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6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R-러닝 수업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R-러닝 로봇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6명이며, 반 구조화된 인터뷰와 교사 저널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R-러닝 수업의 가능성으로는 로봇 자체에 대한 매력적인 교수매체로서의 역할에 가능성이 있고, R-러닝을 통해 유아는 자신의 사회성 개발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R-러닝 수업의 한계로 첫째, 교사는 R-러닝 수업에 대한 방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R-러닝을 하기 위한 로봇의 일부 기능적 문제가 있으며 셋째, R-러닝의 컨텐츠 내용의 부족하다는 것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R-러닝 수업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R-러닝 로봇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6명이며, 반 구조화된 인터뷰와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R-러닝 수업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R-러닝 로봇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6명이며, 반 구조화된 인터뷰와 교사 저널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R-러닝 수업의 가능성으로는 로봇 자체에 대한 매력적인 교수매체로서의 역할에 가능성이 있고, R-러닝을 통해 유아는 자신의 사회성 개발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R-러닝 수업의 한계로 첫째, 교사는 R-러닝 수업에 대한 방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R-러닝을 하기 위한 로봇의 일부 기능적 문제가 있으며 셋째, R-러닝의 컨텐츠 내용의 부족하다는 것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sibility and limit of R-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n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as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sibility and limit of R-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sibility and limit of R-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n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as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성, "홈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도우미 시스템 설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이승민, "혼합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학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현대영어교육학회 11 (11): 193-215, 2010

      3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옥진, "초등교육용 로봇 얼굴 설계를 위한 인지적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6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7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8 송주연,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99-423, 2010

      9 최미나,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육용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인식 및 활용실태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박경희,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61-187, 2010

      1 최재성, "홈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도우미 시스템 설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이승민, "혼합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학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현대영어교육학회 11 (11): 193-215, 2010

      3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옥진, "초등교육용 로봇 얼굴 설계를 위한 인지적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문음사 2006

      6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7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8 송주연,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99-423, 2010

      9 최미나,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육용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인식 및 활용실태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박경희,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61-187, 2010

      11 윤현민, "유아교육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 2010

      12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3 현은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한국아동학회 31 (31): 267-282, 2010

      14 현은자,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테츠 개발" 한국콘텐츠확회 9 (9): 482-491, 2009

      15 이용주, "유아교사의 컴퓨터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주문식 교육과정 개발" 24 : 87-110, 2006

      16 김병준, "아동과 홈 로봇 상호작용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7 신나민, "아동-로봇 친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97-111, 2008

      18 김현주, "사립유치원 교사 문화의 특질 : 어느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9 손혜진, "만 5세 유아들의 유아교육용 로봇 이미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로봇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0 신나민, "로봇과 교육의 관계 맺기" 2008

      21 현은자, "교육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Beginning of Robot Age 7 (7): 113-118, 2009

      22 조혜경, "교육+로봇: 비전과 액션 플랜" 한국정보과학회 26 (26): 55-64, 2008

      23 이고은, "교사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24 정지현,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과 이미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30, 2010

      25 김경철,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5-42, 2010

      26 신건숙,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7 한정혜,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0 (10): 155-162, 2006

      28 정재경, "교사 보조 로봇 스타일에 따른 아동 반응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1 (11): 195-203, 2007

      29 한정혜, "r-Learning에서의 로봇보조학습"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497-508, 2009

      30 Firestone, W. A, "The formaliz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n adaptation of ‘soft’ science to the policy world" 7 : 437-466, 1993

      31 Kremenitzer, J. P, "The Emotionally intelligent early childhood educat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3 (33): 3-9, 2005

      32 Eapinosa, "Technology in the home robots for children" Hatfield 13-15, 2006

      33 Bers, M. U, "Teacher as designers: Integrating robo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23-145, 2002

      34 전자신문, "R-러닝과 R-러닝에 대한 생각"

      35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struction to theory and method" Allyn &Bacon, INC 2006

      36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 Sage Safford 1990

      37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s 1994

      38 Billard, 1, "Building robota, a Mini-humanoid Robot for the Rehabilitaion of Children with Autism" 19 (19): 37-49, 2006

      39 Ruvolvo, P, "Auditory mood detection for social and educational robots" Pasadena 3551-3556, 2008

      40 Kremenitzer, J. P, "Are you a highly qualified, emotionally intelligent early childhood educator?" 63 (63): 106-112, 2008

      41 Gates, "A Robot in Every Home" 296 : 58-6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