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 탐색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Leadership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개혁과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교사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리더십, 그리고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Cooper 등이 제안한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토대로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들을 살펴보면, 규범적 차원에서 교사리더십이 추구해야할 가치는 공동체성, 주도성, 전문성이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민주적 거버넌스로의 전환, 교육과정의 자율화, 교사 양성 및 연수 시스템의 재구조화를 제안한다. 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행정 당국의 민주적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 실행, 교사의 전문적 역량 개발과 교육개혁에 대한 목소리 내기를 제안한다. 끝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활동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내적 책무성 강화, 인간관계 기술 개발 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개혁과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교사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

      본 연구는 교육개혁과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교사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리더십, 그리고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Cooper 등이 제안한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토대로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들을 살펴보면, 규범적 차원에서 교사리더십이 추구해야할 가치는 공동체성, 주도성, 전문성이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민주적 거버넌스로의 전환, 교육과정의 자율화, 교사 양성 및 연수 시스템의 재구조화를 제안한다. 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행정 당국의 민주적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 실행, 교사의 전문적 역량 개발과 교육개혁에 대한 목소리 내기를 제안한다. 끝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활동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내적 책무성 강화, 인간관계 기술 개발 등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develop teacher leadership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mid the continuing discussion that teacher leadership is necessary to reform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this end, we will first review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eacher leadership,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 leadership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n suggest effective measures to develop teacher leadership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proposed by Cooper et al.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values that teacher leadership should pursue are community, professionalism and initiative in the normative perspective. Secondly, the change to democratic governance, autonomy of curriculum, re-structuraliz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s are suggested in the structural perspective. Thirdly,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uthorities, the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by school heads,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and the voice bets on education reform in the constituent perspective. Finally, we propose refle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strengthening internal accountability, and developing human relations skills in the technical perspec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develop teacher leadership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mid the continuing discussion that teacher leadership is necessary to reform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this end,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develop teacher leadership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mid the continuing discussion that teacher leadership is necessary to reform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this end, we will first review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eacher leadership,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 leadership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n suggest effective measures to develop teacher leadership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proposed by Cooper et al.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values that teacher leadership should pursue are community, professionalism and initiative in the normative perspective. Secondly, the change to democratic governance, autonomy of curriculum, re-structuraliz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s are suggested in the structural perspective. Thirdly,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uthorities, the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by school heads,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and the voice bets on education reform in the constituent perspective. Finally, we propose refle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strengthening internal accountability, and developing human relations skills in the technical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완, "혁신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5 (45): 109-138, 2018

      2 정광희, "한국 교사의 리더십 특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3 이경호,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혁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7

      4 박상완,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의미와 계발 전략" 2018

      5 김성열, "학교장의 직무수행과 리더십 : 지향과 현실, 그리고 과제" 2018

      6 황기우, "학교개혁을 위한 교사 리더십의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1) : 23-47, 2008

      7 이준희,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교리더십 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21 (21): 227-254, 2015

      8 이준희,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8 (28): 231-259, 2015

      9 김종원, "자기연구를 통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리더 역할 성찰 - 학교 안 과학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11-836, 2016

      10 켄 블랜차드, "신뢰가 답이다" 더숲 2013

      1 박상완, "혁신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5 (45): 109-138, 2018

      2 정광희, "한국 교사의 리더십 특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3 이경호,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혁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7

      4 박상완,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의미와 계발 전략" 2018

      5 김성열, "학교장의 직무수행과 리더십 : 지향과 현실, 그리고 과제" 2018

      6 황기우, "학교개혁을 위한 교사 리더십의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1) : 23-47, 2008

      7 이준희,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교리더십 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21 (21): 227-254, 2015

      8 이준희,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8 (28): 231-259, 2015

      9 김종원, "자기연구를 통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리더 역할 성찰 - 학교 안 과학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11-836, 2016

      10 켄 블랜차드, "신뢰가 답이다" 더숲 2013

      11 박선형, "분산적 지도성: 학문토대와 개념정의 및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35, 2018

      12 이승호, "교육 내적책무성 구현을 위한 학교컨설팅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83-308, 2013

      13 박수경, "교사학습공동체에 리더로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리더십 특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47-70, 2016

      14 이경호, "교사학습공동체 해외현황과 시사점." 2 : 95-101, 2019

      15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학지사 2015

      16 주현준, "교사리더십 특성에 기초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99-217, 2015

      17 전남익,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교사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49-176, 2010

      18 류윤석, "교사리더십 개발 전략 및 지원 과제 탐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281-302, 2009

      19 김병찬, "교사리더십 개념 모형 구안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339-370, 2015

      20 김영태, "교사 지도성 탐색" 창지사 1999

      21 허은정, "교사 주도 학교교육 혁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22 손준종, "교사 전문성 담론의 성격 분석 : 이명박 정부 교원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17 (17): 91-119, 2010

      23 장훈, "공립학교군별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4 이혜정,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77-102, 2010

      25 York-Barr, J., "What do we know about teacher leadership? Findings from two decades of scholarship" 73 (73): 2004

      26 Sergiovanni, T. J., "The principalship: A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 Allyn and Bacon 2001

      27 Kouzes, J., "The leadership challenge activities book" Wiley 2010

      28 Sch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at it means, how to respond" 2016

      29 Marion, R., "The Edge of Organization: Chaos and Complexity Theories of Formal Social Systems" Sage Publications Inc 1999

      30 Wasley, P. A., "Teachers who lead: The rhetoric of reform and the realities of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91

      31 Nickse, R. S., "Teachers as Change Agents" National Educational Association 1977

      32 Troen, V., "Teacher leadership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33 Harris, A., "Teacher leadership as distributed leadership: heresy, fantasy or possibility?" 23 (23): 313-324, 2003

      34 Danielson, C., "Teacher Leadership: that strengths professional practice" ASCD 2006

      35 Ingersoll, R. M., "Short on power, long on responsibility" 65 (65): 2007

      36 Boles, K. C., "School restructuring be teachers: A study of the teaching project at the Edward Devoyion School" 1992

      37 Brown, C., "Research learning communities: How the RLC approach enables teachers to use research to improve their practice and the benefits for students that occur as a result" 1 (1): 387-405, 2017

      38 Stoll, 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Elaborating new approaches" Solution Tree 2007

      39 Welsh Governmen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40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 2015

      41 Smylie, M. A., "New perspectives on teacher leadership" 96 (96): 3-7, 1995

      42 Young, M. D., "Multifoc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Toward a method for enhancing traditional educational policy studies" 36 (36): 677-714, 1999

      43 Richard DuFour, "Learning by Doing" Solution Tree 2016

      44 Fullan, M., "Leading professional learning" 63 (63): 10-14, 2006

      45 Riley, K., "Leadership, learning and systemic reform" 1 (1): 29-55, 2000

      46 Patterson, J. L., "Leadership for tomorrow’s school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3

      47 Cuban, L., "Inside the black box of classroom practice: Change without reform in American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 Cochran-Smith, M., "Inquiry as stance: Practitioner research in the next gener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09

      49 Whitaker, T., "Informed teacher leadership-the key to successful change in the middle level school" 79 : 76-81, 1995

      50 Leithwood, K,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Jossey-Bass Publishers 45-72, 1999

      51 Gronn, P., "Distributed properties: a new architecture for leadership" 28 (28): 317-338, 2000

      52 Ginsburg, M. B., "Contradictions in teacher education and society: A critical analysis" Falmer 1988

      53 Little, "Contested ground: The basis of teacher leadership in two restructuring high schools" 96 (96): 1995

      54 Hoffman-Kipp, P., "Beyond Reflection:Teacher Learning as Praxis" 42 (42): 248-254, 2003

      55 Cooper, Bruce S.,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 Pearson 2004

      56 Katzenmeyer, M., "Awakening the sleeping giant" Corwin Press 2009

      57 임종헌,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58 정제영,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전망과 과제"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6 1.06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