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현주, "춘향전 담화의 회화성" 판소리학회 10 : 103-131, 1999
2 정선희, "조씨삼대록의 악녀 형상의 특징과 서술시각, In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론과 생활문화" 보고사 167-197, 2012
3 김문희, "조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4 김문희, "장편가문소설의 가독성(可讀性) 연구 - 삼대록계 장편가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81-215, 2009
5 정하영, "심청전에 나타난 악인상-뺑덕어미론" 국어국문학회 97 : 45-64, 1987
6 S. 리몬-케넌, "소설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92-108, 1994
7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483-518, 2009
8 권두환, "방자형 인물고 - 판소리계소설을 중심으로 -, In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일조각 3-36, 1978
9 장시광,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0 윤평중, "국어의미론 강의" 역락 141-144, 2013
1 김현주, "춘향전 담화의 회화성" 판소리학회 10 : 103-131, 1999
2 정선희, "조씨삼대록의 악녀 형상의 특징과 서술시각, In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론과 생활문화" 보고사 167-197, 2012
3 김문희, "조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4 김문희, "장편가문소설의 가독성(可讀性) 연구 - 삼대록계 장편가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81-215, 2009
5 정하영, "심청전에 나타난 악인상-뺑덕어미론" 국어국문학회 97 : 45-64, 1987
6 S. 리몬-케넌, "소설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92-108, 1994
7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483-518, 2009
8 권두환, "방자형 인물고 - 판소리계소설을 중심으로 -, In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일조각 3-36, 1978
9 장시광,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0 윤평중, "국어의미론 강의" 역락 141-144, 2013
11 김문희, "국문장편소설의 묘사담론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8) : 5-41, 2010
12 손동국, "고전소설의 인물묘사와 유가적 사유와의 상관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13 최현무, "고전소설의 묘사에 대한 몇 가지 관찰, In 한국문학형태론" 일조각 182-198, 1993
14 곽정식, "고소설의 중간자 인물에 관한 연구" 경성대 11 (11): 7-31, 1990
15 박갑수, "고소설의 안면 묘사" 국어교육학회 8 : 5-27, 1998
16 김수봉, "고소설의 반동인물 연구, In 서사문학의 반동인물 연구" 국학자료원 5-154, 2002
17 정정덕, "고대소설 속의 미인" 창원대 국어국문학과 사림어문학회 10 : 45-65, 1994
18 韓吉娟, "大河小說의 능동적 보조인물 연구 : 『임화정연』, 『화정선행록』, 『현씨양웅쌍린기』 연작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9 김지영, "[단행본] 임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20 최수현, "<임씨삼대록> 여성인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1 조혜란, "<소현성록>의 보여주기 서술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217-264, 2008
22 정하영, "(한국고전문학전집 13)심청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23 설성경, "(한국고전문학전집 12)춘향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