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운전자가 보행자를 직접적으로 치상을 가하면 형법 제268조의 업무상 과실치사상죄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게 된다. AI로봇에게 형법상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58202
2020
Korean
360
KCI등재
학술저널
79-90(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람인 운전자가 보행자를 직접적으로 치상을 가하면 형법 제268조의 업무상 과실치사상죄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게 된다. AI로봇에게 형법상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사람인 운전자가 보행자를 직접적으로 치상을 가하면 형법 제268조의 업무상 과실치사상죄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게 된다. AI로봇에게 형법상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로봇 스스로 범행을 해야 하는데 전통형법은 사람의 행위만을 염두하고 있어서 로봇을 처벌할 수가 없게 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로봇이 단순히 인간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것과 달리 AI로봇은 인간으로부터 독립해서 인식 판단해서 행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르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사건사고가 발생하는 AI로봇의 보편화 시대에 우리의 형법과 형사소송법에는 규정이 없어 법적 취급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AI로봇의 형사법적 지위를 고찰하고자 한다.
AI로봇에 대한 형사제재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in dubio pro reo원칙이 떠올랐고, AI로봇이 범행을 했더라도 처벌규정이 없으므로 처벌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될 것이다. 현재의 인간의 지배하에 있고 독자적 생각 판단능력이 없는 AI로봇만 놓고 이야기한다면 잘못된 것일 수도 있지만, 앞으로의 강한 AI로봇에 대해서도 일체의 형사제재를 부과하지 않아야 하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강한 인공지능의 경우 기능적으로 인간과 많이 유사하고 인간보다 훨씬 중한 범죄를 스스로 더 저지를 수 있기에 아무 제재도 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될 것이다.
어떤 개체에게 사람처럼 자유로운 판단능력과 자유의지가 있다면 그 개체에 대해 범죄의 책임을 귀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AI로봇에게 사람에 준하는 지적인 능력과 자율권이 있다면 그 자율적 결정으로 인한 책임도 귀속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AI로봇과 인간은 같다는 등식은 불성립하더라도 AI로봇을 사람에 준하는 이른바 준인격체로 취급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따라서 강한 AI로봇은 적어도 규범을 보완하는 범위에서 인간에게 적용되는 형법의 적용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고 형사법적으로 인간에 준하는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사람에 준하는 법적 지위가 논의될 수 있는 AI로봇은 충분히 발달한 인공지능로봇을 의미한다.
현행 형법이 자연인만이 범죄의 주체라고 명시하고 있지 않다. 범죄의 주체에 대한 규정자체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오직 인간만 범죄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인간만이 범죄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자연과학적 법칙이 아니다. 범죄의 주체성은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입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주장도 논리적 모순은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범죄 및 책임귀속의 주체를 가르는 기준은 해당개체에게 범죄에 대한 판단능력이 있는지, 범죄로 인한 형사책임을 귀속시켜도 부당하지 않은지 여부에 있다는 생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링테스트를 통과할 정도의 지적 능력을 갖추고 상당한 물리적 실체를 갖춘 AI로봇이라고 한다면 인간에 준하여 범죄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리라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as a drivers death in 2016 but the 2018 accident is significant in that it killed citizens who were n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f a persons driver injures or kills a pedestrian himself, he or she will be punished for professional neglig...
There was a drivers death in 2016 but the 2018 accident is significant in that it killed citizens who were n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f a persons driver injures or kills a pedestrian himself, he or she will be punished for professional negligence or traffic crimes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Treatment of Traffic Accidents under Article 268 of the Criminal Law. In order for AI robots to be held accountable under criminal law, they should have committed the crime themselves, but the traditional criminal law is designed for human behavior only, so the robots behavior cannot be punished.
However, AI robots are different because they are independent of humans and can recognize themselves and act in judgment, unlike conventional robots that simply move according to human will. Although the AI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 an era of widespread AI (Artificial Intelligence) accidents, legal treatment in rela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problem since there are no rules in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fore, we would like to review and review the criminal and legal status of AI robots in order to prepare for or resolve such problem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행철, "형법이 기초하고 있는 인긴관" 한국비교형사법학회 4 (4): 3-70, 2002
2 이규호, "형법" 청목출판사 68-, 2017
3 이중기,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7 (17): 1-27, 2016
4 최은창, "인공지능시대의 법적 윤리적 쟁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8 : 18-, 2016
5 김도식, "인공지능로봇 소피아와 함께 하는 시대" 철학문화연구소 (116) : 139-, 2018
6 양천수, "인공지능과 법체계의 변화 ―형사사법을 예로 하여―" 한국법철학회 20 (20): 45-76, 2017
7 김종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과학기술법연구원 24 (24): 155-205, 2018
8 김종호,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으로 인한 법적 논란에 관한 영역별 쟁점의 고찰"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6 (6): 225-263, 2018
9 이인영,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형사책임과 책임주의 -유기천교수의 법인의 행위주체이론과 관련하여-" 법학연구소 18 (18): 31-57, 2017
10 심우민, "인공지능 기술발전과 입법정책적 대응 방향" 국회입법조사처 (1138) : 1-, 2016
1 정행철, "형법이 기초하고 있는 인긴관" 한국비교형사법학회 4 (4): 3-70, 2002
2 이규호, "형법" 청목출판사 68-, 2017
3 이중기,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7 (17): 1-27, 2016
4 최은창, "인공지능시대의 법적 윤리적 쟁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8 : 18-, 2016
5 김도식, "인공지능로봇 소피아와 함께 하는 시대" 철학문화연구소 (116) : 139-, 2018
6 양천수, "인공지능과 법체계의 변화 ―형사사법을 예로 하여―" 한국법철학회 20 (20): 45-76, 2017
7 김종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과학기술법연구원 24 (24): 155-205, 2018
8 김종호,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으로 인한 법적 논란에 관한 영역별 쟁점의 고찰"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6 (6): 225-263, 2018
9 이인영,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형사책임과 책임주의 -유기천교수의 법인의 행위주체이론과 관련하여-" 법학연구소 18 (18): 31-57, 2017
10 심우민, "인공지능 기술발전과 입법정책적 대응 방향" 국회입법조사처 (1138) : 1-, 2016
11 이순욱, "법인의 양벌규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16
12 윤익준, "동물의 지위에 대한 법정책적 담론 - 현행법상 동물의 보호와 동물복지를 중심으로 -" 한국법정책학회 16 (16): 37-66, 2016
13 김성돈, "기업처벌과 미래 형법" 성균관대출판부 74-, 2018
14 AI and LIFE in 2030, "One Hundred Year Study on AI (AI100)" Stanford University 12-, 2016
15 이세철, "4차 산업혁명 미래를 바꿀 인공지능 로봇" 정보문화사 74-79, 2017
드론의 실용화에 따른 민사법적 책임 - EU에서의 규율을 중심으로 -
빅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첨단과학기법의 현황과 한계 - 범죄예방과 수사의 측면에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9-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Law Review -> Law Review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Law Review -> Korean Law Review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法學硏究 -> 법학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2 | 1.08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