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류학적 개발사업과 평가받지 못한 결실: 미얀마에서 진행된 국제개발 협력사업을 중심으로 = An ‘Anthropological Development’ and the Unevaluated Outcome: A Case Study on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Myanma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서 시도된 ‘인류학적 개발’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대학을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주체로 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 것이 그 배경이다. ‘인류학적 개발’은 문화상...

      국내에서 시도된 ‘인류학적 개발’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대학을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주체로 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 것이 그 배경이다. ‘인류학적 개발’은 문화상대주의와 주민 참여를 중요시하는 방식으로서, 기존의 개발사업이 양적지표에 치중되어 있고, 하향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인류학적 개발사업’은 미얀마의 인류학자들과의 협업으로 진행되었고, ‘인류학’과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선발한 자원활동가들을 현장에 파견했다. ‘마을조사’는 마을주민들의 '사회문화자산'을 존중하고 라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지역 지식’을 축적하고 마을 구성원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지식센터’를 대학과 마을의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를 바탕으로 설립했다. 반면, 개발사업의 평가는 교수진의 참여나 사업의 양적 내용을 중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마을주민들의 참여나 의견 수렴 등은 평가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못해 사업은 조기 종료의 국면을 맞이한다. 사업의 종료 이후에도 현지 대학과 마을의 구성원들은 센터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활동을 꾸려나가고 있는데, 이는 ‘인류학적 개발’의 과정에서 대학과 마을의 구성원의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어진 결과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평가받지 못한 결실’은 인류학자, 마을주민, 자원활동가들의 지속적인 교류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류학적 개발의 기획과 사업의 진행, 사업성과, 지원기관과 인류학자들의 엇갈린 평가, 그리고 사업의 종료 이후로도 지속되는 ‘인류학적 개발’의 의미와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nthropological development’ has been attempted in Korea led by anthropologists. The background is that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provided opportunities for universities to emerge as the new agents of international dev...

      An ‘anthropological development’ has been attempted in Korea led by anthropologists. The background is that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provided opportunities for universities to emerge as the new agent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thropologists have argued for ‘advancement’ rather than ‘development’ and planned an ‘anthropologic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that fosters the development resources of villages based on local knowledge. Furthermore, the anthropologists who have interests in the field are providing more chances to the future professionals. The project was conduct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a university in Myanmar and volunteers were sent based on anthropological knowledge and developmental experience. Volunteer activists surveyed local knowledge and heritage by forming rapport with local activists and villagers, and built the ‘local knowledge centre’ in a university and a village to accumulate local knowledge and support the activities for village members. Due to the project evaluation system, which emphasizes the project’s outcome more than the recipient’s motivation, the project had received a negative evaluation, and as a result the project was ended within the year. However, since the end of the project, interactions among local anthropdogists, volunteer activists and village residents have continued, and ‘unevaluated outcomes’ are continuing through relationships and use of centers. This paper provides a discussion of the meaning and results of anthropological development planning, progress, and evaluation carried out by KOICA and the project team, and describes the outcomes after the end of the proje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 바로 알고 가기" 파이카 2012

      2 이태주, "한국의 대외원조 정책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선진국 만들기' 와 발전 담론" 비교문화연구소 9 (9): 139-174, 2003

      3 박소진, "한국 사회 문화 재인식과 세계 속 자기 정체성 찾기―대학생 단기 해외연수 동기와 경험"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217-262, 2010

      4 이태주, "프로젝트를 추적하다: 국제개발과 인류학적 참여" 비교문화연구소 17 (17): 39-80, 2011

      5 김효진, "장기 해외봉사자의 직무경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6 이은정, "인류학적 개발사업’의 기획과 평가받지 못한 결실: KOICA 한국–미얀마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 2017

      7 터너, 빅터, "의례의 과정"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5

      8 푸코, 미셸,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강의 1977~78년" 도서출판 난장 2011

      9 정진희, "신자유주의 교육 정책과 한국 대학의 변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10 앤더슨, 베네딕트, "상상의 공동체 :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대한 성찰" 나남 2002

      1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 바로 알고 가기" 파이카 2012

      2 이태주, "한국의 대외원조 정책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선진국 만들기' 와 발전 담론" 비교문화연구소 9 (9): 139-174, 2003

      3 박소진, "한국 사회 문화 재인식과 세계 속 자기 정체성 찾기―대학생 단기 해외연수 동기와 경험"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217-262, 2010

      4 이태주, "프로젝트를 추적하다: 국제개발과 인류학적 참여" 비교문화연구소 17 (17): 39-80, 2011

      5 김효진, "장기 해외봉사자의 직무경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6 이은정, "인류학적 개발사업’의 기획과 평가받지 못한 결실: KOICA 한국–미얀마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 2017

      7 터너, 빅터, "의례의 과정"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5

      8 푸코, 미셸,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강의 1977~78년" 도서출판 난장 2011

      9 정진희, "신자유주의 교육 정책과 한국 대학의 변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10 앤더슨, 베네딕트, "상상의 공동체 :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대한 성찰" 나남 2002

      11 장준영, "미얀마의 개혁과 개방: 원인과 전망" 2012 (2012): 1-16, 2012

      12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미얀마 포괄적 발전을 위한 지역역량강화사업 현지 사전조사결과보고서" 한국국제협력단 2012

      13 기어츠, 클리포드, "문화의 해석" 까치글방 2012

      14 이상국, "메콩지역(Greater Mekong Subregion) 연계성의 이상과 현실 : 도로 교통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5 (25): 223-265, 2015

      15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대학의 자체 발굴 개발협력사업 사업실행 계획서: 미얀마 포괄적 발전을 위한 지역 역량강화 사업"

      16 한국국제협력단,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사업 안내서"

      17 고권혁, "국제자원활동의 유대의례와 교육적 이해: 라오스의 한 청년센터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2015

      18 손혁상,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한국의 민관협력사업(PPP) 연구: KOICA ‘글로벌 사회공헌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학연구소 23 (23): 121-155, 2014

      19 김희숙, "국제개발프로젝트를 둘러싼 미얀마 농촌마을의 정치과정" 비교문화연구소 21 (21): 139-180, 2015

      20 방설아, "공적개발원조(ODA)와 KOICA 프로젝트 건설사업" 15 (15): 32-36, 2014

      21 조문영, "공공이라는 이름의 치유: 한 대기업의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본 한국 사회‘반(反)빈곤’과 ‘대학생’의 지형도" 한국문화인류학회 46 (46): 45-91, 2013

      22 정법모, "개발에 대한 저항과 투만독(Tumandok) 토착민 공동체 형성-필리핀 할라우르댐 건설 저항운동을 사례로-" 역사문화학회 20 (20): 321-348, 2017

      23 Mair, Lucy, "The Social Sciences in Africa South of the Sahara: The British Contribution" 19 (19): 98-107, 1960

      24 Sillitoe, Paul, "The Development of Indigenous Knowledge: A New Applied Anthropology" 39 (39): 223-252, 1998

      25 Ferguson, James, "The Anti–Politics Machine: Development, Depoliticization and Bureaucratic Power in Lesotho"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6

      26 Li, Tania M., "Land’s End: Capitalist Relations on an Indigenous Frontier" Duke University Press 2014

      27 Baillie Smith, Matt, "Existing at the Jnterface:Indian NGO Activists as Strategic Cosmopolitans" 44 (44): 640-662, 2012

      28 Escobar, Arturo, "Encountering Development: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Third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29 Grillo, R.D, "Discourses of Development:Anthropological Perspectives" Bloomsbury Publishing 1997

      30 정법모, "Development-induced Dislocat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Poor: The Case Study on North-South Railway Project in Metro Manila, Philippines" 비교문화연구소 23 (23): 299-347, 2017

      31 Mosse, David, "Cultivating Development: An Ethnography of Aid Policy and Practice" Pluto Press 2005

      32 홍문숙, "Contextualizing Dropout Experiences of Youth Migrants in Transitional Myanmar" 서울대 2017

      33 Gardner, Katy, "Anthropology and Development:Challeng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luto Press 2015

      34 한국국제협력단, "2013년도 민관협력사업 종료평가 종합보고서" 한국국제협력단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6 1.4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