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단계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ㄴ/ 첨가 발음 오류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기존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에서는 /ㄴ/ 첨가 발음 교육 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03649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5-121(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급 단계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ㄴ/ 첨가 발음 오류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기존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에서는 /ㄴ/ 첨가 발음 교육 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왔...
고급 단계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ㄴ/ 첨가 발음 오류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기존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에서는 /ㄴ/ 첨가 발음 교육 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왔다. 한국어의 /ㄴ/ 첨가 현상은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ㄴ/ 첨가 현상을 교육하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본고의 2장에서는 먼저 /ㄴ/ 첨가 선행 연구를 검토하면서 /ㄴ/ 첨가의 양상과 원리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ㄴ/ 첨가 발음 오류 실태를 조사하고 오류 분석을 진행한다. /ㄴ/첨가 오류율이 높게 나타나는 원인은 기존의 발음 교육 현장에서 /ㄴ/ 첨가 현상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ㄴ/ 첨가 교육을 받은 일부 학습자들이 /ㄴ/ 첨가를 과잉 적용하는 양상도 포착된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ㄴ/ 첨가 발음의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ㄴ/ 첨가를 규칙으로 교육할 때 일어나는 /ㄴ/ 첨가 과잉 적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마련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ese advanced level learners make a lot of utterance errors in Korean /n/-insertion phenomenon. However, most of precedent studies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did not regard the teaching plan of Korean /n/-insertion as important. Korean /n/-i...
Chinese advanced level learners make a lot of utterance errors in Korean /n/-insertion phenomenon. However, most of precedent studies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did not regard the teaching plan of Korean /n/-insertion as important. Korean /n/-insertion is an irregular phenomenon. Therefore, teaching Korean /n/-insertion to foreigner learners is an exceedingly difficult problem. In Chapter 2 of this study, precedent studies on Korean /n/-insertion are reviewed, considering all aspects of this phenomenon. In Chapter 3, errors that Chinese advanced learners make on Korean /n/-insertion and analyze are investigated. In Chapter 4, plans on teaching Korean /n/-insertion to Chinese advanced level learners are suggested. Particularly, plans are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 of excessive application which happens when teaching the phenomenon as a rule.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새내, "현대 국어의 형태음운론적 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2 이진호,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아카넷 2012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03
4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
5 姜帥, "학습단계별 발음능력 향상을 위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현상 발음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6 기세관, "첨가음 /ㄴ/의 기능"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 연구회 12․13 : 27-52, 1991
7 조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ㄴ’첨가 발음 오류 양상" 전북대학교 2015
8 장향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습득 연구" 이중언어학회 (46) : 367-390, 2011
9 장설교,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 규칙 습득 양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10 진루,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ㄴ/음첨가에 대한 지식과 실현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359-389, 2015
1 오새내, "현대 국어의 형태음운론적 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2 이진호,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아카넷 2012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03
4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
5 姜帥, "학습단계별 발음능력 향상을 위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현상 발음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6 기세관, "첨가음 /ㄴ/의 기능"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 연구회 12․13 : 27-52, 1991
7 조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ㄴ’첨가 발음 오류 양상" 전북대학교 2015
8 장향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습득 연구" 이중언어학회 (46) : 367-390, 2011
9 장설교,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 규칙 습득 양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10 진루,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ㄴ/음첨가에 대한 지식과 실현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359-389, 2015
11 진루,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ㄴ/음 첨가 습득 연구" 경희대학교 2016
12 이향,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재 개발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신지영,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2003
14 김성규, "소리와 발음"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5
15 갈건남, "북경어권 중국인 학습자 중심으로 한국어 음운 현상 습득 양상" 서울시립대학교 2015
16 김정우, "방언학과 국어학" 태학사 789-814, 1998
17 기세관, "국어의 음운 탈락 및 음운 첨가에 대한 연구" 순천대학교 어학연구소 2 : 17-68, 1990
18 김유범, "‘ㄴ’삽입 현상의 연구사적 검토?" 민족어문학회 46 : 2-72, 2002
19 엄태수, "ᄂ첨가에 대한 표준어 규정의 연구" 국제어문학회 (50) : 7-28, 2010
20 오미라, "-ㄴ 삽입 환경의 재검토" 대한언어학회 14 (14): 117-135, 2006
경남대학교 <독서와 토론>과 ‘글쓰기’의 통합 검토 및 제안
전화 대화상의 ‘맞장구’ 사용 양상 연구 -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
중등 교원 임용 시험 문법 영역 문항에 대한 분석 연구 - 2014년~2018년의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
해외 한글학교 당면 과제 및 발전 방향 -프랑스 지역 한글학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3 | 1.2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