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생태에 대한 인식 고찰 =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ecology using metaphorica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26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meaning of the concept “ecology” greatly influenc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education with society. This study looks into recognition of ecology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subject to the power of metaphor...

      Various meaning of the concept “ecology” greatly influenc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education with society. This study looks into recognition of ecology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subject to the power of metaphor. Analyzsi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on ecology by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y could be categorized into 6 conceptual thinking types. This could be grasped from 3 aspects whether more focus on ecology lies in certain parts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recognition. First,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ecology is the condition of life as well as the source of life. Second, from relational perspective, ecology involves connecting to each other in perfect existence and exists as space of relationship Thir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ecology can be understood as providing answers about how to live ecologlcally with nature by using eco-friendly methods. These research results allow us to confirm the meaning of ecology, which has structured teachers’ behaviors. This study will become key basic data in trying to reach a consensus which can approach to ecological education deeply by using the specific meaning of ec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생태’ 라는 개념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는 교육과 사회를 연결 짓는 하나의 흐름 속에서 유아교육현장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은유가 가지는 힘을 전제로 유아교사의...

      ‘생태’ 라는 개념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는 교육과 사회를 연결 짓는 하나의 흐름 속에서 유아교육현장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은유가 가지는 힘을 전제로 유아교사의 관점을 통해 ‘생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태’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은유적 표현을 분석한 결과 6개의 개념적 사고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이는 유아교사들의 생태에 대한 인식을 어떤 부분에 더욱 초점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 세 가지 측면으로 바라볼 수 있다. 첫째, 존재론적 측면으로 생태는 본질성을 가진 생명의 근원이자 삶의 조건이며, 전일성을 가진 온전한 존재이다. 둘째, 관계적 측면으로 생태는 온전한 존재들의 연결성과 맥락성을 지닌 관계의 장으로 존재한다. 셋째, 실천적 측면으로 생태는 자연환경과 자연친화적인 방법으로 생태적인 삶을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들의 행위를 구조화 해왔던 생태의 의미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태라는 특정 개념을 통한 깊은 의미에서의 생태교육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함의점을 찾아가는데 주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도원, "한국의 전통생태학" 사이언스 북스 2010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주)두산동아 1999

      3 신승철,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 그물코 2011

      4 김은주, "지방자치단체 주관 숲유치원 운영실제 및 한계: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227-248, 2013

      5 김규수, "자연친화적 활동 경험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59-387, 2013

      6 이미혜,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3-56, 2010

      7 김태희,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이길동,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61-385, 2009

      9 김정원,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35-457, 2006

      10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1 이도원, "한국의 전통생태학" 사이언스 북스 2010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주)두산동아 1999

      3 신승철,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 그물코 2011

      4 김은주, "지방자치단체 주관 숲유치원 운영실제 및 한계: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227-248, 2013

      5 김규수, "자연친화적 활동 경험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59-387, 2013

      6 이미혜,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3-56, 2010

      7 김태희,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이길동,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61-385, 2009

      9 김정원,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35-457, 2006

      10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11 임홍남, "은유분석을 통해 본 ‘생태’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9-101, 2016

      12 임홍남, "유아교육 연구에서의 자연과 생태에 대한 의미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3 이일주, "유아 대상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교원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51-169, 2013

      14 편해문, "아이들은 놀기 위해 세상에 온다" 소나무 2007

      15 Guattari, F., "세 가지 생태학" 동문선 2003

      16 최미현, "생태중심적 유아환경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7 (7): 161-186, 2000

      17 김학택, "생태중심윤리와 인구문제" 동서사상연구소 (23) : 108-127, 2017

      18 노상우, "생태적 담론의 교육학적 함의 -새로운 생태교육관의 모색-" 한국교육학회 41 (41): 1-21, 2003

      19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10

      20 박성혜,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75-298, 2008

      21 Lakoff, G., "삶으로의 은유" 박이정 2016

      22 Guattari, F., "분자혁명" 푸른 숲 1998

      23 양해림, "니체와 老子의 생태학적 자연관" 69 : 281-306, 2001

      24 김수동, "노자와 루소의 자연개념 분석" 한국교육철학학회 34 (34): 23-48, 2012

      25 Buber, M., "나와 너" 문예출판사 1997

      26 김우창, "깊은 마음의 생태학" 김영사 2014

      27 Alan Green, M. D., "그린베이비" 한울림 2009

      28 김은미, "국공립 유아특수교사의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29 반승현, "莊子가 眞人을 통하여 밝힌 自然과 眞人觀에 따른 人間觀ᝍ 『莊子』 「大宗師」의 眞人을 중심으로 ᝍ" 대한철학회 137 : 193-224, 2016

      30 이성미, "『장자』를 통해 본 마음과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73-98, 2014

      31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강의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중심적인 사고와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49-70, 2011

      32 오영희, "‘꽃과 나무’ 관련 활동 중심의 자연친화 교육과정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7-70, 2011

      33 Schmitt, R.,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10 (10): 358-394, 2005

      34 Moser, K. S.,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 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1 (1): 2000

      35 Bullough, R. V., "Exploring personal teaching metaphor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14 (14): 43-51, 1991

      3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