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정비구역 주민들의 주거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 Housing Preference Factors in Redevelopment - A Case study of Cheongju's Residential Proper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stablished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were unified into one law in 2003 when the 'Act of Urban, Residential and Environment Improvement' was enacted. However, the act onl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stat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established by maintenance projects. In order to be effective, the law also needs to improve the nonphysical aspec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le conducting our research and comparing it with past research, we identified the major factors of residential preferences in order to extract and analyze the nonphysical stat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re significantly more important to residents than cultural factors. Also, we found that in each district studied the housing preferences were the most important i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with the exception of Sangdang-Gu (where the commun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Hungduk-Gu (where the social factor was most important). For future purpo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ables according to each loc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the residents when building an apartment complex within th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district.
      번역하기

      Established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were unified into one law in 2003 when the 'Act of Urban, Residential and Environment Improvement' was enacted. However, the act onl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state of residential...

      Established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were unified into one law in 2003 when the 'Act of Urban, Residential and Environment Improvement' was enacted. However, the act onl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stat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established by maintenance projects. In order to be effective, the law also needs to improve the nonphysical aspec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le conducting our research and comparing it with past research, we identified the major factors of residential preferences in order to extract and analyze the nonphysical stat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re significantly more important to residents than cultural factors. Also, we found that in each district studied the housing preferences were the most important i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with the exception of Sangdang-Gu (where the commun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Hungduk-Gu (where the social factor was most important). For future purpo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ables according to each loc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the residents when building an apartment complex within th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distri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용재선, "컨조인트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선호도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7

      2 강평년, "컨조인트분석을 이용한 주거선호 결정에 관한 연구-중소도시인 목표시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6 (6): 19-33, 2008

      3 박미영, "청소년의 주거가치와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4 이광국, "지방중소도시 거주자의 주택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 5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17 (17): 27-45, 2004

      5 김한나, "중년층의 노후대비수준에 따른 주거선호의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6 김기호, "주택재개발사업의 이해" 경민 2005

      7 권주안, "주택구입 결정요인 분석"

      8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 서울시 중소규모 아파트의 거주자 특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1-21, 2008

      9 조은정, "신세대 소비자의 주거가치와 주거선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0 이우종, "수도권 주택구매의 소비자 선호특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35-146, 2003

      1 용재선, "컨조인트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선호도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7

      2 강평년, "컨조인트분석을 이용한 주거선호 결정에 관한 연구-중소도시인 목표시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6 (6): 19-33, 2008

      3 박미영, "청소년의 주거가치와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4 이광국, "지방중소도시 거주자의 주택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 5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17 (17): 27-45, 2004

      5 김한나, "중년층의 노후대비수준에 따른 주거선호의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6 김기호, "주택재개발사업의 이해" 경민 2005

      7 권주안, "주택구입 결정요인 분석"

      8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 서울시 중소규모 아파트의 거주자 특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1-21, 2008

      9 조은정, "신세대 소비자의 주거가치와 주거선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0 이우종, "수도권 주택구매의 소비자 선호특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35-146, 2003

      11 류지수,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12 임준홍, "도심거주의 선호자 및 선호요형에 관한 연구" 1063-1073, 2001

      1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개발론" 보성각 34-36, 2008

      14 박훈식, "공동주택 주거환경 요인이 거주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170-173, 2005

      15 하병철, "공동주택 거주자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2001

      16 최막중,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선호유형"

      17 안광호,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04

      18 청주시, "2010년 청주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