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소설의 인물묘사와 독서미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1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classical novels approach character description and how different patterns of approach affect readers to form different esthetic appreciation of reading in the reading process. Protagonists, whether male or female, are represented as ideal human beings by systematizing the meanings of modifiers. From this approach, readers acquire linguistic esthetic appreciation. Villain protagonists are represented as grotesque characters with negative descriptors and judgemental vocabulary. From this approach, readers get ethical esthetic appreciation. Classic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embracing authentic precedents, from which readers enjoy intellectual esthetic appreciation by activating their knowledge of the classics. And hierarchical vocabularies are woven with action verbs to represent animated characters, from which readers gain intellectual aesthetic appreciation by activating their knowledge of everyday life. As shown in the examples, different patterns of character description in classical novels constitute diverse elements of esthetic appreciation and joy of novel reading.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classical novels approach character description and how different patterns of approach affect readers to form different esthetic appreciation of reading in the reading process. Protagonists, whether male or female, are r...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classical novels approach character description and how different patterns of approach affect readers to form different esthetic appreciation of reading in the reading process. Protagonists, whether male or female, are represented as ideal human beings by systematizing the meanings of modifiers. From this approach, readers acquire linguistic esthetic appreciation. Villain protagonists are represented as grotesque characters with negative descriptors and judgemental vocabulary. From this approach, readers get ethical esthetic appreciation. Classic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embracing authentic precedents, from which readers enjoy intellectual esthetic appreciation by activating their knowledge of the classics. And hierarchical vocabularies are woven with action verbs to represent animated characters, from which readers gain intellectual aesthetic appreciation by activating their knowledge of everyday life. As shown in the examples, different patterns of character description in classical novels constitute diverse elements of esthetic appreciation and joy of novel rea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고전소설의 인물묘사의 방향성
      • 3. 고전소설의 인물묘사와 독서미감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고전소설의 인물묘사의 방향성
      • 3. 고전소설의 인물묘사와 독서미감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주, "춘향전 담화의 회화성" 판소리학회 10 : 103-131, 1999

      2 정선희, "조씨삼대록의 악녀 형상의 특징과 서술시각, In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론과 생활문화" 보고사 167-197, 2012

      3 김문희, "조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4 김문희, "장편가문소설의 가독성(可讀性) 연구 - 삼대록계 장편가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81-215, 2009

      5 정하영, "심청전에 나타난 악인상-뺑덕어미론" 국어국문학회 97 : 45-64, 1987

      6 S. 리몬-케넌, "소설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92-108, 1994

      7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483-518, 2009

      8 권두환, "방자형 인물고 - 판소리계소설을 중심으로 -, In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일조각 3-36, 1978

      9 장시광,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0 윤평중, "국어의미론 강의" 역락 141-144, 2013

      1 김현주, "춘향전 담화의 회화성" 판소리학회 10 : 103-131, 1999

      2 정선희, "조씨삼대록의 악녀 형상의 특징과 서술시각, In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론과 생활문화" 보고사 167-197, 2012

      3 김문희, "조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4 김문희, "장편가문소설의 가독성(可讀性) 연구 - 삼대록계 장편가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81-215, 2009

      5 정하영, "심청전에 나타난 악인상-뺑덕어미론" 국어국문학회 97 : 45-64, 1987

      6 S. 리몬-케넌, "소설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92-108, 1994

      7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483-518, 2009

      8 권두환, "방자형 인물고 - 판소리계소설을 중심으로 -, In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일조각 3-36, 1978

      9 장시광,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0 윤평중, "국어의미론 강의" 역락 141-144, 2013

      11 김문희, "국문장편소설의 묘사담론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8) : 5-41, 2010

      12 손동국, "고전소설의 인물묘사와 유가적 사유와의 상관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13 최현무, "고전소설의 묘사에 대한 몇 가지 관찰, In 한국문학형태론" 일조각 182-198, 1993

      14 곽정식, "고소설의 중간자 인물에 관한 연구" 경성대 11 (11): 7-31, 1990

      15 박갑수, "고소설의 안면 묘사" 국어교육학회 8 : 5-27, 1998

      16 김수봉, "고소설의 반동인물 연구, In 서사문학의 반동인물 연구" 국학자료원 5-154, 2002

      17 정정덕, "고대소설 속의 미인" 창원대 국어국문학과 사림어문학회 10 : 45-65, 1994

      18 韓吉娟, "大河小說의 능동적 보조인물 연구 : 『임화정연』, 『화정선행록』, 『현씨양웅쌍린기』 연작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9 김지영, "[단행본] 임씨삼대록" 소명출판 2010

      20 최수현, "<임씨삼대록> 여성인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1 조혜란, "<소현성록>의 보여주기 서술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217-264, 2008

      22 정하영, "(한국고전문학전집 13)심청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23 설성경, "(한국고전문학전집 12)춘향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