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민과의 의사소통과정에서 발음은 표현하려는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 모음은 음절의 핵심 부분으로써 발음에서 불가결한 구성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6681
전홍화(Quan Honghua) ; Chen Jing (경희대학교)
2020
-
중국인 학습자 ; 침묵식 교수법 ; 한국어 모음 ; 모음 오류 ; 발음 교정 ; Korean Chinese Learners ; Silent Way ; Korean vowel ; vowel error ; vowel teaching
373
KCI등재
학술저널
1099-1120(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원어민과의 의사소통과정에서 발음은 표현하려는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 모음은 음절의 핵심 부분으로써 발음에서 불가결한 구성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
원어민과의 의사소통과정에서 발음은 표현하려는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 모음은 음절의 핵심 부분으로써 발음에서 불가결한 구성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한·중 모음 체계를 대조하고, 이들 특징이 중국인 학습자의 특정 모음 발음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을 분석한 후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하여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화석화된 모음 오류를 교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발음 음가에서 한국어에는 있으나 중국어에 없는 단모음은(ㅔ, ㅐ, ㅡ, ㅚ/이고, 중국어에 없는 이중모음은(ㅕ, ㅛ, ㅠ, ㅒ, ㅙ, ㅢ/이다. 또한 한국어 발음에 대응되는 중국어 음가가 IPA(국제음성기호) 기준으로는 같게 표기가 되었더라도 실제 발음에서는 차이가 나는 모음도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기인하는 모음 오류에 대해 침묵식 교수법을 적용하여 모음 오류 교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중국어를 구사할 줄 모르는 원어민 교사 및 화석화된 모음 오류를 교정하려고 하는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nunci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rrectly expressing oneself when communicating with a native speaker. Korean vowels make up the core of syllables and are thus essential components in pronunciation.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Korean a...
Pronunci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rrectly expressing oneself when communicating with a native speaker. Korean vowels make up the core of syllables and are thus essential components in pronunciation.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Korean and Chinese vowel systems, analyze the factors that lead Chines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to make errors when pronouncing certain Korean vowels, and propose measures to correct ingrained errors by using the Silent Way teaching method. The phonetic values of pronunciations that exist in Korean but not in Chinese are(ㅔ, ㅐ, ㅡ, ㅚ/ for the single vowels and(ㅕ, ㅛ, ㅠ, ㅒ, ㅙ, ㅢ/ for the diphthongs. There are also Korean vowels and corresponding Chinese phonetic values that are represented by the same 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symbols but are pronounced differently in reality.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the non-native Korean teachers in teaching and learning, native teachers who do not speak Chines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trying to correct their long-ingrained vowel erro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성애,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기초 단계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3 (3): 1-12, 2007
2 박시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3
3 권경근, "한국어 발음교육의 요소와 범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8) : 115-133, 2016
4 박숙희, "한국어 발음 교육론" 역락 2013
5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6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7 김경령,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4 : 131-150, 2010
8 김윤희, "한국어 /j/계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연구 - 한국인과 중국인의 산출 비교를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88 : 333-357, 2016
1 오성애,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기초 단계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3 (3): 1-12, 2007
2 박시균,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3
3 권경근, "한국어 발음교육의 요소와 범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8) : 115-133, 2016
4 박숙희, "한국어 발음 교육론" 역락 2013
5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6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7 김경령,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4 : 131-150, 2010
8 김윤희, "한국어 /j/계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연구 - 한국인과 중국인의 산출 비교를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88 : 333-357, 2016
9 함은주,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음운 지도 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김은경, "중국인의 한국어 모음 습득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11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어/와 /오/에 대한 청지각적 연구: 모국어 화자와 대조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1-22, 2015
12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의 정확성 분석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16) : 315-337, 2018
13 오초롱,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의 한국어 단모음에 관한 음향학적 특성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49-167, 2013
14 김주연,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습득에 대한 제2언어 습득 모델 비교 연구" 한국음성학회 6 (6): 27-36, 2014
15 웬신,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 연구 - L1 영향으로 인한 단모음 조음 위치 변화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4) : 211-240, 2019
16 유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ㅓ/, /ㅗ/와 /ㅡ/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중국어 /e/[ɤ]발음의 영향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6 : 235-264, 2020
17 한정임,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득 과정에 대한 1년간의 종단연구" 한국언어학회 36 (36): 1101-1115, 2011
18 장국화, "중국인 여성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의 발음 습득 양상 -초·중·고급 학습자의 음성산출 결과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61-186, 2014
19 우형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이론과 방법" 9 : 303-326, 1999
20 김소영, "암시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의 모색" 교육연구소 22 (22): 309-331, 2016
21 허용, "대조언어학" 소통 2013
2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학업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진로미결정 대학생들의 내적 인식 탐색 : 포토보이스 적용
간호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