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일반주거지역 내 비주거용도시설이 혼재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지역단위에서 용도혼합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홍대상권이 확산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용도변화가 일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52590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56(1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일반주거지역 내 비주거용도시설이 혼재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지역단위에서 용도혼합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홍대상권이 확산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용도변화가 일어...
본 연구에서는 일반주거지역 내 비주거용도시설이 혼재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지역단위에서 용도혼합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홍대상권이 확산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용도변화가 일어난 인접 저층주거지 중 서교 지역과 연남/동교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답사를 통해 개별 건축물의 층별 세부업종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층별 시설 수를 산정하여 용도혼합도를 분석하고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용도혼합의 블록패턴, 유형별 주요 세부업종, 주요 세부업종의 입지패턴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용도분류체계가 홍대상권과 같은 지역에서의 혼합적 토지이용을 분석하는데 한계점을 가지며, 한국 도시에서의 용도혼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세부업종의 구성과 업종별 시설 수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홍대상권이 인접 저층주거지로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용도혼합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제도의 정비 방향을 설정하고 효과적으로 도시공간을 관리하기 위해 시계열 관찰을 통한 용도혼합도 변화, 세부업종의 구성 변화 및 변화속도가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commercial district of Hongdae in Seoul is thriving and expanding, its commercialized area is spreading across nearby residential district. This study analyzes the mixed-used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in Hongdae’s commercial district....
As a commercial district of Hongdae in Seoul is thriving and expanding, its commercialized area is spreading across nearby residential district. This study analyzes the mixed-used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in Hongdae’s commercial district. The research i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wo specific residential areas like Seo-gyo and Yeon-nam are chosen for empirical analysis. Second, 71 blocks that are scattered within the selected areas are surveyed in 2015 in terms of the mixed-use ratio and the pattern of non-residential building u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urveyed block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 ratio of non-residential and commercial properties. Each type exhibits different businesses and different spatial atmosphere. Hongdae commercial district likely shows continued mixed-use development and adaptive-reuse activitie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how the mixed-use ratio and its spatial pattern might influence the surrounding urban environ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찬종,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 및 특성에 관한 분석: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홍익대학교 2012
2 옥은실, "홍대앞 문화들의 변화에 대한 고찰 : 1990년대 후반 이후 홍대앞 다시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3 이재원, "토지이용 특성이 비거주용도의 혼합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일반거주지역내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4
4 박은실, "창조인력의 지역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연남동 창조환경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 이희정, "용도혼재가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서울시 일반주거지역을 중심으로" 1 (1): 65-83, 2000
6 서울특별시, "서울토지구획정리사업백서"
7 김수아, "서울시 문화공간의 담론적 구성: 홍대 공간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2013
8 김예지, "서울 서교동 주거지의 상업화와 건축물 변화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9 장국범, "상업화된 주거지의 유형별 필지규모특성 연구 : 서울시 일반주거지역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10 라도삼, "문화특화지역 형성요인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2010
1 진찬종,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 및 특성에 관한 분석: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홍익대학교 2012
2 옥은실, "홍대앞 문화들의 변화에 대한 고찰 : 1990년대 후반 이후 홍대앞 다시 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3 이재원, "토지이용 특성이 비거주용도의 혼합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일반거주지역내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4
4 박은실, "창조인력의 지역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연남동 창조환경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 이희정, "용도혼재가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서울시 일반주거지역을 중심으로" 1 (1): 65-83, 2000
6 서울특별시, "서울토지구획정리사업백서"
7 김수아, "서울시 문화공간의 담론적 구성: 홍대 공간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2013
8 김예지, "서울 서교동 주거지의 상업화와 건축물 변화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9 장국범, "상업화된 주거지의 유형별 필지규모특성 연구 : 서울시 일반주거지역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10 라도삼, "문화특화지역 형성요인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2010
11 이상아, "도심 게스트하우스가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대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4
12 정희윤, "기성시가지에 적합한 용도지역제 대안 모색에 관한연구" 서울연구원 2013
13 국토교통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14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골목길의 부활, 신흥 성장 상권의 특징 분석" 5-7, 2015
15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
16 국토교통부, "건축법 시행령"
1960년대 이후 도시기본계획이 서울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친 영향
신도시 아파트 단지 내 텃밭활동에 의한 이웃주민 간 사회적 유대감 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 가든 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단지 내 외부 공간 선호도 연구
사회연결망분석(SNA)을 활용한 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웃관계 변화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1 | 1.33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