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상이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7년 <기혼 중년 남성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41484
2018
Korean
중년 남성 ; 삶의 질 ; 우울 ; 가족 유대감 ; 사회적 지지 ; 융합 ; Middle-Aged Male ; Quality fo Life ; Depression ; Family bond ; Social Support ; Convergence
KCI등재
학술저널
133-145(13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상이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7년 <기혼 중년 남성의 ...
본 논문은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상이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7년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170부 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우울, 가족유대감, 규칙적 운동,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 월 수입 순으로 설명력 77.8%이며 후기 중년 남성은 사회적 지지, 주관적 건강상태, 직업 안정성, 직업 스트레스, 흡연, 근속연수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력은 64.7%로 나타 났다. 따라서 전후기 시기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적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적 환경 조성, 사회적 지지 체계의 강화 및 확충과 정책 수립 등 다학제적, 융합적 접근을 통해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n what factors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early and late middle-aged men. This research is the secondary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with the data of 170 people and the primary data from 2017 by using SPSS/WIN progr...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n what factors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early and late middle-aged men. This research is the secondary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with the data of 170 people and the primary data from 2017 by us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factor is depression in early middle-aged men and social support for late middle-aged men, whose overall ability to explain was 77.8% and 64.7%, respectively.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d approaches-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factors shown in this paper, creating social environment, strengthening social supportive system and making policies-be required for the enhancement of middle-aged men’s quality of lif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미경, "흡연여부에 따른 일 지역 성인의 건강상태, 흡연인식, 금연자기효능정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7 (17): 83-90, 2006
2 박승희, "한국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41-78, 2002
3 오현숙,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주요 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8 (28): 573-584, 2017
4 박근희, "한국 중년남성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이성철, "차세대 상업교육을 위한 중년층의 전·후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263-286, 2014
6 이미욱, "직장인 중년남성의 갱년기 증후군과 발기부전, 우울,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483-493, 2013
7 김은영, "직장남성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갱년기 증후군, 대응행위가 중년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2 (22): 77-86, 2014
8 김유리, "직무스트레스의 성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이종욱,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 7 (7): 237-246, 2016
10 강유진, "중년후기 한국 여성의 노년기 전환기 경험" 대한가정학회 42 (42): 145-164, 2004
1 박미경, "흡연여부에 따른 일 지역 성인의 건강상태, 흡연인식, 금연자기효능정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7 (17): 83-90, 2006
2 박승희, "한국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41-78, 2002
3 오현숙,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주요 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8 (28): 573-584, 2017
4 박근희, "한국 중년남성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이성철, "차세대 상업교육을 위한 중년층의 전·후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8 (28): 263-286, 2014
6 이미욱, "직장인 중년남성의 갱년기 증후군과 발기부전, 우울,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483-493, 2013
7 김은영, "직장남성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갱년기 증후군, 대응행위가 중년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2 (22): 77-86, 2014
8 김유리, "직무스트레스의 성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이종욱,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 7 (7): 237-246, 2016
10 강유진, "중년후기 한국 여성의 노년기 전환기 경험" 대한가정학회 42 (42): 145-164, 2004
11 최미경, "중년성인의 우울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사회경제적 상태" 정신간호학회 19 (19): 196-204, 2010
12 하태희,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구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3 박민정, "중년남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3
14 차은정, "중년남성의 우울, 외로움, 사회적 지지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705-2717, 2015
15 안진석, "중년남성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3
16 이영휘, "중년남성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2 (32): 539-549, 2002
17 조원경, "중년기 직장 남성의 직업에 대한 태도 - 공무원과 일반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43-61, 2009
18 임유진,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98-206, 2017
19 박주분, "중년기 남성의 자아정체감과 중년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2008
20 황인성,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1999
21 홍금희, "중년 전·후기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29-39, 2015
22 한숙정, "중년 여성과 남성의 삶의 질 비교" 한국가정간호학회 19 (19): 183-194, 2012
23 이선영, "중년 남성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4777-4785, 2015
24 이정인, "중년 남성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15 (15): 422-431, 2003
25 이은아, "생태체계 변인과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적응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26 이은아, "생태체계 변인과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적응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27 최미영,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상태 및 자기유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89-107, 2017
28 권명진, "노인의 인지,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에 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 6 (6): 171-176, 2015
29 최형임,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30 김향수,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101-114, 2017
31 金明子, "中年期 危機感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硏究: 서울市 男性과 女性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2 Statistics Korea, "http : //kosis. 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 jsp?vwcd=MT_ZTITLE&parentId=D"
33 U. M. Staudinger,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2001
34 K. K. Chon., "Unified Korean Version of Developing CES-D" 6 (6): 59-76, 2001
3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ordinating Center for Health Promo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04
36 D. J. Ka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iddle-Aged Men's Crisi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Chongshin University 2011
37 E. Y. Bang., "The Meaning and Quality of Happiness and Life as Middle-aged Men in Korea" Korean Association of Human Development 37-60, 2010
38 L. S. Radloff.,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97
39 G. H. Han., "Research: Men’s Work Role and Transition to Fatherhood : Does Transition Timing Matter?" 34 (34): 231-244, 1996
40 D. F. Parker, "Oranizational decterminants of job stress" 32 (32): 161-166, 1983
41 J. W. Park, "One Research for a Social Support Scale Development" Yonsei University 1985
42 S. A. Lee., "Middle-aged employed men' s attitudes toward retirement and plans for postretirement life" 36 (36): 126-135, 1998
43 H. S. Shin., "Middle-age Crisis and Stress in Family Relations" 11 : 84-90, 2006
44 M. J. Kim, "Middle Aged Study" GyoMoonSa 2017
45 S. S. Jung.,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ndrom, job, stress, and mid-life crisis in middle-age men" Pusan University 2015
46 Statistics Korea, "May Elderly addition survey of economically active"
47 T. A. Beeh,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31 : 665-669, 1978
48 A. S. Kim, "Factor Analyses of The Mid-Life Crisis Scale in The Korean Adults" 4 (4): 73-87, 1991
49 J. K. Kim., "Effects of Animal Assisted Therapy(AAT)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Young Older Adults" Pyeongtaek University 2017
50 WHOQOL Group., "Development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28 : 551-558, 1998
51 S. G. Min.,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39 (39): 571-579, 2000
52 J. R. P. Fench, "Coping and adaptation" Basic Books 1974
5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9"
54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4"
55 S. J. Han.,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18 (18): 14-26, 2004
56 O. I. Park., "A Study on the Solidarity with Adult Children and Self-Esteem of Aged Parents in Korean Rural Household" 29 (29): 51-71, 1997
57 O. I. Park., "A Study on the Solidarity with Adult Children and Self-Esteem of Aged Parents in Korean Rural Househol" 29 (29): 51-71, 1997
58 S. S.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Adult Children’s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Healthy Family-of-Origin on The Solidarity with Aged Mother" 38 (38): 21-32, 2000
59 S. S.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Adult Children’s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Healthy Family-of-Origin on The Solidarity with Aged Mother" 38 (38): 21-32, 2000
단게 겐조(丹下健三) 건축의 디자인방법론적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 기능주의적 경향과 구조주의적 경향을 중심으로 -
MWIR용 24mm 초점거리를 가지는 결상광학계의 설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2-06-01 | 평가 | 등재학술지 취소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5.85 | 5.85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