>에서의 교실 수업에서도 여러해 교재로 사용될 수 있게 한 이유였다는 것을 밝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재영, "한국어 교육사의 관점에서 본 교린수지(交隣須知)와 사과지남(辭課指南) 비교 연구" 한말연구학회 (31) : 361-383, 2012

      2 박새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연구 - <미감리회>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3 (13): 119-144, 2016

      3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조선기독교 연합공의회 회의록(영인본)"

      4 이유경,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영어권 학습서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217-246, 2005

      5 Stokes, C. D., "미국 감리교회의 한국선교역사 1885-193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6 오대환,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재 ‘일용조선어(EVERY-DAY KOREAN)’에 관한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161-186, 2013

      7 박새암, "근대 한국어 신문 읽기 교재의 내용과 구성: Newspaper Reading for Beginners(1939)에 대하여" 한성어문학회 34 : 353-385, 2015

      8 강남욱, "근대 초기 한국어 교재의 역동적 정착 과정 - 로스(Ross, J.), 호세코(寶迫繁勝), 게일(Gale, J. S.)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93-222, 2009

      9 박새암, "개신교 선교사 한국어교육의 형성과 전개에 대한 사적 연구" 한성대학교 2018

      10 대한기독교감리회100주년기념사업회, "朝鮮監理會年會錄" 대한기독교감리회100주년기념사업회 1984

      1 허재영, "한국어 교육사의 관점에서 본 교린수지(交隣須知)와 사과지남(辭課指南) 비교 연구" 한말연구학회 (31) : 361-383, 2012

      2 박새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연구 - <미감리회>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3 (13): 119-144, 2016

      3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조선기독교 연합공의회 회의록(영인본)"

      4 이유경,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영어권 학습서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217-246, 2005

      5 Stokes, C. D., "미국 감리교회의 한국선교역사 1885-193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6 오대환,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재 ‘일용조선어(EVERY-DAY KOREAN)’에 관한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4 (24): 161-186, 2013

      7 박새암, "근대 한국어 신문 읽기 교재의 내용과 구성: Newspaper Reading for Beginners(1939)에 대하여" 한성어문학회 34 : 353-385, 2015

      8 강남욱, "근대 초기 한국어 교재의 역동적 정착 과정 - 로스(Ross, J.), 호세코(寶迫繁勝), 게일(Gale, J. S.)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93-222, 2009

      9 박새암, "개신교 선교사 한국어교육의 형성과 전개에 대한 사적 연구" 한성대학교 2018

      10 대한기독교감리회100주년기념사업회, "朝鮮監理會年會錄" 대한기독교감리회100주년기념사업회 1984

      11 Gale, J. S., "The Korean Grammatical Forms"

      12 한국기독교사연구회, "The Korea Mission Field(1905-1941)"

      13 목원대학교 신학연구소, "Letters of Charles D. Stokes"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14 오대환, "Korean for Beginners를 통해 본 해방 전의 조선어교육 -초판본(1925년)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59-193, 2012

      15 Stokes, M. B., "Korean by Clause-Method"

      16 Baird, A. L., "Fifty Helps for the Beginners in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3

      17 Underwood, H. G.,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18 Underwood, H. H., "A Partial Bibliography of Occidental Literature on Korea"

      19 Scott, J., "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20 박새암, "<북장로회> 한국 선교부의 초기 한국어교육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5 : 177-200, 2017

      21 김가연,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서양인에 의해 개발된 4가지 학습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565-591, 2015

      22 고예진, "20세기 초 한국어 교재의 학습 활동 연구-1960년 이전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123-151, 2014

      23 고예진,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4 김정숙, "19세기 말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이중언어학회 (49) : 87-109,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