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집 시설유형과 성별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 비교연구 =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by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and Infants` Sex - Targeting Two Year Old Inf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57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reveal how communication abilities, defined in the third revision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wo-year-old infa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ex and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national care center, private general care center, and private Seoul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200 four-year-old infants registered for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The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hin and Joung(2014) was used for participants’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low effect size. Except from speaking, scores of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ype of facilities. Listening and wri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and private Seou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and read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Next, male infants obtained higher scores across all the sub-domains of communication abilities than female infants. Those differences, howev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we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nfant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gender and the type of child-care fac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reveal how communication abilities, defined in the third revision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wo-year-old infa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ex and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national care c...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reveal how communication abilities, defined in the third revision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wo-year-old infa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ex and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national care center, private general care center, and private Seoul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200 four-year-old infants registered for the child-care centers in Seoul. The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hin and Joung(2014) was used for participants’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low effect size. Except from speaking, scores of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ype of facilities. Listening and wri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and private Seou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and read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child-care center than private general one. Next, male infants obtained higher scores across all the sub-domains of communication abilities than female infants. Those differences, howev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we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nfant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bilities depending on gender and the type of child-care fac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금주, "한국영아발달연구" 학지사 2005

      2 신경옥, "제3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 영아용 의사소통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465-493, 2014

      3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 개정 총론"

      4 보건복지부, "제 2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 개정 총론"

      5 이혜경, "읽기와 쓰기에 관한 실태 및 유치원 교사의 인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9

      6 강상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효과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19-140, 2004

      7 전경화,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의 발달적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 18 (18): 333-352, 1997

      8 이연섭, "유아의 언어교육" 창지사 1997

      9 이영자, "유아의 문어발달과 구어, 문어 구별 능력 발달에 대한 질적분석 연구" 10 : 41-65, 1990

      10 주영희,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교문사 1984

      1 곽금주, "한국영아발달연구" 학지사 2005

      2 신경옥, "제3차 표준보육과정 활동프로그램에 기초한 영아용 의사소통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465-493, 2014

      3 보건복지부, "제 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 개정 총론"

      4 보건복지부, "제 2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 개정 총론"

      5 이혜경, "읽기와 쓰기에 관한 실태 및 유치원 교사의 인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9

      6 강상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효과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19-140, 2004

      7 전경화,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의 발달적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 18 (18): 333-352, 1997

      8 이연섭, "유아의 언어교육" 창지사 1997

      9 이영자, "유아의 문어발달과 구어, 문어 구별 능력 발달에 대한 질적분석 연구" 10 : 41-65, 1990

      10 주영희,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교문사 1984

      11 "영유아보육법 (2012). 법률 제 11382호. 2012. 3. 21, 타법개정"

      12 배소영,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4, 2003

      13 양옥승, "영아의 발달과 보육" 신정 2011

      14 하지영,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09-140, 2011

      15 "여성가족부"

      16 이영, "어린이집과 가정에서의양육환경과 유아의 언어행동, 애착, 어떻게 다른가?" 삼성복지재단 1994

      17 윤경미,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5-35, 2015

      18 이인섭, "아동의 언어발달" 개문사 1986

      19 이지향, "성차와 교사개입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상상놀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326-349, 2003

      20 윤혜련, "성별에 따른 영유아 언어발달의 특성 연구: SELSI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30-44, 2004

      21 윤혜련, "성별에 따른 영유아 언어발달의 특성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22 임명희, "서울형 어린이집 현황 및 평가" 한국보육학회 2010

      23 "서울시 보육포털서비스"

      24 박순중, "보육시설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부천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6

      25 송지연,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26 "보육시설 및 보육아동 수" 보건복지가족부 2009

      27 이영자, "보육시설 경험이 1, 2, 3세아의 구어 및 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10 : 31-74, 2006

      28 이한은,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정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9 김현진,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 및 운영 실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0 이훈희,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1 김성현,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2 김경미,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3 임준구, "기관유형에 따른 만 2세미만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장애요인 인식" 대한아동복지학회 10 (10): 129-149, 2012

      34 지선애,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 비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5 Fenson, L., "Variability in early communicative development" 59 : 1994

      36 Ackerman-Ross, S., "The relationship of high quality day care to middle-class 3-year-olds’ language performance" 4 : 97-116, 1989

      37 Maccoby, E.,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Stanford University 1974

      38 Belsky, J., "The effect of day care: A critical Review" 49 : 929-949, 1978

      39 Fenson, L.,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User's guide and technical manual" Singular Publishing Group 1993

      40 Klann-Delius, G., "Sex and language acquision: Is there any influence?" 5 : 1-25, 1981

      41 Bardwick J., "Psychology of women" Harper and Row 1971

      42 Cross, T., "Proceedings of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for the stdy of language V"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4

      43 Neuman, E. L., "Peers as literacy informants : A description of young children’s literacy conversations in play" 6 (6): 233-248, 1991

      44 Olson, C., "On choosing a test statistic in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83 (83): 579-586, 1976

      45 Allison, P. D., "Missing data" Sage 2001

      46 Rutter, M., "Maternal deprivation reassessed" Penguin Books 1981

      47 배소영, "MCDI-K를 통해 본 한국유아의 표현어휘발달과 성차"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45-56, 2004

      48 Tizard, B., "Langu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AEYC 1981

      49 Haith, M.M., "Human infancy" 28 : 251-293, 1977

      50 Matsunaga, M., "How to factor-analyze your data right : Do's, don'ts, and how-to's" 3 (3): 97-110, 2010

      51 Carew, J.,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at home and in day care" 45 (45): 1980

      52 Tizard, B., "Environmental effects on language development : A study of young children in long-sty residential nurseries" 43 : 337-358, 1972

      53 Tizard, B., "Environmental effects on language development : A study of young children in long-stay residential nurseries" 43 : 337-358, 1972

      54 O’Connell, J. C., "Effects of day-care experience on the use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in a sample of socioeconomically depressed infants" 18 (18): 22-29, 1982

      55 Huttenlocher, J., "Early Vocabulary growth : Relation to language input and gender" 27 : 236-248, 1991

      56 Zutell, J., "Discovering language with children" NCTE 17-22, 1980

      57 Phillips, D.,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23 : 537-543, 1987

      58 Huberty, C. J., "Applied MA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John Wiley & Sons 2006

      59 Schinkedanz, J., "Adams : A case study" Unpublished report 1987

      60 이관환, "24시간 보육시설의 필요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61 보건복지부, "2013년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3

      62 최은희, "1;1-2;6세 한국 아동의 표현어휘 연구" 6 (6): 1-16,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