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장애학생 체육 지도 경험 탐색 = Exploring Pre-prim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5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장애학생 체육 지도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장애학생 체육교실에서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예비초등교사이며, 총 7명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한 심층면담 자료와 체육 지도 후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통해 장애학생 체육교실의 시행 과정에서 예비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체육활동 지도의 의미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면밀히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토대로 도출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은 장애학생 및 체육 지도와 관련된 경험과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장애학생 체육 지도에 부담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예비체육교사들은 체육 지도능력의 한계를 실감하고 체육의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확인하며 좌절과 갈등의 시간을 보냈다. 셋째, 적절한 지도방법의 방향을 찾는 오류를 겪고, 장애학생에 대한 편견을 버리게 되었으며,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체육 지도가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고, 변화해 가는 자신과 아이들의 성장하는 모습을 발견하는 시행착오-도전-적응의 단계를 거쳤다. 넷째, 아동에 대한 관찰 능력 향상, 체육 지도법과 효능감 향상, 동료 및 교수 피드백을 통한 발전, 장애학생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 증가와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을 통하여 성장하며 교사가 되어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내․외적 강화를 통해 보람을 얻고 있었으며, 장애학생 체육교실에서의 체육활동 지도가 통합교육 실행 의지를 높이는 의미 있는 활동, 안정감을 제공하는 경험, 예비교사에게 필수적인 활동, 장애학생의 성장을 돕는 단순한 봉사활동 이상의 활동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장애학생 체육 지도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장애학생 체육교실에서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예...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장애학생 체육 지도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장애학생 체육교실에서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예비초등교사이며, 총 7명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한 심층면담 자료와 체육 지도 후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통해 장애학생 체육교실의 시행 과정에서 예비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체육활동 지도의 의미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면밀히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토대로 도출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은 장애학생 및 체육 지도와 관련된 경험과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장애학생 체육 지도에 부담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예비체육교사들은 체육 지도능력의 한계를 실감하고 체육의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확인하며 좌절과 갈등의 시간을 보냈다. 셋째, 적절한 지도방법의 방향을 찾는 오류를 겪고, 장애학생에 대한 편견을 버리게 되었으며,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체육 지도가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고, 변화해 가는 자신과 아이들의 성장하는 모습을 발견하는 시행착오-도전-적응의 단계를 거쳤다. 넷째, 아동에 대한 관찰 능력 향상, 체육 지도법과 효능감 향상, 동료 및 교수 피드백을 통한 발전, 장애학생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 증가와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을 통하여 성장하며 교사가 되어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내․외적 강화를 통해 보람을 얻고 있었으며, 장애학생 체육교실에서의 체육활동 지도가 통합교육 실행 의지를 높이는 의미 있는 활동, 안정감을 제공하는 경험, 예비교사에게 필수적인 활동, 장애학생의 성장을 돕는 단순한 봉사활동 이상의 활동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e-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e-primary school teachers who are students at S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each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 total of 7 people were compo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after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he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struction perceived by pre-primary school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arefully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lt burdened and difficult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hysical education. Second, pre-primary school teachers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i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bility and spent a time of frustration and conflict identifying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hird, they went through the stage of trial-error-challenge-adaptation in which they made the mistake of finding the direction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bandoned their prejudice again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learned that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for non-disabled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no different, and discovered the growth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s they changed. Fourth, they were growing up and becoming teachers by improving their observation skills,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efficacy, improving their peer and professor feedback, and improving their interest and responsi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roblem-solving skills. Lastly, it was rewarding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reinforcement, and the guidance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given meaning as a meaningful activity that increases the will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an experience that provides a sense of stability, an essential activity for pre-service teachers, and an activity beyond simple volunteer activities to help the growth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e-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e-primary school teachers who are students at S National Un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e-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re-primary school teachers who are students at S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each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 total of 7 people were compo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after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he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struction perceived by pre-primary school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arefully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lt burdened and difficult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hysical education. Second, pre-primary school teachers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i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bility and spent a time of frustration and conflict identifying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hird, they went through the stage of trial-error-challenge-adaptation in which they made the mistake of finding the direction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bandoned their prejudice again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learned that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for non-disabled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no different, and discovered the growth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s they changed. Fourth, they were growing up and becoming teachers by improving their observation skills,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efficacy, improving their peer and professor feedback, and improving their interest and responsi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roblem-solving skills. Lastly, it was rewarding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reinforcement, and the guidance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given meaning as a meaningful activity that increases the will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an experience that provides a sense of stability, an essential activity for pre-service teachers, and an activity beyond simple volunteer activities to help the growth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욱상 ; 김종욱, "현직체육교사들의 체육교사교육 실효성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029-1044, 2014

      2 임효경 ; 김승재,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경험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1-20, 2014

      3 조가람 ; 강유석, "특수체육지도자의 윤리적 갈등경험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7 (27): 139-153, 2019

      4 한동기, "특수체육론 : 이론과 실제" 레인보우북스 2020

      5 조가람, "특수체육 지도 현장에서 발생하는장애아동 학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6 임우정 ; 박병도 ; 김권일, "특수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장애아동 체육활동 지도 경험"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93-106, 2012

      7 이종목, "초임교사가 바라보는 교육대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방향 탐색" 인문사회 21 10 (10): 241-256, 2019

      8 고문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적용"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김주영, "초등예비교사의 체육교과 지도관련 교직 적성, 교사 정체성, 감성 지능 및 창의적 인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27 (27): 1-13, 2022

      10 한상모, "초등교사의 체육 수업 불안에 대한 내러티브" 한국초등체육학회 28 (28): 15-38, 2022

      1 조욱상 ; 김종욱, "현직체육교사들의 체육교사교육 실효성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029-1044, 2014

      2 임효경 ; 김승재,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경험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1-20, 2014

      3 조가람 ; 강유석, "특수체육지도자의 윤리적 갈등경험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7 (27): 139-153, 2019

      4 한동기, "특수체육론 : 이론과 실제" 레인보우북스 2020

      5 조가람, "특수체육 지도 현장에서 발생하는장애아동 학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6 임우정 ; 박병도 ; 김권일, "특수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장애아동 체육활동 지도 경험"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93-106, 2012

      7 이종목, "초임교사가 바라보는 교육대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방향 탐색" 인문사회 21 10 (10): 241-256, 2019

      8 고문수,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적용"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김주영, "초등예비교사의 체육교과 지도관련 교직 적성, 교사 정체성, 감성 지능 및 창의적 인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27 (27): 1-13, 2022

      10 한상모, "초등교사의 체육 수업 불안에 대한 내러티브" 한국초등체육학회 28 (28): 15-38, 2022

      11 정찬익,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양성대학의 교과교육" 3 (3): 53-376, 2001

      12 박동환, "초등교사가 장애학생 체육활동을 담당하는 체육전담교사로서 살아가기" 한국초등체육학회 25 (25): 19-32, 2019

      13 정상원 ; 이호철, "초등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체육수업 지도 경험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157-178, 2019

      14 김정명, "체육교육의 인간학적 접근"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1-9, 2011

      15 김중형 ; 백종수, "체육교과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과 어려움 요인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69-87, 2011

      16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0

      17 한동기, "장애학생 체육활동 지도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와 예비특수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 변화" 한국특수체육학회 30 (30): 217-226, 2022

      18 윤주연 ; 장수정, "장애인 신체활동 실무경험의 적응과정에 따른 예비지도자의 인식 변화"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73-84, 2013

      19 윤찬수 ; 이용국,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자기관리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47-59, 2018

      20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장애학생체육교실(SNUEAPE) 교사 교육 자료집"

      21 임인선 ; 서은철, "발달장애학생의 신체활동 지도에 대한 예비특수체육교사의 낯설고 익숙한 경험: 사이클 프로그램의 사례"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59-72, 2016

      22 최지훈 ; 이인경, "반성적 사고 교육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수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23-40, 2010

      23 이상원, "놀이, 마르지 않는 창조의 샘" 에코의서재 2008

      24 김주영 ; 강효영 ; 백종수,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초등예비교사의 체육교과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3 (23): 77-98, 2018

      25 손천택 ; 최환영 ; 고문수, "교육대학 체육심화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57-74, 2007

      26 김주영 ; 백종수, "교육 실습 시 초등 예비교사가 느끼는 체육 교과 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169-180, 2015

      27 박경석 ; 이제행, "교대생의 초등체육 교육실습을 통한 경험적 인식" 한국초등체육학회 15 (15): 69-79, 2009

      28 한동기, "‘좋은 특수체육수업’에 대한 예비 특수체육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41-56, 2013

      29 Parks, M., "Understanding classroom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ing physical activity : A collective efficacy perspective" 21 (21): 316-328, 2007

      30 Giorgi, A.,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Duquesne University Press 2009

      31 Price, L., "Answerback" 3 (3): 63-, 2008

      32 교육부, "2022 교육통계분석자료집-유・초・중등교육통계편" 한국교육개발원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