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효과성 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2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효과성 지표를 개발하여 효과적인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방향성 및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실시된 탐색적 연구이다. 통일교육의 직접 대상인 청소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2011년, 2012년 통일교육 시범학교 연구과제 현황 및 연구목표, 통일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일교육의 목표 및 주안점,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통일교육의 효과, 초·중·고 학교급별 특수성 등을 교차분석하여 측정개념들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설문지를 초·중·고 각 2개 학급 60명씩 총 360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교의 경우 총 21문항 5개 요인으로(Cronbach’s Alpha a=.892) 통일환경 4문항(a=.779), 통일의지 3문항(a=.829), 통일관 4문항(a=.686), 통일방안 4문항a=.698), 통일교육 6문항(a=.647), 중학교 통일노력 6문항(a= .845), 통일관 5문항(a=.847), 통일의지 3문항(a=.818), 통일의식 5문항(a= .787), 통일방안 6문항(a=.761), 통일활동 5문항(a=.757), 안보관 6문항(a= .703)의 총 7개 영역으로 총 36문항이(a=.959) 개발되었다. 고등학교는 총 23문항으로(a=.929), 통일의식 5문항(a=.904), 통일의지 3문항(a=.753), 민족공동체의식 5문항(a=.753), 통일관심 4문항(a=.749), 통일방안 6문항(a=.736)의 총 5개 하위영역으로 개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효과성 지표를 개발하여 효과적인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방향성 및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실시된 탐색적 연구이다. 통일교육의 직�...

      본 연구는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효과성 지표를 개발하여 효과적인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방향성 및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실시된 탐색적 연구이다. 통일교육의 직접 대상인 청소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2011년, 2012년 통일교육 시범학교 연구과제 현황 및 연구목표, 통일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일교육의 목표 및 주안점,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통일교육의 효과, 초·중·고 학교급별 특수성 등을 교차분석하여 측정개념들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설문지를 초·중·고 각 2개 학급 60명씩 총 360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교의 경우 총 21문항 5개 요인으로(Cronbach’s Alpha a=.892) 통일환경 4문항(a=.779), 통일의지 3문항(a=.829), 통일관 4문항(a=.686), 통일방안 4문항a=.698), 통일교육 6문항(a=.647), 중학교 통일노력 6문항(a= .845), 통일관 5문항(a=.847), 통일의지 3문항(a=.818), 통일의식 5문항(a= .787), 통일방안 6문항(a=.761), 통일활동 5문항(a=.757), 안보관 6문항(a= .703)의 총 7개 영역으로 총 36문항이(a=.959) 개발되었다. 고등학교는 총 23문항으로(a=.929), 통일의식 5문항(a=.904), 통일의지 3문항(a=.753), 민족공동체의식 5문항(a=.753), 통일관심 4문항(a=.749), 통일방안 6문항(a=.736)의 총 5개 하위영역으로 개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ilot schools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development to explore ways to develop indicators of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education pilot school unified conducted Exploratory Study. Considering the direct target of a unified educational influence that can affect young people in 2011, the 2012 unification education pilot school research status and research goals, a unified and presented i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goal of education, and the poi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measured by analyzing the cross-effects, peculiarities, such 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 concept of configuration.
      Through this process, a questionnaire survey was seco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each of two classes 60 groups of a total of 360 patients of high if the total of 21 questions Elementary School’s five factors(Cronbach’s Alpha a=.892) unified environment items(a=.779), unified commitment of 3 questions(a=.829), Unified perspective 4 items (a=.686), reunification plan four questions (a=.698), six questions unification education(a=.647) Middle School reunification efforts six questions (a=.845), Unified perspective 5 questions(α=.847), and unified commitment of 3 questions(a=.818), unified consciousness five items(α=.787), reunification plan six questions(a=.761), unified activity of 5 items(a=.757), adviser to six questions(a=.703) of the total area, a total of 36 items (a =.959) was developed. High School unified consciousness five questions for a total of 23 items(a=.929), (a=.904), unified commitment of 3 questions(a=.753), ethnic community consciousness five questions (a=.753), unified interest items(a=.749), and reunification plan 6 items(a=.736) of the total of five sub-areas have been develop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ilot schools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development to explore ways to develop indicators of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education pilot school unified conducted Exploratory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ilot schools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development to explore ways to develop indicators of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education pilot school unified conducted Exploratory Study. Considering the direct target of a unified educational influence that can affect young people in 2011, the 2012 unification education pilot school research status and research goals, a unified and presented i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goal of education, and the poi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measured by analyzing the cross-effects, peculiarities, such 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 concept of configuration.
      Through this process, a questionnaire survey was seco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each of two classes 60 groups of a total of 360 patients of high if the total of 21 questions Elementary School’s five factors(Cronbach’s Alpha a=.892) unified environment items(a=.779), unified commitment of 3 questions(a=.829), Unified perspective 4 items (a=.686), reunification plan four questions (a=.698), six questions unification education(a=.647) Middle School reunification efforts six questions (a=.845), Unified perspective 5 questions(α=.847), and unified commitment of 3 questions(a=.818), unified consciousness five items(α=.787), reunification plan six questions(a=.761), unified activity of 5 items(a=.757), adviser to six questions(a=.703) of the total area, a total of 36 items (a =.959) was developed. High School unified consciousness five questions for a total of 23 items(a=.929), (a=.904), unified commitment of 3 questions(a=.753), ethnic community consciousness five questions (a=.753), unified interest items(a=.749), and reunification plan 6 items(a=.736) of the total of five sub-areas have been de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표, "한반도의 통일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0

      2 배한동, "한국 대학생의 정치의식" 집문당 2001

      3 민성길, "통일과 남북청소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4 유현영, "토의학습이 초등학생의 통일의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한국교육개발원, "탈북학생 학교 및 사회적응진단도구 개발" 2010

      6 한국교육개발원, "탈북학생 기초학력진단도구개발" 2010

      7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탈북청소년 법교육 프로그램 강의안 및 워크북 작성" 2010

      8 백하나, "청소년들의 북한사람에 대한 사회심리적 태도가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원경, "참여 확대를 통한 지방교육정책 효과성 제고 모색 :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6

      10 함인희, "집단별 통일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청소년·여성·386세대를 중심으로" 5 : 2000

      1 이현표, "한반도의 통일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0

      2 배한동, "한국 대학생의 정치의식" 집문당 2001

      3 민성길, "통일과 남북청소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4 유현영, "토의학습이 초등학생의 통일의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한국교육개발원, "탈북학생 학교 및 사회적응진단도구 개발" 2010

      6 한국교육개발원, "탈북학생 기초학력진단도구개발" 2010

      7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탈북청소년 법교육 프로그램 강의안 및 워크북 작성" 2010

      8 백하나, "청소년들의 북한사람에 대한 사회심리적 태도가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원경, "참여 확대를 통한 지방교육정책 효과성 제고 모색 :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6

      10 함인희, "집단별 통일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청소년·여성·386세대를 중심으로" 5 : 2000

      11 조현정, "중학생의 북한에 대한 이해 수준이 통일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배인명, "정책평가론" 시대고시 기획 2003

      13 김윤나,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7-46, 2010

      14 서보람, "새터민 아동·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121-137, 2007

      15 이정우, "사회과 교사의 북한 사람, 북한, 통일에 대한 인식: 사회과 교사교육에의 함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8 (38): 139-168, 2006

      16 박동열, "분석적 계층화 과정법에 의한 전문대학의 교육 효과성 평가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7 김윤나,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2008

      18 김윤나,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분석: 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19 김영하,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중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통일문제에 관한 의식에 미친 영향 연구" 대한정치학회 14 (14): 267-294, 2007

      20 최재훈,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추진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10

      21 김호연, "도시·농촌 초등학생의 통일 의식 비교 연구 :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2 권기욱, "대학평가론" 성원사 1992

      23 성장환, "대구·경북 초등학생의 통일의식 조사 분석" 18 (18): 2003

      24 김미영, "다문화교육적 접근을 통한 통일교육이 학생들의 통일의식에 미치는 효과"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정시설 및 소년원학교 문화예술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2012

      26 박동주, "고등학교 통일교육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시범/비시범 학교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7 이섭, "ICT활용 수업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8 이영혜, "ICT를 활용한 통일교육이 아동의 통일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9 통일교육원, "2012 학교용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2

      30 고용노동부, "2011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